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앙상블 지역 파랑예측시스템 구축 및 검증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nsemble Forecasting System for the Regional Ocean Wave of Korea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30 no.2, 2018년, pp.84 - 94  

박종숙 (국립기상과학원 지구시스템연구과) ,  강기룡 (국립기상과학원 지구시스템연구과) ,  강현석 (국립기상과학원 지구시스템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양파랑 예측에 있어 단일 수치모델의 불확실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앙상블 기법을 적용한 지역 파랑예측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기상청 전지구 대기 수치모델의 확률예측시스템에서 생산되는 24개 앙상블 해상풍을 입력자료로 이용, 87시간까지 파랑 예측자료를 생산하였으며, 기상청 계류부이 관측자료와 다양한 통계방법을 적용하여 검증을 수행하였다. 2일예측 이후의 앙상블 예측평균의 평균제곱근오차(RMSE)는 단일모델예측에 비하여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3일예측의 경우 단일모델예측 대비 RMSE가 약 15% 정도 향상되었다. 이것은 앙상블 기법이 수치모델의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예측정확도 향상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ROC(Relative Operating Characteristic) 분석결과, 전체 예측시간에 대하여 ROC 영역이 모두 0.9 이상을 보여 확률예측 성능이 뛰어남을 보였으며, 앙상블 파랑예측 결과가 해상 확률예보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deterministic forecast, an ensemble forecasting system for regional ocean wave is developed. This system predicts ocean wind waves based on the meteorological forcing from the Ensemble Prediction System for Global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앙상블 예측의 목적 중 하나는 앙상블 멤버(하나 또는 여러 개 멤버의 조합)가 실제 해상 상태를 대표할 수 있다고 기대하는 것이다. 따라서 앙상블 예측시스템에서의 기초적인 검증요소는 앙상블 평균과 앙상블 스프레드를 비교하는 것이다. RMSE는 식(2)과 같이 앙상블 평균과 실제 값(본 연구에서는 관측자료)의 차이를 제곱근한 값이고 스프레드는 앙상블 평균에 대한 각 앙상블 멤버들의 표준편차이다(식 3).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변 해역에서의 앙상블 파랑예측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앙상블 기반 확률예측에 대한 성능을 검증하였다. 앙상블 스프레드의 순위 히스토그램 분석을 통하여 파랑모델에서 나타나는 계절적인 편차를 보정하였으며, 앙상블 예보오차와 앙상블 멤버들의 스프레드가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어 확률예측시스템 구축은 잘 된 것으로 판단된다.
  • 기상청의 풍랑관련 특보 발표기준은 해상에서 풍속이 14 m/s 이상이 3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유의파고가 3 m 이상이 예상될 때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 해양기상의 선제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유의파고 2m에 대한 확률예측 검증을 수행하였다.
  • 앙상블 지역 파랑예측시스템은 기상청의 전지구 대기 앙상블 예측시스템(Ensemble Prediction System for Global; EPSG) 자료를 기반으로 구축되었으며, 이 시스템은 기상청 국가기상슈퍼컴퓨터 4호기에서 실시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시스템의 구축현황을 설명하고 기상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계류부이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앙상블 지역 파랑예측시스템의 예측성능을 검증하였다.
  • 앙상블 예측시스템의 기본은 앙상블 스프레드가 적절히 퍼져나가 자연 상태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앙상블 스프레드를 평가하기 위하여 순위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였다. 순위 히스토그램은 검증방법은 아니나 앙상블 스프레드를 평가하는 진단도구이다(Anderson, 1996; Hamill and Colucci, 1996; Hamill and Colucci, 1997).
  • 앙상블 파랑예측 자료를 확률예보에 활용하기 위한 확률 예측성을 검증하였다. 검증 변수는 Brier Score(BS), Brier Skill score(BSS), 신뢰도 다이어그램, Relative operation characteristic(ROC)이다.

가설 설정

  • 9. (a) Brier skill scores and (b) Brier scores for significant wave height higher than 2 m. Solid lines shows corrected ensemble and Dash lines shows raw ensembl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지구 대기 앙상블 예측시스템은 어디에서 운영되고 있는가? 앙상블 지역 파랑예측시스템은 기상청의 전지구 대기 앙상블 예측시스템(Ensemble Prediction System for Global; EPSG) 자료를 기반으로 구축되었으며, 이 시스템은 기상청 국가기상슈퍼컴퓨터 4호기에서 실시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시스템의 구축현황을 설명하고 기상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계류부이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앙상블 지역 파랑예측시스템의 예측성능을 검증하였다.
앙상블 예측의 목적 중 하나는 무엇인가? 앙상블 예측의 목적 중 하나는 앙상블 멤버(하나 또는 여러 개 멤버의 조합)가 실제 해상 상태를 대표할 수 있다고 기대하는 것이다. 따라서 앙상블 예측시스템에서의 기초적인 검증요소는 앙상블 평균과 앙상블 스프레드를 비교하는 것이다.
수치모델이 불확실성을 포함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수치모델이 불확실성을 포함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수치모델 초기 조건의 오차이다. 초기 조건의 오차에는 관측기기가 포함하는 오차와 관측자료의 부족 등이 있으며 이러한 초기 조건에서 발생된 오차는 수치 적분과정에서 점점 실제 해양상태와 멀어지게 되고 수치예측의 의미를 잃게 된다. 두 번째는 수치물리과정과 역학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차로 실제 해양상태를 묘사하기 위한 모수화 과정에서 발생된다(Buizza et al., 2005). 세 번째는 모델의 경계조건에서 발생하는 오차로 지역모델의 경우 적분시간이 길어질수록 경계면 자료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이러한 수치모델의 불확실성에 대한 한계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앙상블 예측기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Palmer,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derson, J.L. (1996). A method for producing and evaluating probabilistic forecasts from ensemble model integrations. Journal of Climate, 9(7), 1518-1530. 

  2. Ardhuin, F., Rogers, E., Babanin, A.V., Filipot, J.-F., Magne, R., Roland, A., Westhuysen, A., Queffeulou, P., Lefevre, J.-M., Aouf, L. and Collard, F. (2010). Semiempirical dissipation source functions for ocean waves. Part I: Definition, calibration, and validation.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40(9), 1917-1941. 

  3. Barker, T.W. (1991). The relationship between spread and forecast error in extended-range forecasts. Journal of Climate, 4(7), 733-742. 

  4. Berner, J., Shutts, G.J., Leutbecher, M. and Palmer, T.N. (2009). A spectral stochastic kinetic energy backscatter scheme and its impact on flow-dependent predictability in the ECMWF ensemble prediction system.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66(3), 603-626. 

  5. Buizza, R., Houtekamer, P.L., Pellerin, G., Toth, Z., Zhu, Y. and Wei, M. (2005). A comparison of the ECMWF, MSC, and NCEP global ensemble prediction systems. Monthly Weather Review, 133(5), 1076-1097. 

  6. Bunney, C.C., Li, J.-G. and Saulter, A. (2012). Met Office Wave Model ensemble Prediction Systems in the 'Atlantic-Euro Zone', MyWave Report D3.1. December 2012. Met Office, U.K. 

  7. Bunney, C. and Saulter, A. (2015). An ensemble forecast system for prediction of Atlantic and UK wind waves. Ocean Modelling, 96, 103-116. 

  8. Cao, D., Tolman, H.L., Chen, H.S., Chawla, A. and Gerald, V.M. (2009). Performance of the ocean wave ensemble forecast system at NCEP. In The 11th International Workshop on Wave Hindcasting & Forecasting and 2nd Coastal Hazards Symposium. 

  9. Flowerdew, J., Horsburgh, K., Wilson, C. and Mylne, K.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nsemble forecasting system for coastal storm surges.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136(651), 1444-1456. 

  10. Hamill, T.M. and Colucci, S.J. (1996). Random and systematic error in NMC's short-range Eta ensembles. In Preprints, 13th Conf. on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the Atmospheric Sciences, San Francisco, CA, Amer. Meteor. Soc., 51-56. 

  11. Hamill, T.M. and Colucci, S.J. (1997). Verification of Eta-RSM short-range ensemble forecasts. Monthly Weather Review, 125(6), 1312-1327. 

  12. Hasselmann, K., Barnett, T.P., Bouws, E., Carlson, H., Cartwright, D.E., Enke, K., Ewing, A., Gienapp, H., Hasselmann, D.E., Kruseman, P., Meerburg, A., Muller, P., Olbers, D.J., Richter, K., Sell, W. and Walden, H. (1973). Measurements of windwave growth and swell decay during the Joint North Sea Wave Project (JONSWAP). Erganzungsheft 8-12. 

  13. Lee, B.C., Fan, Y.M., Chuang, L.Z.H. and Kao, C.C. (2009). Parametric sensitivity analysis of the WAVEWATCH III model. Terrestrial, Atmospheric & Oceanic Sciences, 20(2). 

  14. Moon, I.-J. and Oh, I.S. (2003). A study on the effect of waves and tides on storm surge using a coupled ocean wave-circulation model.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39(5), 563-574 (in Korean). 

  15. Palmer, T.N. (2001). A nonlinear dynamical perspective on model error: A proposal for non-local stochastic-dynamic parametrization in weather and climate prediction models.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127(572), 279-304. 

  16. Park, J.S. and Kang, K.R. (2012). Sensitivity analysis of global wind-wave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4(5), 333-342 (in Korean). 

  17. Saetra, O. and Bidlot, J.R. (2004). Potential benefits of using probabilistic forecasts for waves and marine winds based on the ECMWF ensemble prediction system. Weather and Forecasting, 19(4), 673-689. 

  18. Tolman, H.L. and Chalikov, D. (1996). Source terms in a third-generation wind wave model.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26(11), 2497-2518. 

  19. You, S.H. and Park, J.S. (2010). Research on wind waves characteristics by comparison of regional wind wave prediction system and ocean buoy data. J. of Korean Society of Ocean Engineers, 24(6), 7-15 (in Korean). 

  20. Wang, J., Zhang, J., Yang, J., Bao, W., Wu, G. and Ren, Q. (2017). An evaluation of input/dissipation terms in WAVEWATCH III using in situ and satellite significant wave height data in the South China Sea. Acta Oceanologica Sinica, 36(3), 20-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