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석 및 조류 효과를 고려한 황해역 광역 파랑 수치모의 실험
Coarse Grid Wave Hindcasting in the Yellow Sea Considering the Effect of Tide and Tidal Current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30 no.6, 2018년, pp.286 - 297  

천후섭 (삼성전자(주)) ,  안경모 (한동대학교 공간환경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황해역 파랑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KOGA-W01 파랑관측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파랑 후측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파랑관측자료 분석에 따르면, 파랑관측지점이 연안역에 비교적 가까이 위치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fetch length가 짧아 심해파 출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hun and Ahn(2017a, b)의 계산영역을 황해역으로 확장하여 파랑계산을 수행하였는데, 황해역에서의 정확한 파랑계산을 위해 조석 및 조류의 효과도 함께 고려하였다. 계산결과를 관측결과와 비교하여 파랑 후측모의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전반적인 계산 결과의 정확도는 만족할 수준이지만, 계산영역 크기 한계로 S계열의 너울성 장주기파를 제대로 재현하지 못해 황해역 유의파주기의 정확도가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장주기파의 파랑에너지가 크지 않아, 극치 파랑분석에의 영향은 작아 극치파랑의 유의파주기는 잘 재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wave measurements at KOGA-W01 were analyzed and then the numerical wind waves simulations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ind waves in the Yellow sea. According to the present analysis, even though the location of the wave stations are close to the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한반도 서해안에서도 파랑에 의한 해난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파랑관측자료 분석 및 파랑후측모의 실험을 통해 황해역의 파랑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서단에서 관측된 파랑자료분석을 통해 황해역 파랑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때 얻은 파랑관측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Chun and Ahn(2017a)의 파랑후측모의 실험의 계산영역을 황해역으로 확장하여 파랑 후측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황해역의 폭풍파랑 및 태풍파랑의 발달 특성을 보기 위해 2013년 3월 및 2014년 7월의 계산결과를 관측결과와 비교하였다. 이에 따르면, 폭풍파랑 및 태풍파랑의 유의파고를 정확히 계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이 외에 본 연구에서는 조석 및 조류가 광역 파랑계산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이를 배제한 경우에 대해서도 수치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조석 및 조류 효과를 배제한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수치모의 실험을 수행하고 이 계산결과를 관측결과와 비교하였다.
  • 이처럼 한반도 서해안에서도 파랑에 의한 해난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파랑관측자료 분석 및 파랑후측모의 실험을 통해 황해역의 파랑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서단에서 관측된 파랑자료분석을 통해 황해역 파랑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해의 면적은? 황해(Yellow Sea)는 한반도와 중국 사이의 해역으로, 북위 33o17'를 기준으로 동중국해(East China Sea)와 구분된다. 황해의 면적은 380,000 km2 으로 동해에 비해 38.9% 정도 된다. 이에 더해 황해역의 평균 수심은 44 m로, 동해 평균 수심의 2.
황해란? 황해(Yellow Sea)는 한반도와 중국 사이의 해역으로, 북위 33o17'를 기준으로 동중국해(East China Sea)와 구분된다. 황해의 면적은 380,000 km2 으로 동해에 비해 38.
계산 유의파주기의 정확도가 낮게 나온 이유는? 계산결과를 관측결과와 비교하여 파랑 후측모의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전반적인 계산 결과의 정확도는 만족할 수준이지만, 계산영역 크기 한계로 S계열의 너울성 장주기파를 제대로 재현하지 못해 황해역 유의파주기의 정확도가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장주기파의 파랑에너지가 크지 않아, 극치 파랑분석에의 영향은 작아 극치파랑의 유의파주기는 잘 재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un, J. (2012). 3D numerical model considering wave-current interaction.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 Chun, J., Ahn, K. and Yoon, J.T. (2008). A study on the extension of WAM for shallow wa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0(2), 148-156 (in Korean). 

  3. Chun, H., Ahn, K., Jeong, W.M., Kim, T.-R. and Lee, D.H. (2014). A study on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and numerical hindcasts of storm waves in East S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6(2), 81-95 (in Korean). 

  4. Chun, H. and Ahn, K. (2017a). Storm waves on the East coast o Korea: 20 years of wave hindcasting. Journal of Coastal Research, 33(5), 1,182-1,188. 

  5. Chun, H. and Ahn, K. (2017b). Wave hindcasting on the storm waves at the Korean straits of April, 2016.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9(1), 36-45 (in Korean). 

  6. Chun, H. and Suh, K.-D. (2018). Estimation of significant wave period from wave spectrum. Ocean Engineering, 163(1), 609-616. 

  7. Datawell (2009). Wave unit reference manual. Datawell BV Oceanographic Instruments. 

  8. Hasselmann, Hasselmann, K., Barnett, T.P., Bouws, E., Carlson, H., Cartwright, D.E., Enke, K., Ewing, J.A., Gienapp, H., Hasselmann, D.E., Kruseman, P., Meerburg, A., Mueller, P., Olbers, D.J., Richter, K., Sell, W. and Walden, H. (1973). Measurements of Wind-Wave Growth and Swell Decay During the Joint North Sea Wave Project (JONSWAP). Deutsches Hydrographisches, A12, 1-95. 

  9. Hwang, S.-M., Oh, H.-M. and Nam, S.-Y. (201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well wave accid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countermeasures in the East Sea. Proceeding of the Korea Association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in Korean). 

  10. Matsumoto, K., Takanezawa, T. and Ooe, M. (2000). Ocean tide models developed by assimilating TOPEX/POSEIDON altimeter data into hydrodynamical model: a global model and a regional model around Japan. Journal of Oceanography, 56, 567-581. 

  11. Oh, S.-H., Jeong, W.-M. and Kim, S.-I. (2015). Analysis of the observation data for winter-season high waves occurred in the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7(3), 168-174 (in Korean). 

  12. Padilla-Hernandez, R. and Monbaliu, J. (2001). Energy balance of wind waves as a function of the bottom friction formulation. Coastal Engineering, 43(1), 131-148. 

  13. Pilar, P., Guedes Soares, C. and Carretero, J.C. (2008). 44-year wave hindcast for the North East Atlantic European coast. Coastal Engineering, 55(11), 861-871. 

  14. Shih, H.-J., Chen, H., Liang, T.-Y., Fu, H.-S., Chang, C.-H., Chen, W.-B. and Lin, L.-Y. (2018). Generating potential risk maps for typhoon-induced wave along the coast of Taiwan. Ocean Engineering, 163(1), 1-14. 

  15. United Kingdom Hydrographic Office (2003). Admiralty tide tables Volume 4. United Kingdom Hydrographic Office. 

  16. Warner, J.C., Geyer, W.R. and Lerczak, J.A. (2005). Numerical modeling of an estuary: a comprehensive skill assessmen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0, C05001, doi:10.1029/2004JC002691. 

  17. Willmott, C.J. (1981). On the validation of models. Physical Geography, 2(2), 219-23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