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상청 전지구 해양순환예측시스템(NEMO/NEMOVAR)과 미해군 해양자료 동화시스템(HYCOM/NCODA)의 해양 일분석장 열적환경 정확도 비교
A Comparison of Accuracy of the Ocean Thermal Environments Using the Daily Analysis Data of the KMA NEMO/NEMOVAR and the US Navy HYCOM/NCODA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8 no.1, 2018년, pp.99 - 112  

고은별 (제주대학교 해양기상학협동과정) ,  문일주 (제주대학교 해양기상학협동과정) ,  정영윤 (제주대학교 해양기상학협동과정) ,  장필훈 (국립기상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ccuracy of ocean analysis data, which are produced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Nucleus for European Modelling of the Ocean/Variational Data Assimilation (NEMO/NEMOVAR, hereafter NEMO) system and the HYbrid Coordinate Ocean Model/Navy Coupled Ocean Data As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 연구는 모델의 성능 평가가 2월과 5월에 국한되어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자료동화에 사용되지 않은 독립적인 자료를 사용하여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총 1년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계절별 모델의 정확도 변화를 조사하고 자료동화에 사용되지 않은 선박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모델 자체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특히, 이번 평가는 기후 및 날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해양의 열적환경(해수면온도, 수온프로파일)에 대해서만 초점을 맞추어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전지구 해양순환예측시스템 (NEMO/NEMOVAR)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열대 태평양 TAO 부이, 북서태평양 해역의 JMA 관측선, 그리고 한반도 근해의 KMA 부이 자료를 이용하여 1년간(2015년 3월~2016년 2월) 모델 분석장의 편차, RMSE, 상관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최근 전 세계 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미해군의 해양자료 동화시스템(HYCOM/NCODA)의 분석장 정확도를 같이 평가하여 상대적 모델 성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의 전지구 해양순환예측시스템에서 생산된 해양분석장의 정확도를 다양한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고,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미해군 전지구 자료동화시스템의 해양분석장과 그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기상청 전지구 해양순환예측시스템에서 생산한 해양 분석장 및 예측장을 현업에서 제공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자료의 정확도를 알리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 1장에서 분석한 TAO 부이 자료보다 더 깊은 수심(약 2000 m)까지 관측된 자료이기 때문에 모델의 심층수온 정확도를 조사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압력의 효과를 제거한 온위(potential temperature)를 이용하여 수온의 변화와 차이가 큰 수심 1000 m까지의 수온 프로파일에 대해서 정확도를 조사하였다. JMA 관측자료와 NEMO는 온위 자료가 제공되나 HYCOM은 현장온도 자료만 제공되어, 본 연구에서는 현장온도를 온위로 변환한 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의 전지구 해양순환예측시스템에서 생산된 해양분석장의 정확도를 다양한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고,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미해군 전지구 자료동화시스템의 해양분석장과 그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기상청 전지구 해양순환예측시스템에서 생산한 해양 분석장 및 예측장을 현업에서 제공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자료의 정확도를 알리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최근, Jeong et al.
  • 1c). 이 자료는 두 모델이 한반도 연안에서 얼마나 관측과 유사하게 모의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AO 부이의 설치목적은? TAO 부이는 열대 태평양해역(8oS~9oN, 130oE~95oW)에서 주로 ENSO (El Niño/Southern Oscillation)와 같이 열대해역에서의 기후변화를 감시하고 예측하기 위해 설치된 부이이다(Ji and Leetmaa, 1997; McPhaden et al., 2010; Chiodi and Harrison, 2017).
JMA 관측선 자료의 품질관리 특징은? 1b). 이 자료는 3~4개월 정도의 품질처리 과정을 거친 후 제공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모델 자료동화의 입력자료로 사용할 수 없어 자료동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 독립적인 모델의 검증에 사용 될 수 있다. JMA 관측자료도 관측수심이 모델과 다르기 때문에 모델 결과는 관측자료에 맞게 내삽하여 사용하였다.
JMA 관측선 자료란? JMA 관측선 자료는 일본 기상청이 총 4개의 선박을 이용하여 2015년 4월부터 2016년 2월까지 북서태평양해역(125~170oE, 1oS~40oN)에서 CTD를 이용하여 1 m 간격으로 2000 m 내외까지 6개의 관측라인에서 수온프로파일을 관측한 자료이다(Table 3, Fig. 1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 S.-I., and J. Choi, 2012: On the development of 2012 El Nino. Atmosphere, 22, 465-472, doi:10.14191/Atmos.2012.22.4.4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eak, Y.-H., 2016: A study on an accuracy of satellite observed and numerical model-calculated SST around the Korean peninsula. M.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70 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Bernie, D. J., S. J. Woolnough, J. M. Slingo, and E. Guilyardi, 2005: Modeling diurnal and intraseasonal variability of the ocean mixed layer. J. Climate, 18, 1190-1202. 

  4. Bleck, R., G. R. Halliwell Jr., A. J. Wallcraft, S. Carroll, K. Kelly, and K. Rushing, 2002: HYbrid Coordinate Ocean Model (HYCOM) User's Manual: Details of the Numerical Code. HYCOM, Version 2.0.01, 177 pp. 

  5. Chassignet, E. P., H. E. Hurlburt, O. M. Smedstad, G. R. Halliwell, P. J. Hogan, A. J. Wallcraft, R. Baraille, and R. Bleck, 2007: The HYCOM (Hybrid Coordinate Ocean Model) data assimilative system. J. Mar. Syst., 65, 60-83. 

  6. Chiodi, A. M., and D. E. Harrison, 2017: Simulating ENSO SSTAs from TAO/TRITON Winds: The impacts of 20 years of buoy observations in the waveguide and comparison with reanalysis products. J. Climate, 30, 1041-1059, doi:10.1175/JCLI-D-15-0865.1 

  7. Cho, C. H., and Y. H. Seung, 1989: An oceanographic survey of tidal front around Kyunggi Bay. Yellow Sea Res., 2, 51-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ummings, J. A., and O. M. Smedstad, 2013: Variational data assimilation for the global ocean. Data Assimilation for Atmospheric, Oceanic and Hydrologic Applications, 2, 303-343, doi:10.1007/978-3-642-350887_13. 

  9. Cummings, J. A., and O. M. Smedstad, 2014: Ocean data impacts in global HYCOM. J. Atmos. Ocean. Technol., 31, 1771-1791, doi:10.1175/JTECH-D-14-00011.1. 

  10. Gaspar, P., Y. Gregoris, and J.-M. Lefevre, 1990: A simple eddy kinetic energy model for simulations of the oceanic vertical mixing: Tests at station Papa and longterm upper ocean study site. J. Geophys. Res., 95, 16179-16193. 

  11. Halliwell, G., 2004: Evaluation of vertical coordinate and vertical mixing algorithms in the HYbrid-Coordinate Ocean Model (HYCOM). Ocean Model., 7, 285-322. 

  12. Han, I.-S., Y.-S. Suh, and K.-T. Seong, 2013: Windinduced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in the thermohaline front in the Jeju Strait, Korea. Fish. Aquat. Sci., 16, 117-124, doi:10.5657/FAS.2013.0117. 

  13. Hickox, R., I. Belkin, P. Cornillon, and Z. Shan, 2000: Climatology and seasonal variability of ocean fronts in the East China, Yellow and Bohai Seas from satellite SST data. Geophys. Res. Lett., 27, 2945-2948. 

  14. Jeong, J.-H., T.-W. Park, J.-H. Choi, S.-W. Son, K. H. Song, J.-S. Kug, B.-M. Kim, H. K. Kim, and S.-Y. Yim, 2016a: Assessment of climate variability over East Asia-Korea for 2015/16 winter. Atmosphere, 26, 337-345, doi:10.14191/Atmos.2016.26.2.3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Jeong, Y. Y., I.-J. Moon, and P.-H. Chang, 2016b: Accuracy of short-term ocean prediction and the effect of atmosphere-ocean coupling on KMA global seasonal forecast system (GloSea5) during the development of ocean stratification. Atmosphere, 26, 599-615, doi:10.14191/Atmos.2016.26.4.5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Ji, M., and A. Leetmaa, 1997: Impact of data assimilation on ocean initialization and El Nino prediction. Mon. Wea. Rev., 125, 742-753. 

  17. Kim, D.-H., N. Nakashiki, Y. Yoshida, K. Maruyama, and F. O. Bryan, 2005: Regional cooling in the South Pacific sector of the Southern Ocean due to global warming. Geophys. Res. Lett., 32, L19607, doi:10.1029/2005GL023708. 

  18. Kim, Y. H., B.-J. Choi, J.-S. Lee, D.-S. Byun, K. R. Kang, Y.-G. Kim, and Y.-K. Cho, 2013: Korean ocean forecasting system: present and future. The Sea, 18, 89-103, doi: 10.7850/jkso.2013.18.2.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ouketsu, S., I. Kaneko, T. Kawano, H. Uchida, T. Doi, and M. Fukasawa, 2007: Changes of North Pacific intermediate water properties in the subtropical gyre. Geophys. Res. Lett., 34, L02605, doi:10.1029/2006GL028499. 

  20. Large, W. G., J. C. McWilliams, and S. C. Doney, 1994: Oceanic vertical mixing: A review and a model with a nonlocal boundary layer parameterization. Rev. Geophys., 32, 363-403. 

  21. Large, W. G., G. Danabasoglu, S. C. Doney, and J. C. McWilliams, 1997: Sensitivity to surface forcing and boundary layer mixing in a global ocean model: Annualmean climatology. J. Phys. Oceanogr., 27, 2418-2447. 

  22. Madec, G., 2008: NEMO ocean engine. Note du Pole de modelisation, Institut Pierre-Simon Laplace (IPSL), France, No 27, ISSN No 1288-1619, 401 pp. 

  23. McPhaden, M. J., and Coauthors, 2010: The global tropical moored buoy array. Proc. OceanObs'09, 2, Venice, Italy, 668-682. 

  24. Min, H. S., and B. Y. Yim, 2015: Evaluation of North Pacific intermediate water simulated by HadGEM2-AO. Ocean and Polar Res., 37, 265-278, doi:10.4217/OPR.2015.37.4.2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Mogensen, K., M. A. Balmaseda, A. T. Weaver, M. Martin, and A. Vidard, 2009: NEMOVAR: A variational data assimilation system for the NEMO ocean model. ECMWF Newslett., 120, 17-21. 

  26. Park, T., C. J. Jang, M.-H. Kwon, H. Na, and K.-Y. Kim, 2015: An effect of ENSO on summer surface salinity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J. Mar. Syst., 141, 122-127, doi:10.1016/j.jmarsys.2014.03.017. 

  27. Shuto, K., 1996: Interannual variation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along the $137^{\circ}E$ meridian. J. Oceanogr., 52, 575-595. 

  28. Weaver, A. T., C. Deltel, E. Machu, S. Ricci, and N. Daget, 2005: A multivariate balance operator for variational ocean data assimilation. Quart. J. Roy. Meteor. Soc., 131, 3605-3625. 

  29. Yasuda, I., 1997: The origin of the North Pacific intermediate water. J. Geophys. Res., 102, 893-9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