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항공 초분광 영상으로부터 연안지역의 SAM 토지피복분류
Land Cover Classification of Coastal Area by SAM from Airborne Hyperspectral Image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1 no.1, 2018년, pp.35 - 45  

이진덕 (금오공과대학교 토목공학과) ,  방건준 (금오공과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현호 ((주)한성유아이)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공기 탑재용 초분광 카메라시스템에 의해 얻어진 영상데이터는 수십 내지 수백의 연속된 초분광 해상도로부터 동시에 각 화소별 완전한 분광 및 공간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복잡한 연안지역에 대한 해안선 매핑, 특정재료로 이루어진 시설물 탐지, 연안지역의 토지이용 상세분석 및 변화 모니터링 등에 그 활용잠재성이 대단히 크다. 육역과 해역을 포함하는 연안지역을 대상으로 항공기 탑재 초분광센서인 CASI-1500으로부터 취득된 초분광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분광각매퍼(SAM;Spectral Angle Mapper) 감독분류방법으로 토지피복분류를 행하였다. 첫번째, 대기보정영상에 대하여 육역과 해역이 포함된 지역에 대한 통합분류, 두번째, 육 해역의 통합분류결과로부터 육역과 해역의 분리 후 재분류, 그리고 세번째로 육역만을 대상으로 한 분류를 각각 수행하여 결과 및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초분광 항공영상 48개 밴드로부터 IKONOS, QuickBird, KOMPSAT, GeoEye 등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동일한 파장대의 4개 밴드영상, 그리고 WorldView-2 위성영상과 동일한 파장대의 8개 밴드영상만을 선택하여 각각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하고 초분광 48개 밴드영상으로 분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연안지역에 대한 육역과 해역 통합영상으로 분류하는 것에 비해 육역과 해역 통합영상으로 분류한 후 육역과 해역을 분리하여 재분류를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육역의 분류 결과에서 분광해상도가 높은 영상의 결과일수록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도로가 더 정확하게 분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mage data collected by an airborne hyperspectral camera system have a great usability in coastal line mapping, detection of facilities composed of specific materials, detailed land use analysis, change monitoring and so forh in a complex coastal area because the system provides almost complete sp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첫째, 항공 초분광센서 CASI -1500으로부터 취득된 48개 밴드의 초분광영상으로부터 IKONOS, QuickBird, KOMPSAT, GeoEye 위성영상과 동일한 4개 밴드영상, 그리고 WorldView-2 위성영상과 동일한 8개 밴드영상만을 선택하여 각각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하고 초분광 48개 밴드영상으로 분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항공 초분광영상이 1m 공간해상도이고 1m급 또는 1m 미만의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동일한 밴드 폭의 4개 밴드 또는 8개 밴드 영상으로 분류한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둘째, 전처리 작업으로 대기보정을 수행한 영상에 대하여 수행한 후 분광각매퍼(SAM; spectral angle mapper)방법으로 육역과 해역이 포함된 연안지역에 대한 통합분류, 통합지역에 대한 분류결과로부터 육역과 해역의 분리 후 재분류, 그리고 육역만을 대상으로 한 분류를 각각 행하여 이 세가지 결과를 비교하고 정확도를 평가함으로써 육역과 해역이 공존하는 해안선 주변 연안지역에 대하여 초분광영상에 의한 토지피복분류에 적절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분광 센서란 무엇인가? 초분광 센서(hyperspectral sensor)는 영상을 구성하는 각 화소에 해당하는 지표물의 연속적이고 완전한 분광정보를 취득하는 장비이고, 초분광센서 영상은 연속적이고 좁은 파장역으로 수십에서 수백 개의 분광밴드를 가지고 데이터를 취득한다. 지표면으로부터 반사 또는 방출되는 태양복사에너지를 감지하여 미세한 분광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토지피복, 식생, 수질, 갯벌 특성 등의 식별에 이용된다.
화소기반의 감독분류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또한 감독 분류는 그 방법에 있어화소 기반 분류와 객체 기반 분류로 나눌 수 있다. 화소기반의 감독분류방법으로 최소거리분류(maximum distance classification), 평행육면체분류(parallel-piped classification), 최대우도분류(maximum likelihood classification),분광각매퍼 분류(spectral angle mapper classification) 등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있다.
초분광센서 영상은 어디에 이용되는가? 초분광 센서(hyperspectral sensor)는 영상을 구성하는 각 화소에 해당하는 지표물의 연속적이고 완전한 분광정보를 취득하는 장비이고, 초분광센서 영상은 연속적이고 좁은 파장역으로 수십에서 수백 개의 분광밴드를 가지고 데이터를 취득한다. 지표면으로부터 반사 또는 방출되는 태양복사에너지를 감지하여 미세한 분광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토지피복, 식생, 수질, 갯벌 특성 등의 식별에 이용된다. 초분광 원격탐사시스템은 전형적으로 10nm 이하의 비교적 좁은 밴드 폭을 가진 최소 10개 이상의 분광밴드에서 자료를 수집한다(Baltsavias,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hmed F. Elaksher, 2008. Fusion of hyperspectral images and Lidar-based DEMs for coastal mapping, Optics and Lasers in Engineering, Vol. 46, Issue 7, pp.493-498. 

  2. Baltsavias E.P., 2002. Image spectroscopy and hyperspectral imaging,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57(3):169-170. 

  3. Brook, A., E. Ben-Dor, and R. Richter, 2010. Fusion of hyperspectral images and Lidar data for civil engineering structure monitoring, Proceedings of Hyperspectral 2010 Workshop, Frascati, Italy. Available at: http://earth.esa.int/workshops/hyperspectral_2010/papers/p_brook2.pdf 

  4. Byun, Y.K., Y.D. Uh and K.Y. Yu, 2013. Classification of hyperspectral images using spectral mutual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5(3):33-39 (변영기, 어영담, 유기윤, 분광 상호정보를 이용한 하이퍼스펙트럴 영상분류,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5(3):33-39). 

  5. Cho, H.K., D.S. Kim, K.Y. Yu, and Y.I. Kim, 2006. A study on the hyperspectral image classification with the iterative self-organizing unsupervised spectral angle classification,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2(2):111-121 (조현기, 김대성, 유기윤, 김용일, 반복최적화 무감독 분광각 분류 기법을 이용한 하이퍼스펙트럴 영상 분류에 관한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2(2):111-121). 

  6. Choi, J.W., Y.K. Byun, Y.I. Kim, and K.Y. Yu, 2006. 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cation of hyperspectral image using spectral similarity kern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4(4):71-77 (최재완, 변영기, 김용일, 유기윤, 분광 유사도 커널을 이용한 하이퍼스펙트럴 영상의 Support Vector Machine(SVM) 분류,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4(4):71-77). 

  7. Ga, C.O., D.S. Kim, Y.K. Byun, and Y.I. Kim, 2004. A comparison of classification techniques in hyperspectral image, Proceeding of 2004 Fall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pp.251-256. (가칠오, 김대성, 변영기, 김용일, 2004. 하이퍼스펙트럴 영상의 분류 기법 비교, 한국측량학회 2004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 pp.251-256). 

  8. Han, D.Y., Y.W. Cho, Y.I. Kim, and Y.W. Lee, 2003. Feature selection for image clasiification of hyperion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19(2):171-179(한동엽, 조영욱, 김용일, 이용웅. 2003. Hyperion 영상의 분류를 위한 밴드 추출, 대한원격탐사학회지, 19(2):171-179) 

  9. Jensen John R, 2005. Remote Sensing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Sigma Press, pp.473-495. (John R. Jensen, 2005. 원격탐사와 디지털 영상처리, 시그마프레스, pp.473-495.) 

  10. Kim, H.H., 2013. Extrac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of coastal area using airborne hyperspectral imagery and LiDAR DEM, Doctoral Dissertation,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김현호, 2013. 초분광 항공영상과 LiDAR DEM을 이용한 연안지역의 공간정보 추출, 금오공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Kim, S.H., K.S. Lee, J.R. Ma, and M.J. Kook, 2005. Current status of hyperspectral remote sensing: principle, Data Processing Techniques, and Application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1(4):341-369 (김선화, 이규성, 마정림, 국민정, 2005. 초분광 원격탐사의 특성, 처리기법 및 활용 현황,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1(4):.341-369). 

  12. Kim, T.W., D.J. Choi, K.J. Wi, and Y.C. Seo, 2013. Detection of small green space in an urban area using airborne hyperspectral imagery and spectral angle mappe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2):88-100 (김태우, 최돈정, 위광재, 서용철, 2013. 분광각매퍼 기법을 적용한 항공기 탑재 초분광영상의 소규모 녹지공간 탐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2):88-100). 

  13. Kim, T.W., K.J. Wi, and Y.C. Seo, 2012. Correlation analysis with vegetation indices and vegetation-endmembers from airborne hyperspectral data in forest a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3):.52-65 (김태우, 위광재, 서용철. 2012. 산림지역의 항공기 탑재 하이퍼스펙트럴 영상에 대한 식생-Endmember와 식생지수의 상관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3):.52-65). 

  14. Park, M.H. 2009. A study on feature selection and feature extraction for hyperspectral image classification using canonical correlation classifi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29(3-D):419-421 (박민호. 2009. 정준상관분류에 의한 하이퍼스펙트럴영상 분류에서 유효밴드 선정 및 추출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9(3-D):419-421). 

  15. Park, R.J., 2010. An experimental study on smoothness regularized LDA in hyperspectral data class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21(4):341-369 (박래정, 2010. 하이퍼스펙트럴 데이터 분류에서의 평탄도 LDA 규칙화 기법의 실험적 분석,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21(4):341-369). 

  16. Rebecca A. Smith, Jennifer L. Irish and Michael Q. Smith, 2000. Airborne LIDAR and airborne hyperspectral imagery: A fusion of two proven sensors for improved hydrographic surveying, Proceedings of Canadian Hydrographic Conference, Montreal, Canada. 

  17. Song, J.H., 2005. A Study on Geological Materials Mapping Using the EO-1 Hyperion Image Data, Master Degree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송지훈, 2005. EO-1 Hyperion 영상 자료를 이용한 지질매체 분류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Suresh Subramanian, Nahum Gat, Michael Sheffield, Jacob Barhen, Nikzad Toomarian, 1997. Methodology for hyperspectral image classification using novel neural network, Algorithms for Multispectral and Hyperspectral Imagery III, SPIE, Vol.3071, Orlando, FL, pp.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