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전지역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벤처 자금생태계 개선방안
Financial Ecosystem Development for Venture Capital Activation in Daejeon, Korea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3 no.6, 2018년, pp.39 - 48  

최종인 (한밭대학교 경영회계학과) ,  백강 (한밭대학교 경영회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전지역은 정부출연연구소, 대덕특구, KAIST 등 우량한 기술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창업을 위한 초기투자 및 성장지원 하부구조가 열악한 실정이다. 특히 대전지역의 벤처 자금공급 규모는 다른 혁신 인프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전지역 벤처 자금생태계는 어떤 진화 과정을 겪었으며 향후 개선 보완할 점이 무엇인지를 분석함으로써, 벤처창업 활성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창업 초기기업에 대한 엔젤투자 활성화 및 민간자금 유입을 견인하는 정책금융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투자전문인력의 지역 내 육성을 위해 지역에서 조성한 펀드를 지역 내 기관에 부여하고, 수도권 투자자의 지역 내 정착을 지원하며, 대학에서 투자전문가 양성과정 운영이 필요하다. 셋째, 기존 창업보육센터에 액셀러레이터 기능을 추가하고 신규 액셀러레이터를 육성하기 위해 유관기관 간 협력이 필요하다. 넷째, 지방정부의 역할 확대를 위해 펀드조성 및 공무원의 개방혁신 마인드, 중앙정부와의 효과적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다섯째, 우수인력 유입, 기술탈취 방지, 재도전 환경 개선 등 기본적인 벤처생태계 하부구조를 확충해야 한다. 여섯째, '창업-성장-회수-재도전'의 단계별 창업자금 지원정책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급변하고 있는 대전지역 벤처창업 자금생태계의 현황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대전지역 벤처기업의 성장 단계별 부족자금의 형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기존 자금생태계의 효율적 활용 방안을 찾은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고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the fact that Daejeon has excellent technology infrastructures such as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Daedeok Innopolis, and KAIST, the infrastructure for initial investment and growth support for technological start-ups is not sufficient. In particular, the amount of venture capi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려대기술지주, 부산연합기술지주, 서울대기술지주, 연세대기술지주, 전남대기술지주(이상 가나다 순) 에서 운용하는 5개 조합이 선정되어171억 원의 펀드를 조성하였으며, 창업경진대회, 창업동아리, 대학원 랩 (Lab)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창업 유망인재를 발굴하고 실전 창업까지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대학의 창업 인재들이 대출이 아닌 투자를 통해 창업에 나설 수 있도록, 대학 창업지원 체제를 변화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 이 법은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을 통하여 그 지역에 있는 대학·연구소 및 기업의 연구개발을 촉진하고, 상호협력을 활성화하며, 연구개발 성과의 사업화 및 창업을 지원함으로써 국가기술의 혁신 및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대전지역 벤처 자금생태계는 어떤 진화와 변화 과정을 겪었으며 향후 개선·보완할 점이 무엇인지를 분석함으로써, 벤처창업 활성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세 차례 특구펀드를 조성하여 대전의 자금생태계 마중물 역할을 하고 있다. 특구는 서랍 속의 특허기술을 시장으로 끌어내 사업화로 연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이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자금 마련을 위해 특구 설립 그 다음해인 2006년, 800억 원 규모의이노폴리스펀드를 구축하였다.

가설 설정

  • 2. 모수검정 결과는 t-value, 비모수검정 결과는 z-value 값임.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전지역의 기술창업기업을 위한 초기투자 및 성장지원을 위한 창업지원관련 기관 추이는 어떠한가? 그러나 이렇게 우량한 기술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전지역의 기술창업기업을 위한 초기투자 및 성장지원 하부구조는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일례로, 2016년 3월 현재 전국적으로 약 1,195개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창업지원관련 기관 중 대전지역은 단 64개 기관만을 보유하고 있는것으로 확인되었다(대전테크노파크, 2017). 이러한 배경은 최근 들어 대전지역 벤처기업 수의 증가세가 다소 감소하는 것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2015).
대전지역이 기술창업기업 (Tech Startups)을 위한 인프라가 타 지역에 비해 잘 구축되어 있다고 평가되는 이유는? 대전지역은 정부출연연구소(이하 출연연), 대덕특구, KAIST등 연구개발 기반이 단단하고 지식 Stock도 많이 쌓여 있어, 기술창업기업 (Tech Startups)을 위한 인프라가 타 지역에 비해 잘 구축되어 있다고 평가된다. 대전시에서도 이를 바탕으로 ‘과학기술도시’를 비전으로 삼고 향후 10년 '마스터 플랜' 의 주요 정책과제 중 하나로 R&D 투자기반확충을 추진 중에있다(대전테크노파크, 2017; 최종인·변영조, 2016).
대전지역 벤처캐피탈의 추이는 전국과 비교했을때 어떠한가? 특히, 벤처캐피탈은 전국 118개 중 1개, 엔젤클럽은 전국167개 중 5개만이 대전지역에 존재하고 있어, 초기 창업단계와 성장단계에서 자금 지원 및 투자를 담당하는 민간기관이수도권에 비해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 참조).이는 2015년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대전지역 벤처기업들의 경영애로사항으로 ‘자금조달 및운용’이 가장 큰 비중(6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ank of Korea, Daejeon & Chungnam Branch(2005). Status of venture companies and policy direction in Daejeon and Chungnam areas, 2005.3. 

  2. Bank of Korea, Daejeon & Chungnam Branch(2007). Venture company-bank Relationship and Activation plan in Daejeon and Chungnam areas, 2007.1. 

  3. Bank of Korea, Daejeon & Chungnam Branch(2009). Financial status and implications in Daejeon and Chungnam areas, 2009.6. 

  4. Bank of Korea, Daejeon & Chungnam Branch(2015). Financial status and challenges in Daejeon: focused on the stage of business growth, 2015.1. 

  5. Choi, J. I., & Byun Y. J.(2016). The Exploratory study of Capacity Building for Creative Incubation Center: Focus on the University Business Incubator,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1(2), 135-144. 

  6. Choi, Y. S., & Kim D. H.(2016). A Comparative Study of the Accelerator and Venture Capital through Investment Behavior,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1(4), 27-36. 

  7. Daejeon Technopark(2017). Technology-based Startup ecosystem in Daejeon, Daejeon Metropolitan City. 

  8. Korean Venture Capital Association(2017). Venture Capital Market Brief(2017.7), http://www.kvca.or.kr/ 

  9. Lee, D. H., & Kim, I. K.(2013). Successful financial ecosystem of Venture and Startup and investment environment analysis: The Global Venture Capital and Private Equity Country Attractiveness Index, Issue Paper 2013-05, KISTEP. 

  10. Park, Y. R.(2013). Current Venture Ecosystem and Future Development Plan, SCIENCE & TECHNOLOGY POLICY,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23(2), 42-52. 

  11. Park, Y. R.(2014). Financial ecosystem of Venture and Startup, Korea Capital Market Institute, 2014.7. 

  12. SMBA.KOVA(2015). 2015 Survey of Korea Venture Firm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