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중 프로펠러 명음 현상의 규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underwater propeller singing phenomenon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37 no.2, 2018년, pp.92 - 98  

김태형 (현대중공업(주) 선박연구소) ,  이형석 (현대중공업(주) 선박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모형 프로펠러를 대상으로 공동수조 시험, 수중 충격시험, 유한요소해석 및 전산유체해석에 기반하여 수행한 명음 발생 메커니즘 연구이다. 선미 유동을 모사하기 위해 반류망, 프로펠러 및 방향타를 설치하고 수중청음기와 가속도계로 프로펠러 명음 현상의 발생과 소멸을 계측하였다.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프로펠러 날개의 고유진동수를 예측하고 접촉 및 비접촉식 충격시험으로 이를 검증하였다. RANS(Reynolds Averaged Navier-Stokes) 방정식 기반 전산유체해석을 통하여 프로펠러 날개 각 단면의 유속과 유효 받음각을 계산하였으며, DES(Detached Eddy Simulation) 기반 고해상도 해석을 통해 명음 발생 위치에서 2-D 날개 단면 뒷전의 와류흘림주파수(vortex shedding frequency) 계산을 수행하였다. 수치적으로 예측된 와류흘림주파수는 모형시험으로 계측한 명음 발생 주파수 및 날개 고유진동수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generation mechanism of propeller singing based on the cavitation tunnel test, underwater impact test, finite element analysis and computational flow analysis for the model propeller. A wire screen mesh, a propeller and a rudder were installed to simulate ship stern fl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ES 기반 2-D 날개 단면 뒷전의 와류흘림주파수를 해석하여, 고유진동수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모형 프로펠러를 대상으로 유동 기인 진동에 의한 명음 메커니즘을 수치해석 및 모형시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향후 공동현상을 포함한 실선 프로펠러의 전산유체해석과 수중 충격시험 및 시운전 계측을 통해 모형 프로펠러의 연구 결과와 비교할 예정이다.
  • 본 연구에서는 모형 프로펠러를 대상으로 공동 수조 모형시험 및 수치해석을 통해 명음 발생 메커니즘에 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대중공업 선박연구소 공동 수조에서 모형 프로펠러를 대상으로 명음 발생 시험 시, 프로펠러 회전수의 변화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고착되면서 소음 및 진동 레벨이 급격히 증가하는 명음 현상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박 건조 전 프로펠러 명음의 예방 설계를 위한 기반 연구를 목표로 하였다. 모형 프로펠러를 대상으로 명음 시험, 고유 진동수 파악을 위한 충격 시험 등 실험기법과 고유 진동 모드 해석 및 유동 기진 성분 해석을 위한 3-D 프로펠러, 2-D 날개 단면의 유동해석 등의 수치기법을 병행하여 수중 프로펠러의 명음 발생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명음 발생 시 유효 받음각은 0°로 가정하고 해석을 수행하였다.
  • 9 R 단면의 유효 받음각이 0°와 -1° 사이에서 분포함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날개 뒷전에서 이탈되는 와류흘림유동에 의한 유동 가진 주파수가 일정하기 위한 조건은 프로펠러 회전각의 영역 중 프로펠러 날개 단면의 유효 받음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으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명음 발생 시 유효 받음각은 0°로 가정하고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박 프로펠러의 명음 현상의 예측과 대책수립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선박 프로펠러의 명음 현상은 일반적으로 프로펠러 날개 뒷전의 와류흘림주파수와 날개 고유진동수가 일치하여 발생하는 공진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은 선박의 품질 신뢰도 저하를 초래하고 승선자의 불쾌감을 유발하지만, 날개의 국부적인 영역에서 유동 특성과 동적 구조 특성 간 복잡한 연성관계에 기인하므로 예측과 대책수립이 쉽지 않다. 실제로 선박 건조 최종 단계에서 명음이 발생하는 경우 시행 착오법과 시운전을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밖에 없어 문제 해결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실정이다.
선박 프로펠러의 명음 현상은 무엇인가 선박 프로펠러의 명음 현상은 일반적으로 프로펠러 날개 뒷전의 와류흘림주파수와 날개 고유진동수가 일치하여 발생하는 공진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은 선박의 품질 신뢰도 저하를 초래하고 승선자의 불쾌감을 유발하지만, 날개의 국부적인 영역에서 유동 특성과 동적 구조 특성 간 복잡한 연성관계에 기인하므로 예측과 대책수립이 쉽지 않다.
논문에서 프로펠러 날개의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분석한 것은 무엇인가 현대중공업 선박연구소 공동 수조에서 모형 프로펠러를 대상으로 명음 발생 시험 시, 프로펠러 회전수의 변화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고착되면서 소음 및 진동 레벨이 급격히 증가하는 명음 현상을 확인하였다. 프로펠러 날개의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고유진동수와 명음발생 주파수에서의 진동 모드를 분석하였다. 유한요소해석의 검증을 위하여 시험 수조에서 접촉식 및 비접촉 방법을 이용한 수중 충격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오차 수준 5 % 이내의 높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W. H. Joo, D. H. Kim, and J. G. Bae, "A study of the identification and countermeasure of singing phenomenon in ships" (in Korean), Proc. KSNVE Annual Spring Conference, 797-803 (2000). 

  2. W. W. Hwang, C. W. Lee, D. K. Lee, T. S. Jeong, and J. H. Heo, "Study on the propeller singing noise in commercial vessels" (in Korean), Proc. KSNVE Annual Spring Conference, 471-472 (2011). 

  3. J. H. Kim, D. S. Cho, and S. Y. Han, "Vibration mode characteristics on a propeller in very large vessel" (in Korean), Proc. KSNVE Annual Spring Conference, 955-962 (2002). 

  4. J. Shioiri, "An aspect of the propeller-singing phenomenon as a self-excited oscillation," Davison Laboratory Report No. 1059, 1965. 

  5. Y. M. Wei, "A study of simulation and elimination of propeller singing," Proc. 2nd Int. Symp. on Shipboard Acoustics, 75-90 (1986). 

  6. Understand, Predict, and Optimize Engineering Designs with the COMSOL Multiphysics Software, https: //www.comsol.com/comsol-multiphysics/, 2018. 

  7. N. H. Baharin and R. A. Rahman, "Effect of accelerometer mass on thin plate vibration," Jurnal Mekanical, 29, 100-111 (2009). 

  8. STAR-CCM+ Siemens Software Industries, https://mdx.plm.automation.siemens.com/star-ccm-plus/, 2018.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