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토폴로지 자동 구성 및 원격 장애진단 시스템
Network topology automatic configuration and remote fault diagnosis system 원문보기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22 no.3, 2018년, pp.548 - 556  

심규철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  황경호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NMS(Network Management System)는 네트워크 관리를 목적으로 소규모 또는 대규모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곳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시스템이다. 기존 NMS에서는 네트워크 규모가 커지고 구성정보가 복잡해짐에 따라 네트워크 현황파악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으며 네트워크 장비의 장애진단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는 NMS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JavaScript와 Python, HTML5 기반의 TWaver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웹 기반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구현한다. 토폴로지 세부 구현 내용으로는 NMS시스템에 등록된 장비 정보를 기반으로 장비의 연결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수집정보를 데이터화하고, 웹 기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구현하며 구현된 토폴로지에서 원격 장애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토폴로지에서 구성관리, 장애관리, 성능관리 기능을 종합적으로 추가하여 사용자가 네트워크 관리를 함에 있어 체계화된 데이터 관리를 통해 NMS시스템의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MS (Network Management System) is a system that is used for a small or large networks management. As the size of network becomes larger and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become complicated,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grasp the network status and it takes much time to diagnose the failure of the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장에서는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주요 기술과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 및 원격장애 진단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주요 기능과 이를 활용한 구현 방법을 기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 NMS의 문제점은? NMS(Network Management System)는 네트워크 관리를 목적으로 소규모 또는 대규모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곳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시스템이다. 기존 NMS에서는 네트워크 규모가 커지고 구성정보가 복잡해짐에 따라 네트워크 현황파악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으며 네트워크 장비의 장애진단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는 NMS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JavaScript와 Python, HTML5 기반의 TWaver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웹 기반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구현한다.
NMS란? NMS(Network Management System)는 네트워크 관리를 목적으로 소규모 또는 대규모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곳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시스템이다. 기존 NMS에서는 네트워크 규모가 커지고 구성정보가 복잡해짐에 따라 네트워크 현황파악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으며 네트워크 장비의 장애진단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N.S.Kim, H.K.Ryu, J.H.Choe and G.M.Choi, "NMS Trends and The Case of Application of NMS for Effective Network Management," 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pp. 941-944, Nov. 2003. 

  2. K.Urunov, S.Y.Shin, S.H.Park and Y.K.Lim, "Analysis of the Network Management System with Constrained Underwater Devices : Architectural Mechanism of the U-NMS," 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pp. 500-501, Jun. 2017. 

  3. S.J.Moon, "Server Management Prediction System based on Network Log and SNMP,"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18, no. 4, pp. 747-751, Jul. 2017. 

  4. K.J.Choi, J.S.Park and M.S.Kim, "A Efficient SNMP MIB Data Gathering Algorithm," 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pp. 1783-1786, Jul. 2008. 

  5. W.S.Yang, J.H.Kim and J.O.Lee, "A Management for IMS Network Using SDN and SNMP,"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4, pp. 694-699, Apr. 2017. 

  6. S.I.Byun, B.K.Kim and D.R.Shin, "A Study on the QoS Management Scheme using the MIB," 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pp. 1055-1058, Jul. 2001. 

  7. TWaver Data Center Visualization, Dec. 2017 [Internet]. Available: http://www.servasoftware.com. 

  8. H.C.Park and J.S.Song, "A Study on the Web-based IoT Packet Analysis System Using Python," 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pp. 616-617, Nov. 2017. 

  9. Y.B.Park, S.Hong and M.Z.Kim, "Performance Bug Detection in Web Applications through Cross-browser Profiling," Journal of KIISE :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vol. 19, no. 11, pp. 559-571, Nov. 2013. 

  10. H.J.Kim, J.H.Lee, G.W.Jo and J.J.Lee, "Measuring JavaScript Performance with a Real World Web Applicat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38, no. 2A, pp. 131-134, Nov.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