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남 지역 꽃으로부터 야생효모 Aureobasidium속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ureobasidium spp. from flowers of the Jeolla-do province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6 no.4, 2018년, pp.415 - 425  

김정선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이미란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송미영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권순우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김수진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홍승범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박병용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윤봉식 (전북대학교 환경생명자원대학 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양한 Aureobaisidum속을 발굴하여 흑효모의 유용한 특성을 활용하기 위해 전라도 지역 꽃에서 효모 433균주를 분리하고 분자계통학 및 형태학적 분석을 통해 다양성을 확인하였다. large subunit (LSU) rDNA 염기서열 분석을 기준으로 전라도 지역의 Aureobasidium속을 6그룹으로 분류한 후, LSU와 IT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전라도 지역 꽃에서 유래한 효모의 주요 우점종이 Group A와 Group D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GroupB, E, F는 전라남도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전라북도에 비해 전라남도에서 다양한 Aureobasidium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Group A는 A. pullulans, Group B는 A. melanogenum, Group F는 Aureobasidium 신종 후보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Group C, D, E는 LSU와 ITS rDNA 분석에서 A. leucospermi, A. namibiae, A. subglaciale 사이의 명확하게 분류되지 않았으나 콜로니 형태에서 구분 가능한 특성을 보인 것으로 보아, Aureobasidium은 분자계 통학적 분석방법과 형태적 동정을 병행하여 종 수준 동정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yeasts, 433 strains of the genus Aureobasidium were isolated from the flowers collected from Jeolla-do in Korea, and the diversity of the strains was confirmed through molecular phylogenetic and morphological analyses. Based on phylogenetic analysis of LSU rDNA seguen...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에는 다양한 효모를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과일, 토양, 꽃 등 자연에 분포하는 야생 효모를 발굴하고 그 다양성을 확인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12-15]. 본 연구에서는 호남지역 꽃에서 분리한 효모 중 우점종인 Aureobasidium의 분자 및 형태적 특성 분석을 통해 Aureobasidium속의 분포와 다양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산업적으로 유용한 효모 자원을 구축 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호남지역 꽃에서 분리한 Aureobasidium속의 분포 및 다양성을 분자계통학적 및 형태적 특성을 통해 조사하였다. 이러한 Aureobasidium속에 대한 연구결과는 유용한 효모 선발과 미기록 효모 발굴 등을 위한 귀중한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ureobaisdium속의 특징은? Aureobaisdium속은 세계적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널리 분포하고 자낭균 Dothideomycetes강(class)에 속하는 흑효모이다[1]. 특히 Aureobasidium pullulans는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는 pullulan 생산뿐만 아니라 amylases, cellulases, lipases, proteases, xylanases, b-fructofuranosidases, maltosyltransferases, mannanases, laccases [2] 등 다양한 세포 외 가수분해 효소 활성 작용으로 제약 및 식품산업 등에 활용되고 있어 생물공학적으로 중요한 효모로 알려져 있다[3-4].
Aureobasidium속을 형태 및 영양생리학적 특성을 기준으로 분류되었을 경우 종 단위로는 크게 무엇으로 나누어지는가 Aureobasidium속은 형태 및 영양생리학적 특성을 기준으로 분류되었을 경우 종 단위로는 크게 Aureobasidiumpullulans, A. leucospermi, A. proteae로 나누어지고, A. pullulans는 다시 4가지 변종, var.
Aureobasidiumpullulans가 생물공학적으로 중요한 효모로 알려진 이유는? Aureobaisdium속은 세계적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널리 분포하고 자낭균 Dothideomycetes강(class)에 속하는 흑효모이다[1]. 특히 Aureobasidium pullulans는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는 pullulan 생산뿐만 아니라 amylases, cellulases, lipases, proteases, xylanases, b-fructofuranosidases, maltosyltransferases, mannanases, laccases [2] 등 다양한 세포 외 가수분해 효소 활성 작용으로 제약 및 식품산업 등에 활용되고 있어 생물공학적으로 중요한 효모로 알려져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Peterson SW, Manitchotpisit P, Leathers TD. Aureobasidium thailandense sp. nov. isolated from leaves and wooden surfaces. Int J Syst Evol Microbiol 2013;63:790-5. 

  2. Chi Z, Wang F, Chi Z, Yue L, Liu G, Zhang T. Bioproducts from Aureobasidium pullulans, a biotechnologically important yeast. Appl Microbiol Biotechnol 2009;82:793-804. 

  3. Gostincar C, Ohm RA, Kogej T, Sonjak S, Turk M, Zajc J, Zalar P, Grube M, Sun H, Han J, et al. Genome sequencing of four Aureobasidium pullulans varieties: biotechnological potential, stress tolerance, and description of new species. BMC Genomics 2014;15:549. 

  4. Gaur R, Singh R, Gupta M, Gaur MK. Aureobasidium pullulans, an economically important polymorphic yeast with special reference to pullulan. Afr J Biotechnol 2010;9:7989-97. 

  5. Li Y, Chi Z, Wang GY, Wang ZP, Liu GL, Lee CF, Ma ZC, Chi ZM. Taxonomy of Aureobasidium spp. and biosynthesis and regulation of their extracellular polymers. Crit Rev Microbiol 2015;41:228-37. 

  6. van Nieuwenhuijzen EJ, Houbraken JA, Meijer M, Adan OC, Samson RA. Aureobasidium melanogenum: a native of dark biofinishes on oil treated wood. Antonie Van Leeuwenhoek 2016;109:661-83. 

  7. Baek SY, Lee YJ, Kim JH, Yeo SH.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ild yeasts for improving liquor flavor and quality. Microbiol Biotechnol Lett 2015;43:56-64. 

  8. Yi JH, Heo NK, Choi BG, Park EH, Kwun SY, Kim MD, Hong WP, Yeo SH, Baek SY. Isolation of fibrinolytic yeasts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2014;42:184-9. 

  9. Shin HY, Byun OH, Kim YJ, Bang BY, Park JM, Jeong YS, Bai DH. Study of tannin reducing effect of aronia by yeast isolated from jeotgal. Kor J Mycol 2015;43:247-52. 

  10. Lee AR, Kang SH, Kim HR, Lee JE, Lee EJ, Kim TW. Quality characteristics of distilled spirits by different nuruk-derived yeast.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7;8:383-9. 

  11. Oh JY, Han YS.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galactono- ${\gamma}$ -lactone oxidase in Pichia sp.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3;35:1135-42. 

  12. Hyun SH, Lee HB, Kim CM, Lee JS. New records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coast near areas and inland areas, Korea. Kor J Mycol 2013;41:74-80. 

  13. Lee SY, Lee HY, Kim GW, Kang KO. Identification of Aureobasidium pullulans from sea buckthorn (Hippohae rhamnoides L.) fruits and its amylase activities. East Asian Soc Diet Life 2018;28:225-30. 

  14. Kim JS, Kim DS. Phylogeny of the yeast species isolated from wild tiger lily (Lilium lancifolium Thunb.). Korean J Environ Agric 2015;34:149-54. 

  15. Kang MG, Hyun SH, Ryu JJ, Min JH, Kim HK, Lee JS. Note on newly isolated yeasts from wild flowers in Daejeon city, Korea. Kor J Mycol 2012;40:174-6. 

  16. Kurtzman CP, Robnett CJ. Identification of clinically important ascomycetous yeasts based on nucleotide divergence in the 5' end of the large-subunit (26S) ribosomal DNA gene. J Clin Microbiol 1997;35:1216-23. 

  17. Kumar S, Stecher G, Tamura K. MEGA7: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7.0 for Bigger Datasets. Mol Biol Evol 2016;33:1870-4. 

  18. Lee YM, Lee H, Heo YM, Hong JH, Jang S, Kang KY, Kim JJ. Phylogenetic analysis of wood-inhabiting molds and assessment of soft-rot wood deterioration. Part 5. Genus Aureobasidium. Holzforschung 2017;71:437-43. 

  19. Zalar P, Gostincar C, de Hoog GS, Ursic V, Sudhadham M, Gunde-Cimerman N. Redefinition of Aureobasidium pullulans and its varieties. Stud Mycol 2008;61:21-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