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란 추출액에서 paeoniflorin과 paeonol 동시 정량 분석 및 화장품 원료의 품질관리 기준 설정
Quantitative Analysis of Paeoniflorin and Paeonol in Peony Extracts and Quality Control Standards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5 no.1, 2018년, pp.235 - 246  

윤기훈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  지용하 ((주)솔레온 기업부설연구소) ,  이동규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  백수희 (순천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모란은 항염증작용, 항알레르기작용, 항균작용, 중추억제, 위액분비억제, 진경작용 등의 약리활성이 있을 뿐 아니라 항산화작용, 미백작용 등이 보고되면서 화장품 원료, 미용식품으로 다양하게 활용 가능성이 탐색되고 있다. 모란의 뿌리, 잎 및 꽃에서 추출용매와 온도, 시간에 따른 추출액 중 성분의 함량 변화를 비교하였다. Paeoniflorin과 paeonol을 지표성분으로 하여 두 성분의 함량을 동시에 정량분석하기 위한 HPLC 분석법을 설정하고 분석 배치마다 검량선과 QC용 검체를 사용하여 시스템적합성을 확인하면서 시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Paeonol은 뿌리에서만 검출되었고 잎과 꽃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paeoniflorin은 잎, 꽃에서의 농도가 뿌리에서보다 높았다. 추출용매와 섞을 때 뿌리의 절도는 구입 당시의 조각을 그대로 사용할 때보다 적당한 크기로 분쇄한 후 사용할 때 두 성분 모두 높은 농도로 추출되었다. 추출용매로는 30% 1,3-butylene glycol을 사용할 때 농도가 가장 높았다. 추출온도와 시간은 고온, 장시간 일수록 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75^{\circ}C$, 4 h 이상에서는 농도 상승이 완만했으며, paeonol은 8 h까지 지속적으로 농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뿌리, 잎, 꽃의 배합 비율은 2+2+1g/0.5kg로 할 때 두 지표성분의 함량 기준에 도달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최종적으로 원재료를 2+2+1g/0.5kg로 배합하고 30% 1,3-butylene glycol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75^{\circ}C$에서 4 h 동안 추출하는 방법이 두 지표성분의 활성 농도 기준과 원재료 및 제조공정상의 비용을 함께 고려할 때 적절한 조건이라고 판단하였고, 이 조건에서 10 kg 규모까지 추출액 제조 단위스케일업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eony has pharmac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inflammatory, anti-allergic, anti-bacterial, central inhibitory, gastric secretion inhibition, and antispasmodic activities. In addition, its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being reported, thus it is being explored as raw materials for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앞서 소개한 화장품 소재로서 항산화, 미백 작용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paeoniflorin과 paeonol 두 성분을 지표성분으로 동시에 고려하여 각각 60 μg/mL 이상을 농도 기준으로 설정하고, 그 이상을 함유하는 모란 추출액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란의 주요성분은 무엇이 있는가? 예로부터 부귀의 상징이며 선비들의 소박한 소망을 담은 책거리 그림에도 부귀와 공명을 염원하는 모란꽃이 그려졌으며 신부의 예복에도 모란꽃이 수놓아졌다[5]. 모란의 주요성분으로는 paeonol, poeonoside, apiopaeonoside 및 paeonolide 등과 같은 phenol 류, paeoniflorin, oxypaeoniflorin, 및 benzoylpaeoniflorin 등과 같은 monoterpene glycoside류, tetragalloylglucose, pentagalloylgoucose, hexagalloylglucose, (+)-catechin 및 procyanidin B1 등과 같은 tannin류 및 cis-resveratrol과 suffruticosol A~C 등과 같은 stilbene류 등이 보고되었다[6]. Paeonol과 그 배당체는 뿌리껍질과 목심의 주요 성분으로 줄기에는 없다고 알려져 있는데, 줄기껍 질에는 paeonolide, paeoniflorin이 있으며 꽃에는 pelargonin과 paeonin 등의 성분이 있다.
모란의 주요성분 중 paeonol의 효과는 무엇이 있는가? Paeonol은 한방에서 통풍, 류마티즘 관절염의 진통, 피부발진에 대한 항염증 효과 등이 있으며 [7] paeoniflorin은 모란을 포함한 작약속 전 분류군에서 나타나며 진통, 진경,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5, 7]. 대한민국약전 및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서는 모란의 뿌리껍질인 목단피의 지표성분으로 paeonol을, 모란과 같은 과(Paeoniaceae)에 속하지만 모란에 비해 특히 paeoniflorin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작약은 paeoniflorin을 지표성분으로 지정하고 있다 [8, 9].
모란이란 무엇인가? 모란(Paeonia suffruticosa Andrews)은 작약과 (Paeoniaceae)에 속하는 중국원산의 낙엽소관목으로, 꽃이 가지는 관상학적 가치와 식물체가 가지는 생리학적 가치로 인해 King of flowers, Queen of herbs라 불리기도 하는 식물이다. 예로부터 부귀의 상징이며 선비들의 소박한 소망을 담은 책거리 그림에도 부귀와 공명을 염원하는 모란꽃이 그려졌으며 신부의 예복에도 모란꽃이 수놓아졌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Global Market Report, "Natural Cosmetics Market Trends in Major Countries," pp. 15-032, KOTRA, (2015). 

  2. Natural Cosmetics Industry Trend Report, The Foundation of AG. Tech, Commercialization and Transfer, (2013). 

  3. R. S. Sung, "Quality Control Study of Oriental (herbal) Medicines Using Ingredient Profile(I),"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4. R. S. Sung, "Agastachis Herba(KHP). Etc. Study on the 7 Contents Standard Setting," Final Repor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5. K. Choi, Fei Zhao, J. W. Choi, Y. H. Kwon, "Changes of Paeonol and Paeoniflorin Contents in Chinese Moutan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Cultivars with Different Harvesting Times and Their Parts," Korea J. Medicinal Crop Sci. Vol. 13, No. 1, pp. 35-40, (2005). 

  6. C. S. Seo, J. H. Kim, H. K. Shin, B. S. Kim, “Quantitative Analysis of (+)-Catechin, Paeoniflorin, and Paeonol in Moutan Radicis Cortex and Its Processed Products,” Kor. J. Pharmacogn., Vol. 47, No. 3, pp. 237-245, (2016). 

  7. B. Wang, Z. Pang, Q. Zhang, “Chemiluminescence in the Study of Paeonol,” Chimese Pharmaceutical Journal, Vol. 29, No. 1, pp. 35-38, (1994). 

  8. J. Yu, H. Lang, P. Xia, "The Occurrence of Paeoniflorins and Paeonols in Paeoniaceae," ACTA Pharmaceutica Sinica, No. 20, pp. 229-234, (1985). 

  9. The Korean Pharmacopoeia Eleventh Editio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10. "Test method of Herbal medicine," The Korean Pharmacopoeia etc. oriental (herbal) medicines codex, VI, (2014). 

  11. M. Y. Kim and K. S. Ko, “Study on Cosmeceutical Activities of Moutan Cortex Radicis Extra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Vol. 19, No. 6, pp. 1119-1126, (2013). 

  12. S. J. Hur, K. Y. Kim, E. Y. Park, A. R. Jang, K. S. Yang, W. K. Whang, “Antioxidation Activity and Inhibition of B16F10 Melanoma Cell from Moutan Cortex from Ethanol Extra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sthetics and Cosmetology, Vol. 8, No. 1, pp. 1-9, 2010). 

  13. J. K. You, M. J. Chung, D. J. Kim, D. J. Seo, J. H. Park, T. W. Kim, M. Choe,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Paeonia suffruticosa Water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38, No. 3, pp. 292-296, (2009). 

  14. Y. G. Kim, G. Y. Lee, Y. W. Cho, M. A. Lee, S. W. Baek, S. H. Sung, C. J. Ma, E. J. Jung, S. H. Kim, E. S. Yang, Y. K. Cho, S. H. Kim, J. H. Park, E. J. Choi, M. J. Lee, E. J. Lee, Report on "KNTP Acquisition and Analysis of Raw Materials for Toxicity Tes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8). 

  15. G. H. Bae, Report on "Isol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Bioactive Compounds from Cinnamoni Ramulus and Moutan Root Bark,"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7). 

  16. Y. Ding, E. Wu, J. Chen, H. T. Nguyen, T. H. Do, K. L. Park, K. H. Bae, Y. H. Kim,. J. S. Kang, “Quality Evaluation of Moutan Cortex Radicis using Multiple Component Analysi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Bull. Korean Chem. Soc, Vol. 30, No. 10, pp. 2240-2244, (2009). 

  17. Y. Xie, Z. H. Jiang, H. Zhou, W. Z. Ma, Y. F. Wong, Z. Q. Liu, L. Liu, "The Pharmacokinetic Study of Sinomenine, Paeoniflorin and Paeonol in Rats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a Herbal Product Qingfu Guanjiesu Capsule by HPLC," Biomed. Chromatogr, No. 28, pp. 1294-1302, (2014). 

  18. Y. W. Son. Guidelines for Validation of Test Methods such as Medicine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19. Y. S. Park, M. H. Oh, H. Lee, J. T. Jung, Y. H. Jo, M. K. Pyo, "Comparison of Malonyl Ginsenoside Contents in Parts of Korean Ginseng," Kor. J. Pharmacogn. Vol. 48, No. 1, pp. 82-87, (2017). 

  20. B. R. Jeong, Y. S Yoon, S. S. Shin, Y. S. Kwon, H. J. Yang,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Pseudoephedrine and (-)-Ephedrine in Ephedra Intermedia by HPLC-UV,” Kor. J. Pharmacogn, Vol. 48, No. 1, pp. 93-96,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