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와 소셜 데이터를 활용한 텍스트 기반 가짜 뉴스 탐지 방법론
Text Mining-based Fake News Detection Using News And Social Media Data 원문보기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23 no.4, 2018년, pp.19 - 39  

현윤진 (Graduate School of Business IT, Kookmin University) ,  김남규 (Schoo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Kookmi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가짜 뉴스가 분야를 막론하고 전 세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현대경제연구원에서는 이러한 가짜 뉴스로 인한 피해 규모가 연간 약 30조 9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하였다. 정부에서는 "가짜 뉴스 찾기"를 주제로 "인공지능 R&D 챌린지" 대회를 개최하여 가짜 뉴스를 가려낼 인공지능 원천기술 개발에 대한 첫 걸음을 내딛고 있으며, 민간 차원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팩트 체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학계에서도 가짜 뉴스를 탐지하기 위한 시도가 전문가 기반, 집단지성 기반, 인공지능 기반, 시맨틱 기반 등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조작의 정밀도가 높을수록 뉴스 자체에 대한 분석만으로 진위 여부를 식별하기가 더욱 어렵다는 한계를 경험하고 있으며, 가짜 뉴스 탐지 모델의 정확도가 과평가된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짜 뉴스 탐지 모델 정확도의 공정성을 확보하고, 뉴스의 내용뿐만 아니라 해당 뉴스에 대한 반응으로 자연적으로 발생한 광범위한 소셜 데이터를 활용하여 뉴스의 진위 여부를 판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fake news has attracted worldwide attentions regardless of the fields. The Hyundai Research Institute estimated that the amount of fake news damage reached about 30.9 trillion won per year. The government is making efforts to develop artificial intelligence source technology to detect fake...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불어 뉴스의 진위여부가 식별된 시기가 모호하기 때문에 관련 트위터 데이터를 수집함에 있어 기간에 대한 기준을 세우기도 애매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짜 뉴스를 의도와 상관없이 허위 사실을 포함하고 있거나 허위 사실을 전달하는 실제 뉴스 데이터 혹은 허위 사실을 말하고 있는 정치인 혹은 공직자의 발언, 찌라시, 루머 등을 포함하는 뉴스 데이터로 정의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또한 뉴스 기사의 진위여부 식별 기준을 팩트체크 사이트 중 기준사이트를 선정하여 해당 사이트에서 판단 치우침이 “대체로 거짓”, “거짓”인 경우를 “거짓”, “대체로 진실”, “진실”인 경우를 “진실”이라고 정의하였다.
  • 하지만 뉴스 기사들의 이슈 간 연결 관계를 끊어내고 뉴스 자체만을 대상으로 진위여부를 학습하여 새로운 뉴스의 진위여부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뉴스의 내용은 물론, 해당 뉴스에 대한 반응으로 자연적으로 발생한 광범위한 소셜 데이터를 활용하여 뉴스의 진위 여부를 판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존의 과평가 되어 있던 가짜 뉴스 탐지 방법론의 정확도에 대한 공정성을 확보하고, 뉴스 자체만으로 가짜 뉴스를 탐지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뉴스와 트위터 데이터를 활용한 가짜 뉴스 탐지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 방법론은 뉴스 데이터를 구조화하여 클러스터링을 통해 이슈 그룹을 생성하고, 이슈 그룹 내 진위여부가 다른 뉴스 기사를 학습 및 검증 데이터로 분리함으로써 가짜뉴스 탐지 모델 정확도의 공정성을 확보하였다.
  • 본 절에서는 가짜 뉴스 탐지 방법론을 제안한다. [Figure 4]는 본 연구의 전체 개요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원통형으로 표시된 부분은 데이터 소스를 나타낸다.
  • 본 절에서는 제안 방법론의 핵심 중 하나인 가짜 뉴스 탐지 모델 정확도의 과평가 방지를 위한 데이터 분할 부분으로(Phase 1), 뉴스 기사의 이슈 간 연결 관계 차단을 통한 엄격한 실험 환경 조성에 대해 소개한다. 구체적으로는 뉴스 데이터를 대상으로 토픽모델링을 통해 뉴스를 구조화하고, 그 결과를 클러스터링하여 이슈 그룹을 생성함으로써 학습과 검증 데이터를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기술적 접근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기존의 전문가 기반 탐지, 집단지성 기반 탐지 등 비기술적 접근뿐 아니라, 인공지능 기반 탐지, 시맨틱 기반 탐지 등 기술적 접근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비기술적 접근의 경우, 검증 과정과 결과가 명확하고 공신력이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소수 전문가의 지식에 전적으로 의존함으로써 정보에 대한 전수조사가 어렵고 상대적으로 많은 분석 시간이 요구된다는 한계를 갖는다. 집단지성 기반 탐지의 경우에도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측면, 그리고 검증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측면의 한계를 갖는다.
토픽 모델링이란 무엇인가?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은 텍스트 마이닝의 응용 분야 중 하나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며 가장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응용 기술이다[15]. 토픽 모델링은 각 문서에 포함된 용어의 빈도수에 기반하여 유사 문사를 그룹화한 뒤 각 그룹을 대표하는 주요 용어들을 추출함으로써 해당 그룹의 토픽키워드 집합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이 때 사용되는 문서는 문서, 제목, 요약, 본문, 댓글 등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을 의미한다.
가짜 뉴스에 대한 사회적 문제를 진단하고 이로 인한 부작용을 막기 위한 시도들은 어떤 것이 이뤄지고 있는가? 이러한 배경에서 가짜 뉴스에 대한 사회적 문제를 진단하고 이로 인한 부작용을 막기 위한 시도들이 다양한 분야에 걸쳐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전문가 기반 탐지, 집단지성 기반 탐지 등 비기술적 접근뿐 아니라, 인공지능 기반 탐지, 시맨틱 기반 탐지 등 기술적 접근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비기술적 접근의 경우, 검증 과정과 결과가 명확하고 공신력이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소수 전문가의 지식에 전적으로 의존함으로써 정보에 대한 전수조사가 어렵고 상대적으로 많은 분석 시간이 요구된다는 한계를 갖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lbright, R., Taming Text with the SVD, SAS Institute Inc., 2006. 

  2. Chen, C., Wu K., Srinivasan V., and Zhang, X., "Battling the Internet Water Army: Detection of Hidden Paid Posters," In Advances in Social Networks Analysis and Mining (ASONAM), 2013 IEEE/ACM International Conference, pp. 116-120, 2013. 

  3. Chen, Y., Conroy, N. J., and Rubin, V. L., "Misleading Online Content: Recognizing Clickbait as False News," In Proceedings of the 2015 ACM on Workshop on Multimodal Deception Detection, pp. 15-19, 2015. 

  4. Conroy, N. J., Rubin, V. L., and Chen, Y., "Automatic Deception Detection: Methods for Finding Fake News," Proceeding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 52, No. 1, pp. 1-4, 2016. 

  5. Granik, M. and Mesyura, V., "Fake News Detection Using Naive Bayes Classifier,"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UKRCON), 2017 IEEE First Ukraine Conference, pp. 900-903, 2017. 

  6. Hwang, Y. and Kwon, O., "A Study on the Conceptualization and Regulation Measures on Fake News: Focused on Self-Regulation of Internet Service Providers," Journal of Media Law, Ethics and Policy Research, Vol. 16, No. 1, pp. 53-101, 2017. 

  7. Jin, Z., Cao, J., Jiang, Y. G., and Zhang, Y., "News Credibility Evaluation on Microblog with a Hierarchical Propagation Model," In Data Mining (ICDM), 2014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pp. 230-239, 2014. 

  8. Kim, D. J., "Semantic Analysis on Fake News through Portal Site and Social Network," Master Thesis, 2017. 

  9. Kim, H. Y., "An Exploratory Study on Fake News Using Topic Modeling: Focused on Fake News Published in the Online Journalism," Master Thesis, 2017. 

  10. Kwon, M., Jun, Y. W., and Im, H., “Controversy and Guideline Suggestion Surrounding Fake News in the Digital Media Age,”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8, No. 11, pp. 1419-1426, 2015. 

  11. Kwon, S., Cha, M., Jung, K., Chen, W., and Wang, Y., "Prominent Features of Rumor Propagation in Online Social Media," In Data Mining (ICEM), 2013 IEEE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pp. 1103-1108, 2013. 

  12. Oh, S. U., “Current States and Limitations of Automated Fact Checking Technology,”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Vol. 34, No. 3, pp. 137-180, 2017. 

  13. Park, J. H. and Kim, Y. I., "Development of a Fake News Discrimination System using SVM Classifier," Proceedings of KIIT Summer Conference, pp. 354-355, 2017. 

  14. Rubin, V. L., Chen, Y., and Conroy, N. J., “Deception Detection for News: Three Types of Fakes,” Proceeding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 52, No. 1, pp. 1-4, 2016. 

  15. Lee, D., Kim, Y., and Kim, K., “Topic Based Hierarchical Network Analysis for Entrepreneur Using Text Mining,”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ol. 23, No. 3, pp. 33-49, 2018. 

  16. Lee, S. and Kim, H. J., "Keyword Extraction from News Corpus using Modified TF-IDF,"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ol. 14, No. 4, pp. 59-73, 2009. 

  17. Salton, G., Wong, A., and Yang, C. S., “A Vector Space Model for Automatic Index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18, No. 11, pp. 613-620, 1975. 

  18. Sethi, R. J., "Spotting Fake News: A Social Argumentation Framework for Scrutinizing Alternative Facts," In Web Services (ICWS), 2017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pp. 866-869, 2017. 

  19. Weiss, S. M., Indurkhya, N., and Zhang, T., Fundamentals of Predictive Text Mining, Springer,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