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장용 문신으로 사용되는 염료 및 색소의 중금속 분석
Analysis of Heavy Metals in Dyes and Pigments Used in Make up Tattoo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4, 2018년, pp.321 - 329  

정미라 (한서대학교 보건의료학과) ,  이희성 (한서대학교 피부미용화학과) ,  이지영 (한남대학교 미용학과) ,  이선화 (한서대학교 미용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화장용 문신으로 사용되는 염료 및 색소의 대표적인 중금속과 기타 금속류 분석을 통하여 염료 및 색소에 관한 정확한 정보 제공 및 생산에 대한 적절한 지침과 통제의 기준을 확립하는데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화장용 문신 제품 30개를 대상으로 화장용 문신 염료 기준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중금속인 비소, 안티몬, 코발트, 카드뮴, 구리, 납, 아연, 바륨, 주석, 셀레늄, 크롬마그네슘, 망간, 티타늄, 알루미늄에 대한 성분 함유량 검출(15종)을 분석하였다. 화장용 문신 제품에 사용되는 염료 및 색소의 중금속류 성분의 함유량을 검사한 결과, 총20개 제품(66.7%)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중금속이 검출되어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한 시술을 위한 전문기관의 지침과 사용되어지는 염료 및 색소에 대한 적절한 통제관리 및 표준지침, 중금속의 잠재적인 위험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시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ovide data for establishing appropriate guidelines and control standards for accurate information and production of dyes and pigments through the analysis of representative heavy metals and other metals used in cosmetic tattoos. A total of 30 tattoo products for cosme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화장용 문신으로 사용되는 염료 및 색소의 대표적인 중금속과 기타 금속류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논의를 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장용 문신으로 사용되는 염료 및 색소에 쓰이는 중금속과 기타 금속류의 분석을 통하여 화장용 문신의 안전한 보급을 위해 염료 및 색소에 관한 정확한 정보 제공 및 생산에 대한 적절한 지침과 통제의 기준을 확립하는데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각 금속류의 함량 기준치는 10㎎/㎏으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의 화장용 문신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가? 현대의 화장용 문신은 마이크로 색소 침착을 위해 일회용 바늘이 달린 진동식 펜과 수동용 문신펜을 사용하여 표피층에 염료(dry) 및 색소(pigment)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3]. 이때 사용되는 화장용 문신의 염료 및 색소는 주로 래커, 플라스틱, 잉크 등에 사용하기 위해 공업용으로 생산되던 것으로 불활성 분산제(dispersant) 및 방부제(preservatives), 화장품 및 색소첨가물로 분류되어 있는 첨가제(addition)로 구성되어 있다.
현대의 염료 및 색소에는 어떤 금속류들이 포함되어있는가? 이때 사용되는 화장용 문신의 염료 및 색소는 주로 래커, 플라스틱, 잉크 등에 사용하기 위해 공업용으로 생산되던 것으로 불활성 분산제(dispersant) 및 방부제(preservatives), 화장품 및 색소첨가물로 분류되어 있는 첨가제(addition)로 구성되어 있다. 현대의 염료 및 색소는 주로 유기농을 사용하고 있지만, 여전히 중금속인 비소(As), 안티몬(Sb), 코발트(Co), 카드뮴(Cd), 구리(Cu), 납(Pb), 아연(Zn), 바륨(Ba), 주석(Sn), 셀레늄(Se), 크롬(Cr)과 마그네슘(Mg), 망간(Mn), 티타늄(Ti), 알루미늄(Al) 등의 금속류를 포함하고 있다[4]. 중금속류가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은 오랫동안 알려져 왔지만 중금속류에 대한 노출은 계속되고 있으며 특히 안티몬은 장시간이 지난 후에도 구토, 피부 착색 등의 증상이 나타며, 오래된 카드뮴 독성은 잠재적인 감광 반응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5].
본 연구에서 화장용 문신 제품 30개를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 중 중금속 중복검출 내역은 어떠한가? 또한 본 실험에서 주로 브라운 계열의 색상이 중금속을 많이 함유하고 있음을 보였다. 제품별 중금속 중복검출 내역을 보면 중금속 1종 검출이 13개, 2종 검출이 2개, 3종 검출이 5개로 나타났다. 이는 중금속의 위해성으로 인해 피부질환 및 질병, 합병증, 통증 등에 노출되어 있음을 밝혀 앞으로 염료 및 색소에 대한 적절한 통제관리 및 표준지침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 Griffiths, J. Barker, T. Bleiker, R. .J. G. Chalmers, D. Creamer & G. A. Rook. (2016), Rook's Textbook of Dermatology. 3, 9th ed. John Wiley & Sons Inc, Chichester, West Sussex. 

  2. S. M. Wenzel, J. Welzel, C. Hafner, M. Landthaler & W. Baumler, (2010). Permanent make-up colorants may cause severe skin reactions. Contact Dermatitis, 63(4), 223-227. DOI:10.1111/j.1600-0536.2010.01799.x. 

  3. G. Garg & G. P. Thami. (2005). micropigmentation: tattooing for medical purposes. Dermatol Surg, 31(8), 928?931. 

  4. N. Kluger & V. Koljonen, (2012). Tattoos, inks, and cancer. The lancet Oncology, 13(4), 161-168. DOI: /10.1016/S1470-2045(11)70340-0 

  5. L. Jarup, (2003). Hazard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British Medical Bulletin, 68(11), 167-182. DOI: 10.1093/bmb/ldg032 

  6. J. M. O. Salvador, A. E. Martinez, D. S. Ferrer, A. M. V. Martinez & V. Z. Ninet. (2017). Para-phenylenediamine allergic contact dermatitis due to henna tattoos in a child and adolescent population. Anales de Pediatria, 86(3), 122-126. DOI: 10.1016/j.anpedi.2016.02.010 

  7. A. Messahel & B. Musgrove. (2009). Infective complications of tattooing and skin piercing. Journal of Infection and Public Health, 2(1), pp.7-13. DOI: 10.1016/j.jiph.2009.01.006 

  8. The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Article 34 of the Act on Registration and Evaluation of Chemical Substances. 

  9. S. M. Wenze, M. Landthaler W Baumle, (2013). Adverse reactions after tattooing: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comparison to results of a survey. Dermatology, 226(2), 138-147. DOI: 10.1159/000346943 

  10. D. Y. Kim & T. B. Chon. (2014). Research Paper : A Research in experienced customer's perception levels on semi-permanent makeup-comparison of Korea, Japan and Americ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0(6), 1083-1090. http://www.riss.kr/link?idA100266627 

  11. S. N. Hong. (2017). Effects of semi-permanent make-up image effects on the word of mouth intention and repurchase.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3(3), 227-286. http://www.riss.kr/link?idA104182352 

  12. S. Y. Jo & J. M. Lee. (2011). Method for semi-permanent special make-up of eyebrows.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15(2), 47-56. http://www.riss.kr/link?idA82709072 

  13. G. H. Park. (2016). A Study of the effects of semi-permanent makeup, customers'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customers' intention to get the treatment again and recommend it to oth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7(1), 189-205. http://www.riss.kr/link?idA101822872 

  14. G. R. Lee & J. M. Lee. (2012). Analysis of semi-permanent makeup procedure technique.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6(4), 111-121. http://www.riss.kr/link?idA99556262 

  15. E. K. Seo & S. W. Kang. (2015). Awareness and practice on the prevention of bloodborne infection among semipermanent makeup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6(3), 147-157. http://www.riss.kr/link?idA101005309 

  16. S. G. Kim & D. H. Park. (2016). Comparison of awareness and purchase satisfaction for semi-permanent make-up between Korean and Chines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2(4), 781-791. http://www.riss.kr/link?idA102090785 

  17. I. Schreiver, C. Hutzler, S, Andree, P. Laux & A. Luch, (2016). Identification and hazard prediction of tattoo pigments by means of pyrolysi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rchives of Toxicology, 90(7), 1639-1650. DOI: 10.1007/s00204-016-1739-2 

  18.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2001),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Editorial Board, Descent culture history, 248-293. 

  19. B. Y. Un, D. H. Moon, M. H, Park, Y. S. Hang, S. E, Ham, B. C. Son, D. H. Kim, H. D. Kim, C. E. Lee. (2002). A study on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permanent agents. Inje Medical Journal, 23(5), 615-625. http://www.riss.kr/link?idA40020121 

  20. H. Y. No, U. S. kim, (2008), A study on harmful effect of heavy metal substance contained in products for perm and method of control.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ics society, 6(3), 65-78. http://www.riss.kr/link?idA763801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