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소비자의 리콜 역량과 리콜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umer Recall Competency and Recall Experie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4, 2018년, pp.1 - 10  

구혜경 (충남대학교 소비자학과)

초록

우리나라는 매년 리콜 상품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소비자의 리콜 참여율 자체는 매우 저조하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적극적인 리콜 참여를 위해 필요한 요소를 리콜 역량으로 보아 리콜 역량의 구성 요소 파악, 리콜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리콜 역량 요소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성인 소비자 1,626명을 대상으로 리콜 경험 및 리콜 역량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리콜 역량의 하위 요인으로 리콜 참여 의지, 리콜 관련 기술, 리콜 제도 인식, 주관적 지식, 객관적 지식의 5가지 요인을 도출하였다. 조사 대상자 중 리콜 경험, 비경험자로 구분하여 각각의 리콜 역량을 비교한 결과 5개 하위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실천적 역량으로서 리콜 관련 기술 요인과 주관적 지식 역량이 리콜 경험에 가장 큰 영향을 나타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리콜 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정책 대상자인 소비자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소비자의 리콜 역량의 강화를 통한 리콜 참여율 제고를 위해 리콜 정보 개선하고 정보탐색 접근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소비자 지향적인 리콜 제도로 개선하고 소비자의 리콜 관심도 증진을 위한 환경 조성에 정부, 학계, 단체 등의 유기적인 협력이 이루어지는 것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the number of recalled products is steadily increasing annually, but the recall participation rate of consumers is very low. This study looked at recall competency as a necessary factor for active recall participation by consumers. And identify the components of the recall competency an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소비자 지향적인 리콜 제도가 되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리콜에 관심을 가지고 리콜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인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소비자의 리콜 역량 향상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일반적인 소비자 역량은 소비자의 태도, 기술, 지식의 세개 영역으로 구성되지만 본 연구에서 확인한 리콜 역량은 소비자의 태도가 리콜에 대한 참여 의지, 리콜 법제에 대한 인식의 두 가지 요소로 도출되었으며 리콜의 기술 측면에서 리콜 정보 탐색 기술 역량이 도출되었다.
  • 이는 소비자의 리콜 정보 탐색 기술 역량의 증진에 밑거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접근성과 이해도가 높은 리콜 정보의 제공이 중요함을 강조하고자 하며 소비자의 주관적 지식 향상을 위한 방안을 강조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리콜 경험 여부를 우선 확인하였다. 그 결과 조사 대상자 1,626명 중 730명(44.
  • 본 연구에서는 리콜 역량의 구성 요소 중 리콜에 대한 객관적 지식도 측정하였다. 우리나라 리콜 제도에 대해 잘 알고 있는지 O, X 퀴즈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전체 6개 문항에 대한 정답개수를 객관적 지식 점수로 환산하였다.
  • 둘째, 소비자의 리콜 역량을 측정하고 리콜 경험자와 비경험자간에 리콜 역량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리콜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역량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한다. 셋째, 실증 분석 결과를 토대로 리콜 활성화 및 안전 시장 구현을 위한 제도 개선 및 교육 방안 등을 정책 대상자인 소비자의 관점에서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가 안전한 시장을 구현하는데 있어 소비자의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그러나 여전히 소비자의 리콜 참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규명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콜 경험자와 비경험자간의 리콜 역량 수준을 비교하고, 리콜 경험으로 이끌 수 있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시도가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 이러한 특성 외에도 주관적 지식은 특정 상황에 대한 소비자 스스로의 이해도나 확신 수준으로 볼 수 있다[37, 38].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리콜에 대한 관심이나 태도 외에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리콜의 중요성 및 리콜에 대한 주관적 지식을 역량의 주요 구성요소로 보고 측정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소비자의 리콜 경험 전반을 탐색하고, 리콜 경험자와 비경험자간에 리콜 역량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소비자의 리콜 참여를 강화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우리나라 소비자의 리콜 경험 및 리콜 경험 품목, 리콜 정보를 접한 매체의 종류 및 정보 만족도 등의 전반적 실태를 파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콜 제도는 어떻게 나눠지는가? 리콜 제도는 소비자의 안전이 위협받는 경우 이루어지는 사후적 조치로서 강제리콜인 리콜 명령과 기업 스스로가 브랜드 가치 확보를 위해 수행하는 자발적 리콜(자진 리콜)로 구분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리콜제도라고 표현하는 것은 소비자의 안전에 위협이 되는 상품을 시장에서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리콜 제도의 통합적인 컨트롤 타워는 없다.
리콜제도, 리콜을 활성화 하기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소비자의 안전을 지키는 리콜제도, 리콜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리콜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책적, 제도적 개선 외에 소비자의 리콜 역량의 강화가 요구된다. 그 동안 소비자의 리콜 참여가 저조한 원인으로 리콜 정보 자체의 어려움, 리콜 정보 전달의 실효성 부재 등 리콜 정책과 관련된 문제점 외에 소비자의 귀찮음이나 무관심 등이 거론되었다.
리콜 제도의 통합적인 컨트롤 타워가 없는 이유는? 통상적으로 리콜제도라고 표현하는 것은 소비자의 안전에 위협이 되는 상품을 시장에서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리콜 제도의 통합적인 컨트롤 타워는 없다. 왜냐하면 실존하는 무수히 많은 상품들의 특성이 다르므로 상품군 혹은 산업군별로 리콜을 관장하는 법률과 정부 부처는 구분되어 있기 때문이다. 법률 제도의 측면에서 보면 소비자기본법을 비롯한 13개 법률에서 리콜 관련 내용을 명시하고 있고, 관련 정부 기관에 리콜을 담당하는 부서가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D. H. Min. (2017. 08. 03.). Moneytoday News. http://news.mt.co.kr/mtview.php?no2017080310463720357 

  2. H. G. Koo. & S. M. Jun. (2017). A Study on Providing Consumer-Oriented Recall Information : Focusing Recall Information Standardization. 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 48(3), 123-155. http://dx.doi.org/10.15723/jcps.48.3.201712.123 

  3. S. M. Jun & H. G. Koo. (2017). The Influence of Recognition about Recall Risk Information on Risk Perception and Recall Intention : Exploring Differences According to Types of Risk Information. Journal of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13(4), 173-194. 

  4. Y. J. Lee. (2017. 10. 27.). Women News. http://www.womennews.co.kr/news/117767 

  5. S. Y. Choi. (2017. 10. 12.). Newsis.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1012_0000116076&cID13001&pID13000 

  6. D. H. Kim. (2017. 09. 17.). Yonhap News.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9/16/0200000000AKR20170916030000003.HTML?input1195m 

  7. E. S. Choi. (2012). A Study on Improvement Plan through Consumer's Current Status & Consciousness Survey of Consumer Recall Policy. Safety Report, Korea Consumer Agency, 2012(12), 1-139. 

  8.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2017. 06. 09.).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Republic of Korea. http://www.korea.kr/policy/pressReleaseView.do?newsId156212282 

  9. Fair Trade Commission. (2017. 10. 10). http://www.ftc.go.kr/www/selectReportUserView.do?key10&rpttype1 

  10. Fair Trade Commission. (2017. 08. 03). http://www.korea.kr/policy/pressReleaseView.do?newsId156218470 

  11. H. N. Lee. (2017. 10. 29.). Gukjen News. 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10669 

  12. N. M. Sung & J. H. Oh & S. G. Kim. An Study on Improvement of Vehicle Recall System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2(4), 57-67. 

  13. G. Y. Ko. (2002). A Comparative Study of Car Recall Policy between Korea and USA. 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 25, 15-38. 

  14. J. I. Lee. (2006). A Study on Improving Efficiency of Products Recall System. Eumseong : Korea Consumer Agency. 

  15. J. Y. Kim & K. H. Kwon. (2013). A Study on the Status of Pharmaceutical Quality Management System in the Persepctive of Recall Issue of Children's Antipyretic Oral Suspension and Introducing Advanced Management Model in Korea. Journal of Crisisonomy, 9(11), 239-272. 

  16. S. J. Oh & Y. Y. Kwak. (2015). A Study on Enhancing Consumers "Use of Products" Recall Information. Seoul : Korea Consumer Agency. 

  17. G. S. Ji. (2013). How to improve Government websites on product recall Information - Analysis using a perspective of information systems -. 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 44(2), 97-123. 

  18. Y. K. Bae. Vehicle Recalls And Corrective Behavior: Information Transmission Mechanisms. The Korean National Economic Association, 34(4), 103-142. 

  19. J. K. Noh & K. S. Song, S. K. Beom. The Effect of The Firm s Product Recall on Brand Trust, Corporate Trust, Brand Loyalty and Br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Academic Society of Global Business Administration, 12(3), 21-47. 

  20. M. S. Park & K. H. Lee & D. Y. Koh. (2013).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Recall on the Enterprise Value. 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 44(1), 27-44. 

  21. S. I. Jang. (2010). A Study on Influence Which the Patterns of Recall Have on Reliability of a Company and Its Brand : Centered on Recall's Spontaneity and the Seriousness of Defect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1(1), 127-145. 

  22. N. M. Sung & J. H. Oh & J. T. Oh. Estimation of Benefits by Implementing Motor Vehicle Recall System. Journal of Korea Transportation Research Society, 22(3), 59-67. 

  23. E. S. Choi. & S. M. Kim. (2013). A Study on Company Recall System and Consumer's Recall Consciousness, Korea Consumer Agency, 2013 Report, 1-82. 

  24. S. M. Jun & E. S. Choi. (2014). Consumers' Confidence and Purchase Intentions for Product Recalls Based on Recall Spontaneity and Communication - Interaction Effects of Product Types and Consumers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 Journal of Crisisonomy, 10(10), 243-263. 

  25. H. J. Yoo & H. K. Yang & S. M. Jun & H. J. Cheon & S. J. Park. (2015). Consumers' Awareness, Cop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on Food Safety Regulation : The Case of GMO Food and Food Recall System. Journal of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11(3), 97-114. 

  26. H. I. Lee & Y. Sim. Consumer Perception , and Consumer Information and Education on the Recall System.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0(2), 85-111. 

  27. K. O. Huh. (2011).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on consumers' attitude, request, and participation toward product recall. Journal of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7(2), 167-182. 

  28. G. C. Lee. & J. E. Kim. (2012). Consumer Education : Theory & Practice, PJ ; Kyomunsa. 

  29. J. Y. Son & J. Y. Sa. (2017). Validation of the Consumer Empowerment Index in the Korean Context. 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 48(1), 81-107. 

  30. J. O. Park & S. H. Sohn. (2012). Problems in the Financial Market: A Study on the Level of Consumer Experience and Its Influential Factors. 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 43, 49-69. 

  31. Y. H. Lee & J. H. Lee. (2014). Effects of Awareness of Guarantee of Medical Service Right and Satisfaction of Consumer Competency on Satisfaction of Medical Service. 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 45(3), 81-111. 

  32. S. L. Lee & J. Y. Son & H. R. Ha & M. J. Kim. (2014). Consumer Anxiety on Foods hazards and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 focusing on the effects of subjective consumer competency and safe food purchasing behavior -. 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 45(2), 137-157. 

  33. H. G. Koo. (2012). The effectiveness of cosmetic ingredients labeling as a method of providing technical information. 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 42, 219-248. 

  34. H. G. Koo & J. Y. Rha. (2013). Designing and testing for consumer centric information provision for insurance product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4(2), 153-181. 

  35. J. Y. Rha & H. G. Koo & H. J. Kim & J. M. Lee & H. R. Lee & H. Y. Li. (2013). Consumer Information Search Type for Financial Product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4(4), 99-124. 

  36. H. G. Koo & J. Y. Rha. (2015). Which Factors Could Affect Financial Consumer Problems Experience? - Convergence Approach of both Technical Information and Subjective Competenc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5), 31-39. 

  37. S. O. Kang & K. S. Ha. (2013). Relations between the Middle Aged's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nd their Preparations for the Old Ag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2), 121-144. DOI : http://koreascience.or.kr/journal/view.jsp?kjDJTJBT&py2013&vncv11n12&sp121 

  38. Y. I. Kim, Y. C. Cheo & Y. J. Choi. (2015). A study on the Convergence Factors Which Influence on the Sustainability of Volunteer Activities - Focused on Ansan Volunteer Cente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0), 41-50. DOI : http://koreascience.or.kr/article/ArticleFullRecord.jsp?cnDJTJBT_2015_v13n10_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