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사회복지관에서 노인과 유아의 교류 증진을 위한 지원 방향 및 공간 계획 요소
A Study on Support Directions and Spatial Planning Elements for Interaction Improvement between Elderly and Children in Social Welfare Center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7 no.2 = no.127, 2018년, pp.106 - 117  

정민모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정서인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서지은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the social welfare center planning factors of space for promoting intergenerational exchanges between the elderly and children.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professionals on the importance of planning factors. The results are as fol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노인과 아동의 공통적 특성은 ‘신체적‘, ’정서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볼 수 있으며, 이 3가지 특성을 공간계획에서 유아와 노인 세대의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원 방향으로 보고자 한다.
  • 둘째, 노인과 유아의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이들의 특성을 교합할 수 있는 세대교류 공간계획의 지원항목을 설정하고, 종합사회복지관의 공간계획 및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노인과 유아를 위한 교류공간의 구성요소를 분류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과 유아를 중심으로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 방향을 모색하고, 이를 위하여 교류공간에 필요한 공간계획요소를 추출하여 그 중요도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여러 세대 간의 교류를 필요로 하는 공간 계획 시 방법적 측면에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되고자 하며, 향후 종합사회복지관 이용자들의 교류를 더욱 활성화하여 공간의 참여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합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노인과 유아의 교류 증진을 위한 공간계획 요소를 조사·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3장에서는 노인과 유아의 세대교류 증진을 위해 공간에서 필요한 지원 항목을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설정한다. 또한 종합사회복지관의 공간 계획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공간계획의 방향성과 이에 대한 요소 및 전문가 설문을 위한 분석 틀을 설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종합사회복지관에서 노인과 유아의 특성을 고려한 세대교류공간 계획요소를 제안하고자, 사회복지사와 공간디자인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결과를 통하여 각 지원방향에 대한 계획요소의 중요도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종합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과 유아의 교류를 증진하기 위한 공간계획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연구이며, 구체적인 연구의 방법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노인과 유아의 특성을 중심으로 공간계획이나 공간디자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공간과 관련된 노인과 유아의 특성을 와 같이 정리하였다.
  • 종합사회복지관에서 노인과 유아의 세대교류공간 계획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지원방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의 지원방향을 바탕으로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이란? 연구의 범위로 자료조사의 대상으로는 세대교류 대상자인 노인 특성 및 유아 특성을 적용한 공간계획에 관한 선행연구와 문헌이다. 본 연구에서 의미하는 ‘노인’은 UN과 노인복지법 및 국민기초 생활보장법에 기준에 따른 만 65세 이상인 자를 의미하며, ‘유아’는 대한간호학 회의 기준에 따른 만 2세부터 만 6세까지의 유아기를 의미한다. 그리고 자료조사의 공간적 범위는 종합사회복지 관의 공간 중 노인과 유아가 함께 사용가능한 교류공간 10) 으로 제한하고자 한다.
고령화 현상에 큰 영향을 준 것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고령화 현상이 나타난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특히 심각한 저출산 현상이 큰 영향을 주었다고할 수 있다. 왜냐하면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1.
종합사회복지관의 세대통합프로그램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각 지자체에서 세대통합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데 경로당을 세대통합형 경로당으로 리모델링 5) 하여 노인들과 다른 세대와의 교류를 위해 시설을 구축하거나,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세대통합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6) 그러나 현재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시도하고 있는 세대교류는 프로그램에만 치중되어 있고 공간적인 면에서는 각 실을 인접하게 배치하는 정도일 뿐, 공간의 실사용자인 노인과 유아에 초점을 맞추어 두 세대의 교류 활성화를 위한 공간계획은 부족한 실정이다. 7) 그러므로 현 시점에서 노인세대와 유아세대간의 교류를 활성화 할 수 있도록 종합사회복지관의 교류공간 계획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草野篤子, 秋山博介編,, 現代のエスプリNO.444 インタ?ジェネ レ?ジョン: コミュニティを育てる世代間交流, 至文堂, 2004 

  2. 谷川松?, 世代間交流と生涯學習, 生涯學習?究e事典, 2006 

  3. 권태훈, 아동 행태 특성에 따른 어린이집 공간디자인 연구, 국민대 석사논문, 2011 

  4. 김효정, 고령사회에 있어서의 세대 간 교류 활성화를 위한 종합사회복지관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10 

  5. 박영순, 오혜경, 인테리어디자인, 재판, 다섯수레, 서울, 2017 

  6. 박태정, 고령 사회에 있어서 세대 간 교류 활성화를 위한 초등학교 시설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공주대 석사논문, 2014 

  7. 박홍, 실내디자인론, 기문당, 재판, 기문당, 서울, 2003 

  8. 박혜선, 노인복합시설 세대 간 교류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 박사논문, 2008 

  9. 오인욱, 실내디자인개론, 재판, 기문당, 서울, 2004 

  10. 양우창, 노인 데이케어센터 주요 공간 특성 요소를 고려한 가구디자인 연구, 공주대 박사논문, 2016 

  11. 이주현, 어린이의 인지발달에 따른 놀이 공간 특성 연구, 국민대 석사논문, 2008 

  12. 권순정, 노인의 특성과 노인의료복지시설의 건축계획,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제47권, 제6호, 2003 

  13. 김대진.신혜경.류호식, 노인특성을 고려한 고령자 주택 공간계획요소 평가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제27권, 제9호, 2011 

  14. 김자경, 미취학 아동의 감성 발달을 위한 연령별 놀이가구 유 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5권, 제3호, 2016 

  15. 김봉애, 김수희, 세대 간 교류를 위한 국내 종합사회복지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54권, 제2호, 2016 

  16. 박태욱, 유아 발달 특성에 따른 신체-운동 공간의 가변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7권 제1호, 2008 

  17. 박혜선, 일본 노유복합시설의 세대 간 교류공간에 관한 연구, 의료복지건축, 제15권, 제3호, 2009 

  18. 박혜선, 박영기, 종합사회복지관 세대 간 교류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4권, 제9호, 2008 

  19. 송효주, 최상헌, 노인 특성을 고려한 노인요양시설 치유환경평가에 관한 연구, 의료복지건축, 제15권, 제3호, 2009 

  20. 이민선, 전혜원, 노인전문병원 내 재활치료 공간 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7권, 제1호, 2008 

  21. 이선주, 권오정, 우리나라 노인주간보호시설의 실내공간 특성과 계획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1권, 1호, 2003 

  22. 이정원 외 3인, 아동발달 이론을 고려한 보육시설 공간 및 환경계획,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제32권, 제4호, 2016 

  23. 하지민, 박수빈, 어린이 발달특성을 지원하는 어린이병원 환경 디자인 요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제30권, 제10호, 2014 

  24. 김소영, 박수빈, 아동상담치료공간의 실내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2권, 제3호, 2010 

  25. 나종혜, 아동 발달학적으로 본 영유아가 건강하게 성장 발달하는 공간, 대한건축학회, 학술저널, 제57권, 제9호, 2013 

  26. 모표, 이종국, 노인심리요구를 반영한 주거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4 

  27. 신윤진, 형성은, 홍정표, 실버세대를 위한 치유디자인 요소 추출에 관한 기초연구, 인제대 디자인연구소,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제12권, 제4호, 2013 

  28. 신정호, 홍석지, 김미경, 아동 치유환경 개선을 위한 놀이치료 공간 계획 특성, 한국생활과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2 

  29. 최령 외 4인, 노인특성을 고려한 데이케어센터 공간계획 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1 

  30. 취향과 용도에 따라 고르는 벽 마감재, 네이버 매거진캐스트, 2016년 10월호 

  31. 재료의 경계를 허문다, '바닥재의 화려한 변신' 외, 네이버 매거 진캐스트, 2016년 10월호 

  32. 집중력이 떨어지는 아이에겐 어떤 집이 필요할까?, 네이버 매거진캐스트, 2016년 7월호 

  33. 아이를 위한 다양한 공간제안, 네이버 매거진캐스트, 2016년 5 월호 

  34. 아이를 위한 주택 설계 방안과 안전요소, 네이버 매거진캐스트, 2016년 5월호 

  35. 인테리어 전문가에게 듣다, 2016 아이방 트렌드, 네이버 매거진 캐스트, 2016년 5월호 

  36. 월간디자인, 바우킨트의 용의 동굴, 배움이 곧 놀이가 되는 공간디자인, 네이버 매거진캐스트, 2016년 5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