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의 외래에서 첩약을 포함한 비급여 조제 한약 이용결정요인 분석
Determinants analysis of uninsured herbal medicine utilization in the Korean Medicine outpatient service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22 no.1, 2018년, pp.1 - 14  

김동수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학정책연구센터) ,  김현민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인문사회의학부) ,  임병묵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인문사회의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uninsured herbal medicine(UHM) users and the economic and social barriers of UHM utilization. Methods : We used the Korea Health Panel Data, representative national survey on medical utilization and cost, provided by National Health I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동안 국내에서 비급여 조제 한약의 보험 급여를 위한 연구로 건강보험 재정 추계6), 한의사의 인식조사6,8) 등의 연구와 일반적인 한의 의료이용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한 연구7,9-15)는 있었으나 비급여 조제 한약에 국한하여 이를 이용하는 환자들의 특성을 밝히고 결정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비급여 조제 한약 이용자의 특성을 밝히고 비급여 조제 한약을 이용하는데 경제사회적인 장애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한의 건강보험 급여확대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첩약을 포함하는 비급여 조제 한약은 한의 의료이용 서비스 중 가장 고가이며 비급여 서비스의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형평적인 한의의료이용을 위한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의 중요한 항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급여 조제 한약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다양한 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의 건강보험의 전체 건강보험 진료비 대비 비중은 어떠한가? 한의 건강보험은 전체 건강보험 진료비 대비 비중이 2005년 4.4%였으나 그 이후 완만하게 감소하여 2016 년에는 3.7%에 머물고 있다1,2). 이러한 한의 건강보험의 비중 감소의 원인은 2010년 이후 4대 중증질환 보 장성 강화, 3대 비급여 대책 등으로 전체 건강보험 진료비가 상승하였으나, 그에 비해 한의 건강보험의 급여 항목은 2009년 한방물리요법 일부가 급여에 포함되고 2011년 외래 본인부담기준이 조건적으로 상향된 것 이외에는 뚜렷한 급여 항목의 확대가 없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비급여 조제 한약 이용도 축소 계산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이유는? 특히 2015년 조사부터 외래의 한방내용이 보다 세분화되었는데 2015년 이전에 ‘첩약/탕약(보약포함)/ 한약제제(분말, 환약 등)’으로 묶여있던 한약항목이 ‘첩 약 및 탕약’, ‘한방의료기관 제조 한약제제’, ‘제약회사 제조 한약제제’로 세분화되어 기존에 급여 한약제제 이 용과 비급여 조제 한약 이용의 구분이 어려웠던 점이 개선되어 비급여 조제 한약에 대한 분석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2015년 이전에 5개였던 한방내용 항목이 10개로 늘어났으나 중복선택할 수 있는 항목 개수는 2개로 줄어들어 한약을 이용하고도 이용하지 않았다고 응답할 가능성이 있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비급여 조제 한약 이용도 축소 계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한국의료패널 자료의 특징은? 1’ 중 2015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한국의료패널 자료는 한의의료만의 실태조사가 아닌 국가 조사 자료 중 유일하게 외래에서 한의 치료 항목이 구분되어 있어 한의 치료항목별로 다양한 이용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약국, 한약방, 시장 등에서의 한약 구매액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한의의료와 관련 있는 보건 관련 이용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 다16). 특히 2015년 조사부터 외래의 한방내용이 보다 세분화되었는데 2015년 이전에 ‘첩약/탕약(보약포함)/ 한약제제(분말, 환약 등)’으로 묶여있던 한약항목이 ‘첩 약 및 탕약’, ‘한방의료기관 제조 한약제제’, ‘제약회사 제조 한약제제’로 세분화되어 기존에 급여 한약제제 이 용과 비급여 조제 한약 이용의 구분이 어려웠던 점이 개선되어 비급여 조제 한약에 대한 분석이 가능해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Korean Medicine, N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The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2009 Year Book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2010. 

  2.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Korean Medicine, N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The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2015 Year Book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2016. 

  3. Han CH, Seon WH, Kim JH, Gwak MJ, Kim MG. 한의 의료행위 급여확대방안 연구. N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Dongguk University. 2016. 

  4. Jo JG, Kim NS, Do SR, Lee YH, Yoon GJ, Park JM, Jang DH, Chon JY, Kim HY, Lee NH, Yoo HS, Seo SU.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 실태조사.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5. Lim DO, Jung MJ, Park JS, Seo GS, Hwang JW, Kim EY, Kim JE, Han KJ, Kim SM, Kim YS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 실태조사.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4. 

  6. Park YS. The Execution Plan and Cost Estimation for health insurance Benefit Program of Oriented Herbs. Wonkwang University. 2001. 

  7. Park YS, Jo BH, Kim H,m Lee SB. A Study of Task and Approach for the Insurance Fee Application of Packed Medical Herbs.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03;7(1):17-28. 

  8. Lee YK, Jung MS, Lee GN. Survey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for Herbal Decoctions.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09;13(3):113-126. 

  9. Park MJ, Kwon SM.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Korean Medicine Ambulatory Services: Comparing Panel Fixed Effect Model with Pooled Ordinary Least Square.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4;24(1):47-55. 

  10. Ahn IS, Kim DI, Choi MS.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Medical Treatment Decision-Making for Overactive Bladders in Female Patients over 40 -Data from Clinical Trial Participants.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2013;26(1):69-81. 

  11. Han DW, Kim YY, Choi SJ. Hwang JH. Determinants on Korean Medicine Use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2;16(3):37-51. 

  12. Lee HJ, Yoo WS, Shung SK, Determining Factors for the Use of Oriental Healthcare Services for Survey Subjects with Chronic Illnesses :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1;15(3):115-125. 

  13. Park JE, Kwon SM. Determinants of the Utilization of Oriental Medical Services by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Medicine. 2011;32(1):97-108. 

  14. Oh JS, Han DW, Im MH, Hong YS, Lee YH, Noh HI. The Use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its Affecting Factors among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in Jeju Province, Korea.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09;13(3): 55-71. 

  15. Kim SJ, Nam CH, Kim JD, Kim BH, Kim GY.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Behavior of Oriental Medicine Utilization.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03;8(1):89-107. 

  16. Kim DS, Chong MS, Lee EK, Ko SG, Comparative analysis of medicinal expenditure archives in Korean medicine : Focusing on survey methods and expenditure of Korean medicine clinics in 2012.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5;19(2):37-50. 

  17. Yoon JW, Choi SY, Lee SD. The Use and its Affecting Factors of patients aged 30 and over with single and multiple chronic diseases and their usage outpatient Korean medicine clinics - Based o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2011 Report on usage of Korean medicine.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5;19(1): 95-107. 

  18. Rhim KH, Lee JH. Income-related inequality in medical care utilization by provider typ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2010;16(2):39-56 

  19. Upchurch DM, Burke A, Dye C, Chyu L, Kusunoki Y, Greendale GA. A Socio- beha- vioral Model of Acupuncture Use, Patterns, And Satisfaction among Women in the United States, 2002. Women's Health Issues 2008;18:62-71. 

  20. Shin JY, Kim SY, Park B, Park JH, Choi JY, Seo HG and Park JH. Predictor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in Cancer Care: Results of a Nationwide Multicenter Survey in Korea.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2;2012. 

  21. Hanssen B, Grimsgaard S, Launso L, Fonnebo V, Falkenberg T, Rasmussen NKR.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the scandinavian countries. Scand J Prim Health Care 2005;23:57-62. 

  22. Keith VM, Kronenfeld JJ, Rivers PA, Liang S. Assessing the effects of race and ethnicity on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in the USA. Ethn Health 2005;10:19-32. 

  23. Mantyranta T, Hemminki E, Koskela K. Use of alternative drugs in Finland. Pharmacoepidemiol Drug Saf 1999;8:23-9. 

  24. McFarland B, Bigelow D, Zani B, Newsom J, Kaplan M.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i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Am J Public Health 2002;92:1616-8. 

  25. McCaffrey AM, Eisenberg DM, Legedza ATR, Davis RB, Phillips RS. Prayer for health concerns -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on prevalence and patterns of use. Arch Intern Med 2004;164:858-62. 

  26. Nilsson M, Trehn G, Asplund K.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remedies in Sweden. A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within the northern Sweden MONICA Project. J Intern Med 2001;250:225-33. 

  27. Shmueli A, Shuval J.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Israel: 2000 vs. 1993. Isr Med Assoc J 2004;6: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