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유실을 고려한 양서파충류의 서식지 관리지역 선정방법
A Methodology for Selection of Habitat Management Areas for Amphibians and Reptiles Considering Soil Loss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1 no.6, 2018년, pp.55 - 69  

김지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이동근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모용원 (일본국립환경연구소 기후변화적응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disaster risk and climate change volatility increase, there are more efforts to adapt to disasters such as forest fires, floods, and landslides. Most of the research, however, is about influence of human activities on disaster and there is few research on disaster adaptation for species. Previous...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비용(Cost)은 계획단위가 가지는 토지가격 혹은 기회비용, 서식지 중요도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연결성을 증가시켜 가장자리 효과를 감소하는 등의 경계길이(BLM) 조정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계획단위로 500m 격자를 생물종 분포와 토양유실 위험도가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는 최소 단위로 지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한 보호관리지역을 지정하기 위해서 환경요인만을 파악하는 서식지 분포에 토양유실이라는 위험요소를 비용으로 추가하여 서식지 관리지역을 선정하였다. 생물종 분포만을 고려하는 것에 더하여, 토양유실을 고려한다면 기존과는 다른 지역이 중요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생물종 중심의 서식지 관리에서 나아가 재해 요소를 고려하는 관리 방안이 제시되어야 하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해를 고려한 서식지 관리지역 선정을 위해 토사유출과 같은 재해에 취약한 종(양서파충류)을 대상으로 서식지 관리지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재해위험을 나타내는 지표로 토양유실량을 산출하여 양서파충류 잠재서식지역과 공간적으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였고, 이후 보전지역 선정 도구를 이용하여 재해위험을 고려한 서식지 관리후보지역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 2013) 등 생물종 보전에 있어서 재해를 함께 고려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생물종 중심의 서식지 관리에서 나아가 재해 요소를 고려하는 관리 방안이 제시되어야 하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해를 고려한 서식지 관리지역 선정을 위해 토사유출과 같은 재해에 취약한 종(양서파충류)을 대상으로 서식지 관리지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재해위험을 나타내는 지표로 토양유실량을 산출하여 양서파충류 잠재서식지역과 공간적으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였고, 이후 보전지역 선정 도구를 이용하여 재해위험을 고려한 서식지 관리후보지역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서·파충류가 생물종 분포를 나타내는 대표성을 가진다고 여겨진 이유는? 도롱뇽 등의 양서·파충류는 장기적인 기후변동보다는 지역적인 기후변동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Heo et al. 2013), 계곡 등의 수계에 넓지 않은 서식면적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토양유실등의 국지적인 재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생물군이며, 이를 통해 생물종 분포를 나타내는 대표성을 가진다고 판단하였다. 양서파충류 자료는 환경부의 제3차 자연환경조사자료를 이용하였다.
생물 다양성 협약이 채택된 회의는? 생물다양성 보전의 필요성에 대한 범지구적 공감대 형성에 따라 1992년 리우환경회의에서 생물 다양성 협약(CBD)이 채택되었다. 이후 생태계 보전 관리와 개발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토양유실과 종 분포도에 따른 결과의 우선순위 선정 방식 중 MARXAN을 이용하였을 때, 관리지역 선정 시 토양유실량을 고려할 경우 추가되는 지역들의 의미는? MARXAN을 이용한 관리지역 선정 시 토양유실량을 고려하였을 때 추가되는 지역들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기존의 선정지역에 비교해 산림, 초지 등의 자연 지역들이 제외되고 지류 근처의 행동권 영역 내에서 지역들이 선택된다. 둘째, 이러한 지역이 포함됨으로써 더 적은 관리지역으로도 대부분 종에 대해 더욱 높은 생물종 보전관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산림지역에 치우친 보전관리지역을 지류 근처의 농경지를 포함하여 확대할 수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rdron, J. A..H. P. Possingham and C. J. Klein. 2010. Marxan Good Practices Handbook, Version 2. Pacific Marine Analysis and Research Association (June) : 165. 

  2. Baillie, J..C. Hilton-Taylor and S. N. Stuart (Editors). 2004. 2004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A Global Species Assessment. Page Earth.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3. Beazley, K..L. Smandych.T. Snaith.F. Mackinnon.P. Austen-Smith and P. Duinker. 2005. Biodiversity considrations in conservation system planning: map-based approach for nova scotia, Canada. Ecological Applications 15(6) : 2192-2208. 

  4. Berry, P..Y. Ogawa-Onishi and A. McVey. 2013. The Vulnerability of Threatened Species: Adaptive Capability and Adaptation Opportunity. Biology 2(3) : 872-893. 

  5. Choi, S. K..S. J. Lim and Y. C. Park. 2018.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Habitat Selection of the Endangered Japanese Paradise Flycatcher(Terpsiphone atrocaudat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52(1) : 45-52. (In Korean) 

  6. Do, M. S..H. Jang.D. Kim.K. Koo.S. Lee and H. Nam. 2018. The Study on habitat analysis and ecological niche of Korean Brown Frogs (Rana dybowskii, R. coreana and R. huanrensis) using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 Korean Journal of Herpetology 9(June) : 1-11. (In Korean) 

  7. Elith, J..C. H. Graham.R. P. Anderson.M. Dudik.A. Guisan.R. J. Hijmans.F. Huettmann.J. R. Leathwick.A. Lehmann.J. Li.L. G. Lohmann.B. A. Loiselle.G. Manion.M. Nakamura.Y. Nakazawa.J. M. Overton.A. Townsend.S. J. Phillips.K. Richardson.R. Scachetti-pereira.E. Robert.J. Soberon.S. Williams.J. Elith.C. H. Graham.R. P. Anderson.M. Dudik.S. Ferrier.A. Guisan.R. J. Hijmans.F. Huettmann.J. R. Leathwick.A. Lehmann.J. Li.L. G. Lohmann.B. A. Loiselle.G. Manion.C. Moritz.M. Nakamura.Y. Nakazawa.J. M. Overton.A. T. Peterson.S. J. Phillips.K. Richardson.R. Scachetti-pereira.R. E. Schapire.J. Sobern.S. Williams.M. S. Wisz and N. E. Zimmermann. 2006. Novel methods improve prediction of species' distributions from occurrence data. ECOGRAPHY 29 : 129-151. 

  8. Game, E. T. and H. S. Grantham. 2008. Marxan User Manual: For Marxan version 1.8.10. 

  9. Gardner, T. A..J. Barlow and C. A. Peres. 2007. Paradox, presumption and pitfalls in conservation biology: The importance of habitat change for amphibians and reptiles. Biological Conservation 138 : 166-179. 

  10. Heo, J..I. Kim.J. Kim.H. Lee.S. Jeong.N. Ra.J. Lee and D. Park. 2013. Climate Parameters Influencing the Breeding Migration of Rana huarenesis and Hynobius leechii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Herpetology : 35-36. (In Korean) 

  11. Jeong, S..C. H. Park.D. Woo.D. K. Lee.C. Seo and H. G. Kim. 2015. Selecting Core Areas for Conserving Riparian Habitat Using Habitat Suitability Assessment for Eurasian Otter. J. Korean Env. Res. Tech. 18(2) : 19-32. (In Korean) 

  12. Kee, K.-D. 2012. Abnormal Climate and Landslide in South Korea. Journal of climate research 7 : 119-135. (In Korean) 

  13. Kim, G..S. Kong.O. S. Kim.S. W. Son and E. J. Lee. 2017. A Strategy on Extracting Terrestrial Protected Areas of the Republic of Korea under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6(3) : 407-423. (In Korean) 

  14. Kim, H..D. Lee.Y. Mo.S. Kil and C. Park. 2013. Prediction of Landslides Occurrence Probability under Climate Change using MaxEnt Model. J. Environ. Impact Assess 22(1) : 39-50. (In Korean) 

  15. Kim, J.-H..K.-T. Kim and J.-W. Lee. 2011. Development of Soil Erosion Analysis Systems Based on Cloud and Hy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4): 63-76. (In Korean) 

  16. Kim, J.-H..C. Lee.K. Kim and Y. Choi. 2007. The Soil Loss Analysis using Landcover of WAM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4) : 122-131. (In Korean) 

  17. Kim, J..J. Yoon.J. Park.J. Choi and J. Yoon. 2018. Utilizing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Technique Comparative Analysis of Soil Erosion Risk in the Geumhogang Riparian A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4(2) : 179-190. (In Korean) 

  18. Knutson, M. G..J. R. Sauer.D. a Olsen.M. J. Mossman.L. a Hemesath and M. J. Lannoo. 1999. Effects of landscape composition and wetland fragementation on frog and toad abundance and species richness in Iowa and Wisconsin, United States of America. Conservation Biology 13(6) : 1437-1446. 

  19. Ku, J..J.-H. Ra.J.-H. Kim.S.-J. Lee and O.-S. Kwon. 2015. Relation Analysis with Nature Conservation and Flood Prevention for Land Mosaic Scenarios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9(1) : 93-107. (In Korean) 

  20. Kwon, W.-T..K.-O. Boo and I. Heo. 2007. Climate Change during the recent 10 years in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78-280. (In Korean) 

  21. Lee, S.-H. 2013. Conservation Plan for Landscapes of the Surrounding Areas, National Park. Proc. Korean Soc. Environ. Ecol. Con. 23(2) : 19-20. (In Korean) 

  22. Mo, Y..J. H. Park.Y.-H. Son and D. K. Lee. 2016. Establishment of Additional Protected Areas and Applying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PES) for Sustainability of Suncheonman-Bay. J. Korean Env. Res. Tech. 19(1) : 171-184. (In Korean) 

  23. NIBR. 2011. Red Data Book of Endangered Amphibians and Reptiles in Korea. Pag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4. NIBR. 2014. Guidelines for Using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NIBR & Korean National Red List Committee 11. 

  25. Nishida, H..J. Yokoyama.S. J. Wagstaff and P. Callomon. 2017. Disaster and Biodiversity. 

  26. Park, S.-C..B.-H. Han and J.-I. Kwak. 2015. Studies on the Management Plan in Urban Ecological Protected Area of Seoul. J. KILA 43(6) : 109-126. 

  27. Park, S. D. and S. S. Shin. 2011. Applying Evaluation of Soil Erosion Models for Burnt Hillslopes-RUSLE, WEPP and SEMMA. J.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31(3B) : 221-232. (In Korean) 

  28. Park, S. D..K. S. Lee and S. S. Shin. 2012. Statistical Soil Erosion Model for Burnt Mountain Areas in Korea-RUSLE Approach. J. Hydrol. Eng. 17(2) : 292-304. 

  29. Phillips, S. J..R. P. Anderson and R. E. Echapire. 2006. Modelling and analysis of the atmospheric nitrogen deposition in North Carolina. Ecological Modeling 190 : 231-259. 

  30. Renard, K. G..G. R. Foster.G. A. Weesies.D. K. McCool and D. C. Yoder. 1997. Predicting Soil Erosion by Water: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With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e Handbook No. 703. 

  31. Semlitsch, R. D. and J. R. Bodie. 2003. Biological Criteria for Buffer Zones around Wetlands and Riparian Habitats for Amphibians and Reptiles. Conservation Biology 17(5) : 1219-1228. 

  32. Shim, W. J. and S. J. Park. 2018. Applicability of Soil Erosion Models in Korean Environmental Conditions using the 137 Cs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3(1) : 1-18. (In Korean) 

  33. Shin, M..R. Jang.C. Seo and M. Lee. 2015. A Comparative Study on Species Richness and Land Suitability Assessment. J. Environ. Impact Assess 24(1) : 35-50. (In Korean) 

  34. Shin, S. S..S. D. Park.J. S. Lee and K. S. Lee. 2013. SEMMA Recision to Evaluate Soil Erosion on Mountainous Watershed of Large Scale. J. Korea Resources Association 46(9) : 885-896. (In Korean) 

  35. Sidle, R. C..T. Gomi.M. Akasaka and K. Koyanagi. 2017. Ecosystem changes following the 2016 Kumamoto earthquakes in Japan: Future perspectives. Ambio: 1-14. Springer Netherlands. 

  36. Wischmeier, W. H. and D. D. Smith. 1965. Predicting Rainfall-Erosion Losses From Cropland east of the Rocky Mountains: Guide for Selection of Practices for Soil and Water Conservation. Page Agriculture handbook no. 282, U.S. DEPARTMENT OF AGRICUTURE. 

  37. Wischmeier, W. H. and D. D. Smith. 1978.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 -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Page Agriculture handbook no. 537, U.S. DEPARTMENT OF AGHRICULTURE. 

  38. Yoon, J.-S. and J.-H. Koh. 2017. Analysis of Heavy Rain Hazard Risk Based on Local Heavy Rain Characteristics and Hazard Impact.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47(1) : 37-51. (In Korean) 

  39. Notification No. 2015-138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ttp://www.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024800#AJAX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