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산림바이오매스 부존 잠재량 및 임목생장량 분석을 통한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 활용 국내산 Wood pellet 생산 가능량 예측 연구

Estimation of the production potential of domestic wood pellets using unused forest biomass by analyzing the potential volume of forest biomass and the growth of forest trees

초록
용어

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수입되는 바이오매스를 대체하고 증가하는 국내 RPS의무비율을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우드펠릿으로 사용가능한 국내 산림바이오매스 부존자원을 파악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방법과 매년 추가로 성장하는 임목생장률을 기준으로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의 양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임목가공 중 발생하는 부산물 중 20%를 우드펠릿 원료로 사용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두 가지 추정 방법으로 도출된 평균값을 기준으로 우드펠릿 생산 가능량을 예측 하였다. 그 결과 미이용 부산물은 2016년 199만 톤, 2020년 228만 톤, 2030년 308만 톤이 발생되고 원목가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임목부산물(피죽, 톱밥 등) 중 20%가 우드펠릿 원료로 활용될 경우 2016년 258만 톤/년, 2020년 295만 톤/년 2030년 398만 톤/년의 원재료가 추가되어 미이용 부산물과 원목가공 과정 중 발생되는 부산물로 생산 가능한 우드펠릿 양은 2016년에 274만 톤/년, 2020년 314만 톤/년 2030년 423만 톤/년의 우드펠릿이 생산 가능하다는 결과를 도출 하였다.

Abstract

To replace the imported biomass and to effectively cope with growing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 in power sector, the domestic forest biomass resources for wood pellets were estimated from the preceding research and annual growth rate of forest trees in this study. Assuming that 20% of the by-product from forest trees processing were used as raw material for wood pellet and the wood pellet production capacity was based on the average value derived from the above two methods, unused by-product and residues generated 1.99million tons in 2016, 2.28million tons in 2020 and 3.08million tons in 2030. If 20% of by-products(pebbles, sawdust, etc.) from roundwood processing were used as raw material for wood pellets, the wood pellet could be produced 2.74million tons/year in 2016, 2.95million tons/year in 2020, 3.98million tons/year in 2030. Therefore, total amounts of wood pellet would be increased to 2.74million tons/year in 2016, 3.14million tons/year in 2020, 4.23million tons/year in 2030 when it considered unused by-product and residues from wood processing as raw materials.

본문요약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또한1), 2)에서 도출된 산림바이오매스 연료량에 원목 가공 후 남는 부산물이 실제 현업에서 경제적 가치가 부족하여 우드펠릿 원료보다 현저하게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 시장상황을 반영하여 실제 원목 가공공정에서 발생되는 30~50%의 부산물인 피죽과 톱밥 중 원목대비 10%, 20%가 우드펠릿 원료로 활용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하였다.

    85%씩 성장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1), 2)에서 도출된 산림바이오매스 연료량에 원목 가공 후 남는 부산물이 실제 현업에서 경제적 가치가 부족하여 우드펠릿 원료보다 현저하게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 시장상황을 반영하여 실제 원목 가공공정에서 발생되는 30~50%의 부산물인 피죽과 톱밥 중 원목대비 10%, 20%가 우드펠릿 원료로 활용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하였다. 이는 NIFoS(2013)[10], COFORD(2016)[11]에서 제시된 우드펠릿의 품질에도 적합하며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 생장율과 벌채량의 경우 과거 실적의 평균 수준으로 향후에도 국내 산림바이오매스는 성장하고 벌채되며, 평균생장율(B) - 평균 별목율이 실질적인 임목생장율로 매년 2.85%씩 성장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생장율과 벌채량의 경우 과거 실적의 평균 수준으로 향후에도 국내 산림바이오매스는 성장하고 벌채되며, 평균생장율(B) - 평균 별목율이 실질적인 임목생장율로 매년 2.85%씩 성장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1), 2)에서 도출된 산림바이오매스 연료량에 원목 가공 후 남는 부산물이 실제 현업에서 경제적 가치가 부족하여 우드펠릿 원료보다 현저하게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 시장상황을 반영하여 실제 원목 가공공정에서 발생되는 30~50%의 부산물인 피죽과 톱밥 중 원목대비 10%, 20%가 우드펠릿 원료로 활용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키워드에 따른 질의응답 제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ew enewable Energy 자원 잠재량
한국에너지공단에서 발표하고 있는 New enewable Energy 자원 잠재량이란 무엇인가?
우리나라 전 지역에 걸친 신·재생에너지 자원량의 총량을 가늠하고 국내 보급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New enewable Energy 기본계획에도 적용되고 있다.

한국에너지공단에서 발표하고 있는 New enewable Energy 자원 잠재량(potential)은 우리나라 전 지역에 걸친 신·재생에너지 자원량의 총량을 가늠하고 국내 보급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New enewable Energy 기본계획에도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잠재량은 이론적 잠재량, 지리적 잠재량, 기술적 잠재량, 시장 잠재량 등으로 구분하는데, NIFoS(2014)에서는 이론적 잠재량, 지리적 잠재량, 기술적 잠재량 등 산림바이오매스 부존량을 예측하고 있고 바이오에너지의 경우 이론적 잠재량의 98.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의 현황은 어떠한가?
노력의 일환으로 발전사들을 중심으로 New & Renewable Energy에 속하는 바이오매스 연료를 발전용 연료로 사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었으나 최근 KFS 자료(2016)[4]에 의하면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국내 부존자원인 산림바이오매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활용되지 못한 산림바이오매스 자원으로 인하여 자연재해(산불, 홍수, 산사태 등) 피해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상황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발전사들을 중심으로 New & Renewable Energy에 속하는 바이오매스 연료를 발전용 연료로 사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었으나 최근 KFS 자료(2016)[4]에 의하면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국내 부존자원인 산림바이오매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활용되지 못한 산림바이오매스 자원으로 인하여 자연재해(산불, 홍수, 산사태 등) 피해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잠재량
일반적으로 잠재량은 어떻게 구분하는가?
이론적 잠재량, 지리적 잠재량, 기술적 잠재량, 시장 잠재량 등으로 구분

한국에너지공단에서 발표하고 있는 New enewable Energy 자원 잠재량(potential)은 우리나라 전 지역에 걸친 신·재생에너지 자원량의 총량을 가늠하고 국내 보급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New enewable Energy 기본계획에도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잠재량은 이론적 잠재량, 지리적 잠재량, 기술적 잠재량, 시장 잠재량 등으로 구분하는데, NIFoS(2014)에서는 이론적 잠재량, 지리적 잠재량, 기술적 잠재량 등 산림바이오매스 부존량을 예측하고 있고 바이오에너지의 경우 이론적 잠재량의 98.6%가 산림바이오에너지이며 산림바이오 총량 중 기술적으로 확보 가능한 기술적 잠재량은 지리적 잠재량의 5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참고문헌 (16)

  1. 1. The State Affairs Planning Advisory Committee, The five-year policy for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of state affairs. p.67-95,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2017). 
  2. 2.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Mandatory New and Renewable Energy Supply System and Guidelines for Management and Operation of Fuel Mixed Compulsory System., No. 2016-171, p.1-6,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2017). 
  3. 3.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Renewable Energy 3020 Implementation Plan. p.1-6,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MOTIE), (2017). 
  4. 4. Korea Forest Service(KFS), 2016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No. 46, p.267-324, Korea Forest Service(KFS), (2016). 
  5. 5.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KEEI), weekly WORLD ENERGY MARKET INSIGHT., No. 17-25, p.3-30,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KEEI), (2017). 
  6. 6.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Korea Energy Agency(KEA) New & Renewable Energy Center(NREC), 2015 New&Renewable Energy Supply Statistics. No. 337001, p.9-50, Korea Energy Agency (KEA), (2016). 
  7. 7. HAWKINS WRIGHT, The Outlook for Wood Pellets-First Quarter 2017. Available from https://www.hawkinswright.com/bioenergy/forest-energy (accessed Nov. 2017) 
  8. 8.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NARS), Current Status of New&Renewable Energy Development and Improvement Measures, Parliamentary audit corrective and Processing result evaluation report 31, p.2-36,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NARS), (2016). 
  9. 9. Y. M. Son, R. H Kim, S. J. Lee, S. W. Kim, J. S. Hwang, H. Park, "Korea's forest biomass resource amount and Map,"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NIFoS), No. 14-01, p.38-53, (2014). 
  10. 10.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NIFoS), Act on the Form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Resources(Article 39), Wood Pellet Standard, Quality Standard, p.1-23,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NIFoS), (2013). 
  11. 11. Department of Agriculture, Food and the Marine, Review of worldwide standards for solid biofuels. Product, No. 39. p1-12, Available from http://www.coford.ie/media/coford/content/publications/projectreports/cofordconnects/cofordconnectsnotes. (accessed Dec. 2017) 
  12. 12. D. S. Shin, G. S. Han, Analysis of Production Cost of Wood Pellet in Korea, p.11,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Publishers, (2012). 
  13. 13. Y. M. Son, K. H. Lee, R. H. Kim, "Estimation of Forest Biomass in Korea," Jour. Korean For. Soc., Vol. 96, No. 4 pp. 477-482, (2007). 
  14. 14. S. T. Jo, T. S. Jo, D. H. Choe, Y. S. Kim, S. H. Choe, G. S. Chae, O. G. Lee, B. H. Jeong, J. H. Oh, I. Yang, S. I. Choi, G. S. Han, Discovery of Unused Forest Biomass Resources and Characteristics of Wood Pellets, No. 13-18, p.16-128,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NIFoS), (2013). 
  15. 15.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F.A.O), Forestry Production and Trade, Available from www.fao.org/faostat/en/#data/FO. (accessed Oct. 2017) 
  16. 16. Korea Forest Service.(KFS), Sustainable Timber Comprehensive Plan[2015-2019], p.3-37, Korea Forest Service.(KFS), (2014).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이 논문과 연관된 기능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