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100세 이상 고령자의 인지기능장애 수준과 관련요인
Cognitive Impairment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the Centenarian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2, 2018년, pp.584 - 591  

박석용 (국민건강보험공단) ,  배진성 (충북소셜리서치센터)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100세 이상 고령자의 인지기능장애 수준을 알아보고 그의 관련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2016년부터 2017년까지의 기간 동안에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시행하는 건강검진 및 장기요양 인정조사를 받은 주민등록상의 100세 이상 고령자 268명(남성 132명, 여성 136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100세 이상 고령자의 인지기능장애수준은 남성보다 여성에서(p=0.000), 혼자 산다는 군보다 배우자나 자녀와 함께 산다는 군에서(p=0.019), 가정의 경제 상태가 낮을수록(p=0.001), 비만도가 낮을수록(p=0.000), 비흡연군보다 흡연군에서(p=0.000), 비음주군보다 음주군에서(p=0.013),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는 군보다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p=0.020)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조사대상 100세 이상 고령자의 확정적 인지기능장애가 나타날 위험비는 남성보다 여성(ORs=9.85, 95% CI=2.88~33.59)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저체중군보다 비만군(ORs=0.25, 95% CI=0.07~0.86)에서, 흡연군보다 비흡연군(ORs=0.30, 95% CI=0.10~0.83)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조사대상 100세 이상 고령자의 인지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 거주상태, 경제상태, BMI, 흡연상태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보면, 조사대상 100세 이상 고령자의 인지기능장애 수준은 여러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행위특성 변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특히 흡연, 음주 및 규칙적인 운동 등과 같은 건강관련행위특성이 좋지 않은 군에서 인지기능 수준이 저하됨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levels of cognitive impairment (MMSE-K) among centenarians, and to reveal their association with related variables. The study subjects were 268 centenarians who received medical check-ups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during the period of 20...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 인구의 대표치를 나타내며, 정확성과 신뢰성이 높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및 노인장기요양 인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00세 이상 고령자의 인지기능장애 수준을 알아보고 그의 관련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및 노인장기요양 인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100세 이상 고령자의 인지기능장애 수준을 알아보고 그의 관련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및 노인장기요양 인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100세 이상 고령자의 인지기능장애 수준을 알아보고 그의 관련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 하였다.
  • 둘째, 본 연구는 단면연구로서 100세 이상 고령자들의 인지기능장애수준과 각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파악할 수는 있으나, 인과관계를 언급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의의는 한국인의 특성을 대표성 있게 반영하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및 장기요양자료를 이용하여 100세 이상 고령자들의 인지기능장애수준을 파악하고 그에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100세 이상 고령자들의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수준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특징은? 노인들은 노화와 함께 신체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일상생활의 활동이 위축되면서 이로 인한 심신기능이 급속도로 쇠약하게 된다. 앞으로는 단순히 연명해 가는 삶이 아니라 심신의 건강을 유지해 가면서 자립하고, 활동적으로 생산적인 노후를 보내며 성공적인 노년을 지향하는 것이 의료 및 지역보건 등 관련영역의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노화로 나타나는 두드러진 정신기능변화는? 인간은 누구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연적인 현상으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노화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노화로 나타나는 두드러진 정신기능변화의 하나로 인지기능장애를 들 수 있다. 노인들의 인지기능장애는 일단 발병하면 만성적으로 퇴행하면서 치유가 되지 않기 때문에 오랜 기간의 이환 고통과 활동장애로 자신은 물론 가족에게 많은 사회적, 정신적 부담을 주며 신체건강과 삶의 질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국민 의료비를 증가시키는 주요한 보건의료 문제이다.
100세 이상 고령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행위특성별 인지기능장애수준의 결과는 무엇은 시사하는가? 연구결과, 조사대상 100세 이상 고령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행위특성별 인지기능장애수준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혼자 산다는 군보다 배우자나 자녀와 함께 산다는 군에서, 가정의 경제 상태가 낮을수록, 비만도가 낮을수록, 비흡연군보다 흡연군에서, 비음주군보다 음주군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는 군보다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18-20]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고령자의 인지기능장애나 우울 및 치매 등의 정신적 건강수준은 여러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특성 변수들과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고령자들의 사회경제적인 상태의 악화는 각종 질병에 시달릴 확률이 높아지며 이는 인지기능을 저하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1-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oi SJ. An exploratory study on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contributing to longevity. Korean Association for Geriatric Psychiatry, 22(2):183-207, 2002. 

  2. Akiko Ozaki, Makoto Uchiyama, Hirokuni Tagaya, Takashi Ohida, Ryuji Ogihara: The Japanese Centenarians Study: Autonomy Was Associated with Health Practices as Well as Physical Status. J Am Geriatr Soc 55:95-101, 2007. DOI: https://dx.doi.org/10.1111/j.1532-5415.2006.01019.x 

  3. Perls T, Levenson R, Regan M, Puca A, What does it take to live to 100 Mech Ageing Dev 123(2-3):231-242, 2002. DOI: https://doi.org/10.1016/S0047-6374(01)00348-7 

  4. Allard M, Les Centenaires: Un modele de vieillissement reussi. Soins Gerontologie 13:6-15, 1998. 

  5. Perls T, Silver MH, Lauerman JF. Living to 100, 1st ED. New York: Basic Books 1999. 

  6. Samuelsson SM, Alfredson BB, Hagberg B, Samuelsson G, Nordbeck B, Brun A, Gustafson L, Risberg J, The Swedish Centenarian Study: a multidisciplinary study of five consecutive cohorts at the age of 100. Int J Aging Hum Dev. 45(3):223-53, 1997. DOI: https://dx.doi.org/10.2190/XKG9-YP7Y-QJTK-BGPG 

  7. Motta M, Bennati E, Ferlito L, Malaguarnera M, Motta L; Successful aging in centenarians: myths and reality. Italian Multicenter Study on Centenarians (IMUSCE). Arch Gerontol Geriatr 40(3):241-251, 2005. DOI: https://doi.org/10.1016/j.archger.2004.09.002 

  8. Park SC, Kwon IS, Kim CH, Cho MJ, Lee MS, Choi YH. Longitudinal study on aging and development of health monitoring system in korean elderly. Korean Society for Gerontology 12(1):21-25, 2002. 

  9. Perls T, The oldest old. Scientific Am 272(1):70-75, 1995. DOI: https://dx.doi.org/10.1038/scientificamerican0195-70 

  10. Kim JI. Social-environment factors by region of centenarians.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1(3):157-168, 2002. 

  11. Kwon IS. Medical Characteristics of Human Longevity. Medical Postgraduates 31:29-35, 2004. 

  12. Park KS, Seo YK, Nam HS, Son SJ, Lee JA. The comparison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the institutional elderly and the community living elderly. J Prev Med Public Health 31(2):293-309, 1998. 

  13. Kim SK, Kim SB, Kang BS.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and ADL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J Prev Med Public Health 32(1):65-71, 1999. 

  14. Kim YH, Kim K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7:157-189, 2002. 

  15. Lim JY, Park J, Kang MK, Ryoo SY. Quality of life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some elderly residents using a hall for the aged in a community. J Prev Med Public Health 40(5):337-344, 2007. DOI: https://dx.doi.org/10.3961/jpmph.2007.40.5.337 

  16. Lee JH, Kang HK, Chung YS, Chae YM, Ji YK. The impact of employment on elder's quality of life. Korean Association for Geriatric Psychiatry 28(1):143-156, 2008. 

  17. Park JH, Kwon YC.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1):125-131, 1989. 

  18. Kang JW, Kim ST, Yoo BW, Oh JE, Hong SH, Cho CY. Factors related to cognitive impairment of elderly patients in kyongin district. J Korean Acad Fam Med 24;461-472, 2003. 

  19. Fukuda H, Kida K, Kimura Y, Nishizawa Y, Kanazawa Y, Satio K, Mita R, Takusari Y. Well-being and depression in residents of a provincial city 65 years old or older. Jpn J Pub Health 49(2):97-105, 2002. 

  20. Shin ES, Cho YC. Cognitive function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the elderly people affiliated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in rural area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10): 4493-4501, 2011. DOI: https://dx.doi.org/10.5762/KAIS.2011.12.10.4493 

  21. Park JH, Ha JC. Cognitive impairment among the elderly in a Korean rural community. Acta Psychiatr Scand 77:52-7, 1988. DOI: https://dx.doi.org/10.1111/j.1600-0447.1988.tb05076.x 

  22. Launer LJ, Dinkgreve MA, Jonker C, Hooijer C, Lindeboom J. Are age and education independent correlates of the Mini-Mental State Exam performance of community dwelling elderly? J Gerontol Psychol Sci 48(6):271-277, 1993. DOI: https://dx.doi.org/10.1093/geronj/48.6.P271 

  23. Song YS, Kim TB, Bae NK, Kim KH, Cho YC.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centenarian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5): 268-277, 2017. DOI: https://dx.doi.org/10.5762/KAIS.2017.18.5.268 

  24. Bae NK, Song YS, Shin ES, Cho YC., Status of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the elderly people using from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2): 5976-5985, 2012. DOI: https://dx.doi.org/10.5762/KAIS.2012.13.12.5976 

  25. Brayne C, Gill C, Paykel ES. Cognitive decline in an elderly population a two wave study of change. Psychol Med 25:673-683, 1995. DOI: https://dx.doi.org/10.1017/S0033291700034930 

  26. Oh BH, Kim HS, Kim JH, Cho HS, Cho KH, Cho HS, et al. Epidemiologic study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ve symptoms of the elderly in a korean rural community. Korean Association for Geriatric Psychiatry 2:176-186, 1998. 

  27. Park EH, Kim SK, Lee HK, Seo YS, Kim DH, Sin DH. Cognitive function family function and depression in rural elderly. J Korean Acad Fam Med 18(8):814-823, 1997. 

  28. Shin CH, Kim SY, Lee YS, Cho YC, Lee TY, Lee DB. A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J Prev Med Public Health 29(2):199-214, 1996. 

  29. Cheon KA, Cho BM, Cheon DH. Original articles : cognitive impairment and some related factors among the elderly residents in an urban area. The Korea Public Health Associantion 27(2):112-119, 2001. 

  30. Nguyen HT, Black SA, Ray LA, Espino DV, Markides KS. Predictors of decline in MMSE scores among older Mexican Americans. J Gerontol Med Sci 57:M181-M185, 2002. 

  31. Tyas SL, Manfreda J, Strain LA, Montgomery PR, Risk factors for Alzheimer's disease; a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in Manitoba, Canada, Int J Epidemiol 30:590-597, 2001. 

  32. Hebert R, Lindsay J, Verreault R, Rockwood K, Hill G, Dubois MF. Vascular Dementia; Incidence and risk factors in the Canadian study of Health and aging. Stroke 31:1487-1493, 2000. 

  33. Fratiglioni L, Grut M, Forsell Y, Viitanen MJ, Grafstrom M, Homen K, Erisccon K, Backmann L, Ahobom A, Winblad B. Prevalence of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s in an elderly urban population: relationship with age, sex, and education. Neurology 41:1886-1892, 1991. DOI: https://dx.doi.org/10.1212/WNL.41.12.18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