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융복합 시대 취업 여성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on Job Satisfaction of Working Women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2, 2018년, pp.133 - 140  

조금분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백진아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융복합 시대 취업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일자리에서의 차별경험이 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아존중감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개발원에서 조사한 장애인고용패널 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취업 여성장애인 549명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취업 여성장애인의 일자리에서의 차별경험은 직무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은 취업 여성장애인의 차별경험과 일 만족도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취업 여성장애인의 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일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는 상황에서 자아존중감의 제고를 통해 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취업 여성장애인의 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on job satisfaction among working women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meditating effect of self-esteem. To this end, the data from the 8th year of the employment panel of disabled population surveyed by the EDI; Korea Employment A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차별로 인해 직무만족도가 낮은 집단의 일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취업 여성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발생하지 않도록 인식 개선 방안 및 긍정적으로 자신을 바라보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천적 개입 방안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취업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일자리에서의 차별경험과 일 만족도 간에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차별로 인해 직무만족도가 낮은 집단의 일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취업 여성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발생하지 않도록 인식 개선 방안 및 긍정적으로 자신을 바라보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천적 개입 방안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취업 여성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고용패널 제 8차년도 데이터에서 취업 여성장애인 549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취업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일자리에서의 차별경험과 일 만족도 간에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차별로 인해 직무만족도가 낮은 집단의 일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자리에서 차별에 상당기간 노출로 인해 본인의 업무나 대인관계형성이 되는 부정적인 작용을 막기 위해 필요한 방법은 무엇인가? 일자리에서 차별에 상당기간 노출될 경우, 부정적인 생각에 빠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본인의 업무나 대인관계형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장애로 인해 스스로를 평가절하하지 않도록 미술치료상담이나 심리치료상담과 같은 다양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며, 지역사회복지관이나 장애인복지센터 등에서 운동이나 재활서비스를 여성장애인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실천적인 서비스의 제공이 요구된다.
일 만족은 무엇인가? 일 만족은 산업분야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개념으로 일 만족에 대한 정의는 연구자마다 차이를 보인다. 일 만족이란 개개인이 자신의 업무와 관련된 경험을 평가함으로서 얻는 감정 상태를 나타내며[17], ‘개개인의 업무와 관련한 경험을 평가함으로서 얻게 되는 정서적 상태 또는 감정’으로 정의된다[18]. Cho의 연구에서는 일 만족도와 직무만족을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일 만족도는 근로환경, 임금 또는 소득수준 및 근로시간 등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19].
취업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일자리에서의 차별경험이 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연구에 대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개발원에서 조사한 장애인고용패널 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취업 여성장애인 549명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취업 여성장애인의 일자리에서의 차별경험은 직무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은 취업 여성장애인의 차별경험과 일 만족도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취업 여성장애인의 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일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는 상황에서 자아존중감의 제고를 통해 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취업 여성장애인의 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K. H. Kim, Y. R. Park & J. K. Lee. (2005). Social Problems and Social Welfare. Gyeonggi: Hakhyunsa. 

  2. S. W. Choi & J. H. Nam. (2013). The Study of Job Satisfaction Factors of Wom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2(4), 225-241. 

  3. KEAD RIGHE RESERVED. (2017). 2016 Statistics on the Handicapped. 

  4. H. B. Choi. (2018). BeMinor. http://beminor.com/ 

  5. Y. A. Kim & Y. S. Jung. (2015).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Retention of Good Jobs among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Korea Social Policy Review. 22(3), 337-361. DOI : 10.17000/kspr.22.3.201509.337 

  6. J. Y. Song & K. S. Ryu. (2014). The Influence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on Job Satisfaction of Wage Earners with Disabilities-Focused on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8(4), 119-144. 

  7. E. Bardasi & M. Francesconi. (2004). The Impact of Atypical Employment on Individual Wellbeing: Evidence from a Panel of British Workers. Social Science & Medicine. 58, 1671-1688. DOI : 10.1016/s0277-9536(03)00400-3 

  8. D. U. Kang & H. G. Lee. (2008). The Reasonable Accommodations' Impacts on Employment and Job Reten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12, 5-26. 

  9. J. K. Park, J. J. Kim & Y. J. Kang. (2009). Job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2010.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https://www.kead.or.kr/english/index.jsp 

  10. J. Y. Song. (2014). The Influence of Discrimination on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with Disabilitie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Employment Status. Major in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Kyonggi University, Kyonggi. 

  11. J. S. Choi. (2011). A Study on Determinants of the Development Program for Women with Disabilities-Focused on the Workers' Gender Egalitarianism in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Master's Program in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Administration The Yonsei University of Korea, Seoul. 

  12. S. Uppal. (2005). Disability, Workplace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anpower. 26(4), 336-349. DOI : 10.1108/01437720510609537 

  13. J. Y. Song, G. I. Ahn & J. W. Miin. (2013). The Influence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on Depress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upport.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8, 5-23. DOI : 10.15707/disem.2013.23.1.003 

  14. J. Desrosiers, L. Norau, A. Rochette, G. Bravo & C. Boutin. (2002). Predictors of Handicap Situations Following Post-Stroke Rehabilitatio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4(15), 774-785. DOI : 10.1080/09638280210125814 

  15. C. S. Lee & M. S. Kim. (2013).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ffecting Job Maintenance of the Workers with Disabilities. Disability & Empolyment, 23(1), 327-356. DOI : 10.15707/disem.2013.23.1.013 

  16. J. I. Kim. (2013). The Influence of Disability Acceptance, Discrimination, Socioeconomic Status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Disability & Empolyment, 23(4), 59-84. DOI : 10.15707/disem.2013.23.4.003 

  17. B. I. Kim. (2005).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sion of the Employee in Food Service Industry.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Kyong-gi University, Kyonggi. 

  18. S. W. Choi & J. H. Nam. (2013). The Study of Job Satisfaction Factors of Wom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2(4), 225-241. 

  19. O. S. Cho. (2016). The Influences of Burden of Caring Unmarried Adult Children of Married Women in Employment on Depress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Couple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Modifying Effects of Economic Care. Department of Educational Graduate School Hansei University, Kyonggi. 

  20. E. J. Lee. (1993).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Person on the Job Satisfacti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Seoul. 

  21. S. A. Kim. (1995). An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Labor Turnover for the Handicapped. KEAD RIGHT RESERVED. https://www.kead.or.kr/english/index.jsp 

  22. J. K. Park. (2010). A Study on the Economic Activation Plan for the Handicapped. KEAD RIGHT RESERVED. https://www.kead.or.kr/english/index.jsp 

  23. S. U. Kim & H. J. Yoo. (2002). Behavioral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 GLM and GEE Estimation of National Sample Data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ology, 36(1), 51-81. 

  24. J. D. Kemp. (1990). ADA, Ability, AccomodationsAccess to Employment. American Rehabilitation. 16(4), 18-22. 

  25. R. T. Roessler & P. D. Rumrill. (1995)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Work Site Barriers to Job Mastery and Job Satisfaction for Employed People with Multiple Sclerosis.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39(1), 2-14. 

  26. J. H. Sung, Y. M. Lee & S. J. Oh. (2006). A Study of Disabled Women and Non-Disabled Women’s Job Situations and Job Satisfactions: Focused on the Women Worked at Same Workplace. The Journal of Asian Women. 45(1), 101-140. 

  27. S. Coopersmith. (1981).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2nd ed.). Palo Alto, Californi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28. M. R. Leary & G. McDonald. (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Self-Esteem: A Review and Theoretical Integration. In M. Leary & J. Tangney(Eds.), Handbook of Self and Identity. New York: Guilford Press. 

  29. E. T. Higgins. (1991). Development of Self-Regulatory and Self-Evaluative Processes: Costs, Benefits, and Trade-Offs. In M. R. Gunnar & L. A. Sroufe(Eds). Self Processes and Development: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30. E. B. Lee., K. Y. Rhee & W. H. Na. (2008).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Work Productivity among Workers with Disabilities,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9(4), 95-121. 

  31. M. S. Kim & N. H. Kim. (2011). Impact of Self-Esteem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5(2), 147-155. DOI : 10.12811/kshsm.2011.5.2.147 

  32. J. N. Kim & M. K. Seo. (2004). Effects of Perceived Stigma on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the Mental Illnes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6(4), 173-194. 

  33. J. H. Jeon. (2010). Stud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Depress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and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Mental Health & Social Work. 35, 51-80. 

  34. M. A. Nosek., R. B. Hughes, N. Swedlund, H. B. Taylor & P. Wank. (2003). Self-Esteem and Women with Disabilities. Social Science & Medicine. 56, 1737-1747. 

  35. Y. M. Jang, G. Y. Kang & J. W. Park. (2010). A Study Effect of on Care Workers Job Satisfaction in the Korea and Japa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0, 173-196. 

  36. M. S. Kim & N. H. Kim. (2011). Impact of Self-Esteem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5(2), 147-155. DOI : 10.12811/kshsm.2011.5.2.147 

  37. Rosenberg, M.(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8.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tator-Mek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 : 10.1037//0022-3514.51.6.1173 

  39. J. K. Park, J. J. Kim & Y. J. Kang. (2009). Job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KEAD EDI. 2009-06. https://edi.kead.or.kr/Index.do 

  40. A. E. Polivka & T. Nardone. (1989). On the Definition of Contingent Work. Monthly Labor Keview. 112, 9-16. 

  41. E. H. Lee & B. K. Jung. (2012). A Study on Eco-Systemic Factors that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are Givers who Involved in Long-Term Care Service Center.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0(10), 383-388. 

  42. M. S. Kim & N. H. Kim. (2011). Impact of Self-Esteem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5(2), 147-155. DOI : 10.12811/kshsm.2011.5.2.1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