$\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품질평가 등급이 우수한 4개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990개의 AWS 중에서 고도가 200m 이상인 산악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산악기상관측소의 공간분포 특성과 연도별 공간변화를 분석하였다. 공간분포특성 분석을 위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203개의 산악기상관측망을 대상으로 유클리디안 거리 분석, 최근 린지수 분석, 커널밀도 분석 방법으로 공간분석을 수행하였다. 평균거리 분석 결과, 2012년(3개 기관)은 29.0km, 2012년(4개 기관) 26.6km, 2013년 21.9km, 2014년 16.9km, 2015년 14.3km, 2016년은 12.6km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16.4km가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다. 최근린지수는 0.666632~0.811237였으며, 군집화 범위인 Z-score 검정 결과는 -4.372239~-5.145115, 통계적으로는 P-value(P<0.01)로 매우 유의하면서 산악기상관측망이 군집화 형태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널밀도 분석 결과, 2012년은 129,719ha/1개소, 2013년 90,917ha/1개소, 2014년 71,342ha/1개소, 2015년 58,875ha/1개소로, 2016년은 50,914ha/1개소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169,399ha/1개소가 감소하면서 산악기상관측망 공간분포 밀도가 높아진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백두대간 일부 지역과 경북 내륙, 경남북서부 지역을 대상으로 최적의 입지에 산악기상관측망을 확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spatial changes of Automatic Weather Stations (AWS) in mountainous areas with altitude more than 200 meters in South Korea. In order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spatial analysis was performed on 2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6).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에 있는 기상관측소 중에서 고도가 200m 이상인 산악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산악기상관측소의 거리 및 밀도 등의 공간분포 특성과 연도별 공간 변화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최저 고도가 200m 이상인 산림 또는 산악지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AWS의 공간적인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자 남한 전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 자료는 기상청에서2016년까지 28개 기관을 대상으로 AWS 시설 및 관측자료의 품질 평가를 수행한 결과에 따라 ‘우수(80점이상)’ 등급을 부여 받은 기상청, 산림청, 농촌진흥청,환경부의 AWS 지점별 메타정보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는 품질평가 등급이 우수한 4개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990개의 AWS 중에서 고도가 200m 이상인 산악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산악기상관측소의 공간 분포 특성과 연도별 공간변화를 분석하였다. 공간분포 특성분석을 위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203개의 산악기상관측망을 대상으로 유클리디안 거리 분석, 최근 린지수 분석, 커널밀도 분석 방법으로 공간분석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품질등급과 신뢰성이 확보된 4개 기관(기상청, 산림청, 농촌진흥청, 환경부)의 AWS 중에서 고도가 200m 이상인 산악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산악기상관측망의 거리 및 밀도 등의 공간분포 특성과 연도별 공간분포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 또는 산지 분포 비율  이 높은 우리나라의 기상 특성에 따른 평지 지역의 기상 특성은? 6%로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권역에 따라 산림 비율의 차이가 있지만, 산림 또는 산지 분포 비율  이 높은 우리나라의 기상 특성은 평지 지역에서 더욱 복잡한 지형 특성에 의해 강우, 바람 등의 기상 현상들이 불균형적이면서도 국지적으로 발생하고 있다(Yun et al., 2009; Lee and Jun, 2014).
우리나라의 전 국토 면적 중 산림 지역이 차지하는 비율은? 우리나라는 전 국토 면적(10,029,535ha)의 63.8% (6,400,272ha)가 산림 지역으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16). 이는 산지관리법상에 명시된 산림면적의 비율로 강원지역이 81.
우리나라 기상관측지점 중 산림 지역의 기상재해를 예측하는데 한계는? 2016년 12월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기상관측지점의 수는 3,630개(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이며 기상청과 산림청을 포함한 28개 기관이 기 상관측 목적에 따라 자체적으로 설치, 운영,  유지  관리 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자동기상관측소(AWS, Automatic Weather Station)는 사람들이 살고 있는 도심지 생활권역을  중심으로  지형이  평탄한  지점 에 위치함에 따라 산악 및 산림지역에서 일어나는 산림재해와 기상재해 예측을 위한  모델에  평지기상 정보를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반면 산림청과 국립공원 관리공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기상관측소는 기상관측 목적에 따라 산악 지역의 정상부, 능선부, 계곡부에 위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apos, V., J. Rhind, M. Edwards, M. F. Price, and C. Ravilious, 2000: Developing a map of the world's mountain forests. Forests in Sustainable Mountain Development: A state of knowledge Report for 2000, IUFRO, M. F. Price and N. Butt (Eds.),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4-9. 

  2. Kim, S. Y., W. T. Oh, and S. H. Lee, 2013: Analysis on the density of the weather station over South Korea.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7(1), 47-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Korea Forest Service, 2016: 2016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414pp. 

  4.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 Result of the assessment for the grade of AWS's data quality in 2016. Official document, Observation policy division-747. 

  5. Lee, H. Y., 1989: Geostatistics. Bobmunsa publishing co., Gyeonggi, 762pp. 

  6. Lee, H. Y., and S. C. Noh, 2013: Theory and practice for advanced statistical analysis. Moonwoosa publishing co., Gyeonggi, 828pp. 

  7. Lee, J. H., and H. D. Jun, 2014: A methodology for rain gauge network evaluation considering the altitude of rain gauge.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6(1), 113-1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Silverman, B. W., 1988: Density estimation for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Monograph on statistics and applied probability, Chapman and Hall, London, 22pp. 

  9.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1994: Guide to hydrological practices, Fifth edition. WMO No. 168. 292pp. 

  10. Yoo, C. S., I. B. Kim, and S. R. Ryu, 2003: Evaluation of rain gauge density and spatial distribution: A case study for Nam Han river basi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6(2), 173-1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Yoon, S. H., M. S. Won, and K. C. Jang, 2016: A study on optimal site selection for Automatic Mountain Meteorology Observation System (AMOS): the case of Honam and Jeju area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8(4), 208-2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Yun, H. S., M. J. Um, W. C. Cho, and J. H. Heo, 2009: Orographic precipitation analysis with regional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2(6), 465-4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