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간이력 및 공간분포를 지닌 지반운동에 의한 지진해일 발생 및 전파: 해석적 접근
Propagation of Tsunamis Generated by Seabed Motion with Time-History and Spatial-Distribution: An Analytical Approach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30 no.6, 2018년, pp.263 - 269  

정태화 (한밭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손상영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저에서 지진 및 산사태 등에 기인하는 수심변화는 자유수면의 변동을 유발한다. 이러한 자유수면의 변동은 해안으로 전파하고 천수현상에 의해 파고가 상승하면서 큰 피해를 야기한다. 지진해일의 생성 및 전파과정을 모의하기 위해 다양한 수치해석모형이 개발된 바 있다. 대부분의 지진해일모형은 해저 지반의 움직임이 수면에 즉시적이고 동일하게 전달된다는 가정하에 초기수면을 결정한다. 하지만, 이 접근 방법은 시간적 및 공간적 차이를 지니고 발생하는 해저지진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며, 이는 그대로 해석오차에 반영된다. 본 연구에서는 Hammack(1973)의 해석해를 응용하여 수심이 시간차를 가지고 변할 때 이로 인한 초기 자유수면의 변동과 이렇게 변화된 수면의 전파 특성을 모의하고 그 결과를 검토하였다. 이는 다양한 유형의 지반운동과 자유수면 형성과의 인과관계 및 상승된 자유수면의 이동속도 등의 관계규명에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nges in water depth caused by underwater earthquakes and landslides cause sea surface undulations, which in turn propagate to the coast and result in significant damage as wave heights normally increase due to the wave shoaling process. Various types of numerical models have been developed to s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Hammack(1973)의 해석해를 응용하여 수심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초기 수면변위의 생성 및 전파 특성을 검토하였다. 수심이 상승하는 시간이 짧으면 수심변화에 의해 상승된 수면이 이동하기 전에 수심 상승이 발생하여 수심의 상승과 수면의 상승이 비례하면서 거의 동시에 발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진해일을 모의할 때 무엇을 사용하는가? 이처럼 지진해일의 피해는 불의 고리라고 일컫는 환태평양조산대를 중심으로 하여 여러 나라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그 피해 역시 엄청난 규모를 나타내기에 정확한 예측모형개발과 방재시스템 구축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진해일을 모의 할 때, 통상적으로 장파이론에 기반을 둔 선형 혹은 비선형의 비분산성 천수방정식을 사용하게 되고,이에 따라 다양한 모형들이 구축되어 왔다. 몇 가지 예를 들면, Titov and Synolakis(1998)가 개발한 MOST(Method Of Splitting Tsunami), Wang(2009)이 개발한 COMCOT(COrnell Multi-grid COupled Tsunami model), Kowalik et al.
자유수면의 변동은 어떻게 피해를 야기하는가? 해저에서 지진 및 산사태 등에 기인하는 수심변화는 자유수면의 변동을 유발한다. 이러한 자유수면의 변동은 해안으로 전파하고 천수현상에 의해 파고가 상승하면서 큰 피해를 야기한다. 지진해일의 생성 및 전파과정을 모의하기 위해 다양한 수치해석모형이 개발된 바 있다.
역사상 3번째로 큰 규모의 대지진은 무엇이었는가? 2000년대에 발생한 지진해일의 대표적 사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2004년 12월 26일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서부 해안의 40 km 지점에서 발생한 규모 9.3의 인도양 수마트라 지진에 의해 약 33 m에 이르는 지진해일고가 해안에 전파되었으며, 이로 인해 약 23만 명이 목숨을 잃고 5만 명 이상이 실종, 169만 명 이상의 난민이 발생하는 등의 인명피해를 입었다. 이는 역사상 3번째로 큰 규모의 대지진으로 기록되기도 하였다(Grill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ryant, E. (2014). Tsunami. Springer. 

  2. Dutykh, D. and Dias, F. (2007). Water waves generated by a moving bottom. Tsunami and Nonlinear Waves (ed. A. Kundu), Geo Sciences. New York, Springer, 63-94. 

  3. Dutykh, D., Dias, F. and Kervella, Y. (2006). Linear theory of wave generation by a moving bottom. Comptes Rendus de l'Academie des Sciences Paris, Series I 343, 499-504. 

  4. Duthkh, D., Mitsotakis, X., Gardeil, X. and Dias, F. (2013). On the use of the finite fault solution for tsunami generation problem. Theoretical an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27(1-2), 177-199. 

  5. Filon, L.N.G. (1930). On a quadrature formula for trigonometric integral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A, 49, 38-47. 

  6. George, D.L. and LeVeque, R.J. (2006). Finite volume methods and adaptive refinement for global tsunami propagation and local inundation. Science of Tsunami Hazards, 24, 319-328. 

  7. Grilli, S.T., Ioualalen, M., Asavanant, J., Shi, F., Kirby, J.T. and Watts, P. (2007). Source constraints and model simulation of the December 26, 2004, Indian Ocean Tsunami. Journal of Waterway, Port, Coastal, and Ocean Engineering, 133(6), 414-428. 

  8. Gusiakov, V.K. (2009). Tsunami history: recorded. The Sea, 15, 23-53. 

  9. Hammack, J.L. (1973). A note on tsunamis: their generation and propagation in an ocean of uniform depth. Journal of Fluid Mechanics, 60(4), 769-799. 

  10. Imai, K., Satake, K. and Furumura, T. (2010). Amplification of tsunami heights by delayed rupture of great earthquakes along the Nankai trough. Earth, Planets and Space, 62(4), 427-432. 

  11. Ishii, M., Shearer, P.M., Houston, H. and Vidale, J.E. (2005). Extent, duration and speed of the 2004 Sumatra-Andaman earthquake imaged by the Hi-Net array. Nature, 435(7044), 933. 

  12. Kajiura, K. (1963). The leading wave of a tsunami. Bulletin Earthquake Research Institute. Tokyo University, 41, 535-571. 

  13. Kervella, Y., Dutykh, D. and Dias, F. (2007). Comparison between three-dimensional linear and nonlinear tsunami generation models. Theoretical an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21, 245-269. 

  14. Kowalik et al. (2005). Numerical modeling of the global tsunami: Indonesian Tsunami of 26 December 2004. Science of Tsunami Hazards, 23(1), 40-56. 

  15. Lee, J.-W., Park, E.H., Park, S.-C. and Woo, S.-B. (2015). Development of the global tsunami prediction system using the finite fault model and the cyclic boundary condi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7(6), 391-405. 

  16. Ohmachi, T., Tsukiyama, H. and Matsumoto, H. (2001). Simulation of tsunami induced by dynamic displacement of seabed due to seismic faulting.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91(6), 1898-1909. 

  17. Pringle, W.J., Yoneyama, N. and Mori, N. (2018). Multiscale coupled three-dimensional model analysis of the tsunami flow characteristics around the Kamaishi Bay offshore breakwater and comparisons to a shallow water model. Coastal Engineering Journal, 60(2), 200-224. 

  18. Saito, T. and Furumura, T. (2009). Three-dimensional tsunami generation simulation due to sea-bottom deformation and its interpretation based on the linear theory.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178(2), 877-888. 

  19. Son, S., Lynett., P. and Kim, D.-H. (2011). Nested and multi physics modeling of tsunami evolution from generation to inundation. Ocean Modelling, 38, 96-113. 

  20. Suppasri, A., Imamura, F. and Koshimura, S. (2010). Effects of the rupture velocity of fault motion, ocean current and initial sea level on the transoceanic propagation of tsunami. Coastal Engineering Journal, 52(2), 107-132. 

  21. Suzuki, W., Aoi, S., Sekiguchi, H. and Kunugi, T. (2011). Rupture process of the 2011 Tohoku-Oki mega-thrust earthquake (M9.0) inverted from strong-motion data.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8(7). 

  22. Titov, V.V. and Synolakis, C.E. (1998). Numerical modeling of tidal wave runup. Journal of Waterway, Port, Coastal, and Ocean Engineering, 124 (4), 157-171. 

  23. Wang, X. (2009). User manual for COMCOT version 1.7 (first draft). Cornel University, 65. 

  24. Wilson, R.I., Admire, A.R., Borrero, J.C., Dengler, L.A., Legg, M.R., Lynett, P., McCrink, T.P., Miller, K.M., Ritchie, A., Sterling, K. and Whitmore, P.M. (2013). Observations and impacts from the 2010 Chilean and 2011 Japanese tsunamis in California (USA). Pure and Applied Geophysics, 170(6-8), 1127-11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