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범위한 뇌경색증이 합병된 지발형 B군 사슬알균에 의한 수막염 증례
Late-Onset Group B Streptococcal Meningitis Complicated with Extensive Cerebral Infarction 원문보기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PIV, v.25 no.1, 2018년, pp.45 - 49  

조민수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  김용민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  조혜경 (가천대학교 길병원 소아청소년과) ,  최수한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군 사슬알균은 3개월 미만 영아에서 발생하는 침습성 감염증의 주요한 원인균이다. 신생아 침습성 B군 사슬알균 수막염에 의한 뇌혈관 합병증은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발열을 주소로 내원한 생후 29일 신생아에서 세균성 수막염이 진단되었다. 입원 3일째 경련이 발생하였고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다발성의 광범위한 대뇌피질(양측 전두엽, 측두엽후두엽)과 뇌량 및 좌측 후두엽에서 급성 뇌경색증 합병된 소견을 보였다. 환아의 혈액과 뇌척수액에서 B군 사슬알균이 분리되었고 serotype III, ST-19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환아는 피질맹과 발달 지연을 보이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oup B streptococcus (GBS) is the leading cause of neonatal morbidity and mortality. Late-onset GBS disease commonly manifests as occult bacteremia or meningitis. Approximately 50% of survivors of late-onset meningitis have long-term neurologic sequelae. Cerebrovascular complications are often as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발형 GBS 수막염은 심각한 뇌혈관 합병증을 유발할수 있다. 본 저자들은 균혈증이 동반된 지발형 GBS 수막염 환자에서 광범위한 다발성 뇌경색증이 합병된 예를 경험하였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저자들은 지발형 GBS 침습성 감염이 발생한 생후 29일된 신생아에서 다발성 뇌경색증이 합병된 수막염 사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군 사슬알균은 무엇인가? B군 사슬알균(Streptococcus agalactiae, group B strep tococcus [GBS])은 3개월 미만 영아에서 발생하는 침습성 감염증의 주요한 원인균이다. 국소 병변이 없는 균혈증과 수막염은 지발형 GBS 질환의 가장 흔한 임상 양상이다.
GBS 질환의 가장 흔한 임상 양상은 무어신가? B군 사슬알균(Streptococcus agalactiae, group B strep tococcus [GBS])은 3개월 미만 영아에서 발생하는 침습성 감염증의 주요한 원인균이다. 국소 병변이 없는 균혈증과 수막염은 지발형 GBS 질환의 가장 흔한 임상 양상이다. 20%-30%의 GBS 수막염 환자들에서 발달 지연, 인지 장애, 경직성 사지마비, 피질맹, 청력 손실 등의 후유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GBS 질환의 후유증에는 무엇이 있는가? 국소 병변이 없는 균혈증과 수막염은 지발형 GBS 질환의 가장 흔한 임상 양상이다. 20%-30%의 GBS 수막염 환자들에서 발달 지연, 인지 장애, 경직성 사지마비, 피질맹, 청력 손실 등의 후유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Pannaraj PS, Baker CJ. Group B streptococcal infections. In: Cherry JD, Demmler-Harrison GJ, Kaplan SL, Steinbach WJ, Hotez PJ, editors. Feigin and Cherry's Textbook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7th ed. Philadelphia: Saunders Elsevier, 2014:1153-69. 

  2. Lachenauer CS, Wessels MR. Group B streptococcus. In: Kliegman RM, Nelson WE, editors.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20th ed. Philadelphia: Elsevier, 2016:1337-41. 

  3. Hernandez MI, Sandoval CC, Tapia JL, Mesa T, Escobar R, Huete I, et al. Stroke patterns in neonatal group B streptococcal meningitis. Pediatr Neurol 2011;44:282-8. 

  4. deVeber GA, Kirton A, Booth FA, Yager JY, Wirrell EC, Wood E, et al. Epidemiology and outcomes of arterial ischemic stroke in children: the Canadian Pediatric Ischemic Stroke Registry. Pediatr Neurol 2017;69:58-70. 

  5. Pryde K, Walker WT, Hollingsworth C, Haywood P, Baird J, Hussey M, et al. Stroke in paediatric pneumococcal meningitis: a cross-sectional population-based study. Arch Dis Child 2013;98:647-9. 

  6. Lehman LL, Rivkin MJ. Perinatal arterial ischemic stroke: presentation, risk factors, evaluation, and outcome. Pediatr Neurol 2014;51:760-8. 

  7. Cho HK, Nam HN, Cho HJ, Son DW, Cho YK, Seo YH, et al. Serotype distribution of invasive group B streptococcal diseases in infants at two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Pediatr Infect Vaccine 2017;24:79-86. 

  8. Jones N, Bohnsack JF, Takahashi S, Oliver KA, Chan MS, Kunst F, et al. Multilocus sequence typing system for group B streptococcus. J Clin Microbiol 2003;41:2530-6. 

  9. Pintye J, Saltzman B, Wolf E, Crowell CS. Risk factors for late-onset group B streptococcal disease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of universal screening and intrapartum antibiotic prophylaxis. J Pediatric Infect Dis Soc 2016;5:431-8. 

  10. Cho HK, Lee H, Kang JH, Kim KN, Kim DS, Kim YK, et al. The causative organisms of bacterial meningitis in Korean children in 1996-2005. J Korean Med Sci 2010;25:895-9. 

  11. Chong Y, Lee K, Kwon OH, Nahm CH, Murai T, Inazumi Y. Trend of isolation and serotypes of group B streptococci in Korea. Yonsei Med J 1993;34:78-83. 

  12. Uh Y, Jang IH, Yoon KJ, Lee CH, Kwon JY, Kim MC. Colonization rates and serotypes of group B streptococci isolated from pregnant women in a Korean tertiary hospital. Eur J Clin Microbiol Infect Dis 1997;16:753-6. 

  13. Hong JS, Choi CW, Park KU, Kim SN, Lee HJ, Lee HR, et al. Genital group B Streptococcus carrier rate and serotype distribution in Korean pregnant women: implications for group B streptococcal disease in Korean neonates. J Perinat Med 2010;38:373-7. 

  14. Lee BK, Song YR, Kim MY, Yang JH, Shin JH, Seo YS, et al. Epidemiology of group B streptococcus in Korean pregnant women. Epidemiol Infect 2010;138:292-8. 

  15. Park KH, Kim KH, Kang JH, Kim KN, Kim DS, Kim YK, et al. Current status and clinical presentations of invasive neonatal Group B streptococcal infections in Korea. Pediatr Int 2011;53:236-9. 

  16. Tibussek D, Sinclair A, Yau I, Teatero S, Fittipaldi N, Richardson SE, et al. Late-onset group B streptococcal meningitis has cerebrovascular complications. J Pediatr 2015;166:1187-92.e1. 

  17. Chang CJ, Chang WN, Huang LT, Chang YC, Huang SC, Hung PL, et al. Cerebral infarction in perinatal and childhood bacterial meningitis. QJM 2003;96:755-62. 

  18. Tazi A, Disson O, Bellais S, Bouaboud A, Dmytruk N, Dramsi S, et al. The surface protein HvgA mediates group B streptococcus hypervirulence and meningeal tropism in neonates. J Exp Med 2010;207:2313-22. 

  19. Kang HM, Lee HJ, Lee H, Jo DS, Lee HS, Kim TS, et al. Genotype characterization of group B streptococcus isolated from infants with invasive diseases in South Korea. Pediatr Infect Dis J 2017;36:e242-7. 

  20. Boelman C, Shroff M, Yau I, Bjornson B, Richrdson S, deVeber G, et al. Antithrombotic therapy for secondary stroke prevention in bacterial meningitis in children. J Pediatr 2014;165:799-80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