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용 인상재의 사용 실태에 대한 융합 연구
The convergence study on the use of dental impression material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4, 2018년, pp.195 - 203  

장선옥 (한림성심대학교 치위생과) ,  최은미 (경동대학교 치위생학과) ,  강민경 (한서대학교 치위생학과) ,  심연수 (선문대학교 치위생학과) ,  조윤정 (오스템 임플란트) ,  오상환 (건양대학교 치위생학과) ,  최유리 (한림성심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치과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치과인상재의 종류 및 채득 방법에 대해 조사해보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설문조사는 전국치과병(의)원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기관당 1부씩 자기기입식 방법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상재의 종류별 진료 내용에서는 대부분의 진료에서 부가중합형 인상재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았다. 인상채득방법은 점도에 분류에 의한 light body와 heavy body를 사용하는 흐름성이 다른 인상재를 한번에 채득하는 방법을 가장 선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임플란트 인상채득방법에는 직접법간접법 모두 흐름성이 다른 두 가지 고무인상재를 한번에 채득하는 방법이 가장 선호되었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주조수복재와 보철물의 인상채득방법에서는 각각 연령과 임상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임상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인상재의 종류를 파악해보고 치과전문가에게 요구되는 인상재의 선호도에 따른 이론과 실무에 대한 업무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methods of dental impression materials used in dental clinics in south Korea, the questionnaire was surveyed by a self-administered method for one dentist in a one dental clinic,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0. The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알지네이트, 아가, 폴리설파이드, 부가중합형 실리콘 인상재, 폴리이써 및 콤파운드 인상재들이 각 진료내용별 사용되고 있는 실태에 대해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료내용별 사용빈도, one step, two step등의 채득방법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치과 병·의원에서 사용되고 인상재의 선택 경로와 기준, 진료 내용별 인상재 사용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치과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치과인상재의 종류 및 채득 방법에 대해 진료 내용별로 실태조사를 시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되고 있는 치과인상재의 종류와 채득 방법의 선호도를 알아볼 수 있어 향후 임상에서 치과위생사에게 요구되는 인상재의 선호도에 따른 이론과 실무에 대한 업무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용 인상재 중 폴리이써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폴리이써는 치과시장에서 사용된 지 40년이 지났다. 친수성이며, 좋은 미세부재현성, 라텍스글러브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몇몇 환자에게는 좋지 않은 맛을 가져 올수 있으며 보관기간에 따라 크기 변화가 일어난다는 단점이 있다[8].
치과용 인상재는 무엇이고, 이를 어떻게 사용하는가? 치과용 인상재는 구강조직을 복제할 때 사용하는 재료이며, 복제된 인상체에 석고 모형재를 이용하여 악궁을 복제한 후, 구강 외에서 와동이나 지대치에 수복물을 제작하게 된다[1].
알지네이트와 아가 인상재 각각의 특징은? 알지네이트 인상재(alginate impression materials)는 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인상재이며[4] 화학반응에 의해 졸에서 겔로의 변화를 통해 인상체가 경화된다. 알지네이트 인상재는 비가역성 수축이 발생하거나, 인상재 중 미세부 재현성이 제일 낮고, 트레이에서 유지력이 약해 구강 내에서 제거 시 심한 변형이 올수 있으며, 금속모형재를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방법으로 다루어야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5]. 아가인상재(agar impression materials)도 하이드로콜로이드 인상재이며, 치과용으로 사용된 최초의 탄성 인상재이다. 정확한 방법에 따라 액화(liquefaction) 시킨 후, 보관(storage)을 하고 있으면 필요할 때 곧바로 사용할 수 있어 진료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불충분하게 액화를 하게 되면, 재료가 과립상이 되고, 뻣뻣해져서 미세부를 정확하게 재현할 수 없거나, 기포 형성이 될 수 있고, 취급과 구강 내 조작 방법의 부주의에 따라 트레이용 재료와 주사기용 재료가 분리되거나, 찢김, 기포, 변형 등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높은 온도에서 보관 시 치아나 주위 연조직에 화상을 위험성도 가지고 있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R. G. Craig. (1988). Review of dental impression materials. Advances in dental research, 2(1), 51-64. DOI: 10.1177/08959374880020012001 

  2. A. Punj, D. Bompolaki & J. Garaicoa. (2017). Dental Impression Materials and Techniques. Dentanl Clinical North America. 61(4), 779-796. DOI : 10.1016/j.cden.2017.06.004 

  3. G. D. Hong. (2017).?Information Convergence Technology.?Seoul : HanKuk Publishing Co. DOI : 10.14400/JDC.2017.15.12.1 

  4. T. A. Imbery, J. Nehring, C. Janus & P. C. Moon. (2010). Accuracy and dimensional stability of extended-pour and conventional alginate impression material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141(1), 32-39. DOI: http://dx.doi.org/10.14219/jada.archive.2010.0018 

  5. N. A. Nallamuthu, M. Braden & M. P. Patel. (2012). Some aspects of the formulation of alginate dental impression materials-setting characteristics and mechanical proferties. Dental Materials, 28(7), 756-762. DOI : 10.1016/j.dental.2012.03.012 

  6. G. H. Johnson & R. G. Craig. (1986). Accuracy and bond strength of combination agar/alginate hydrocolloid impression materials. The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55(1), 1-6. DOI: http://dx.doi.org/10.1016/0022-3913(86)90059-4 

  7. M. Taira & Y. Araki. (2002). DTG thermal analyses and viscosity measurements of three commercial agar impression materials. 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 29(7), 697-701. DOI: 10.1046/j.1365-2842.2002.00901.x 

  8. S. S. Bunek. (2014). Impression materials. The Dental Advisor, 31, 2-5. https://www.dentaladvisor.com/issues/v-31-n-02/ 

  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https://emed.mfds.go.kr/#!CECAB01F010 

  10. E. R. Batson, L. F. Cooper, I. Duqum & G. Mendonca. (2014). Clinical outcomes of three different crown systems with CAD/CAM technology. The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112(4), 770-777. DOI: http://dx.doi.org/10.1016/j.prosdent.2014.05.002 

  11. T. Miyazaki & Y Hotta. (2011). CAD/CAM systems available for the fabrication of crown and bridge restorations. Australian Dental Journal, 56(1), 97-106. DOI: 10.1111/j.1834-7819.2010.01300.x 

  12. M. R. Baig, M. M. Buzayan & N. Yunus. (2018). Accuracy of a new elastomeric impression material for complete-arch dental implant impressions. Journal of Investigative Clinical Dentistry. 18 January. DOI : 10.1111/jicd.12320. 

  13. H. N. Yoo & K. .H. Kang. (2013).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dental treatment infection control standards of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2), 649-656. DOI : http://dx.doi.org/10.14400/JDPM.2013.11.12.649 

  14. Y. N. Park. (2017). The study of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for infection control during clinical trai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307-315. DOI :https://doi.org/10.14400/JDC.2017.15.11.307 

  15. N. R. Oh, H.K. Kim & M.J. Cho. (2017). The Effects of Recognition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s in Dental Hygienis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2), 215-223. DOI : https://doi.org/10.14400/JDC.2017.15.2.215 

  16. D. Y. Liu, F .N. Cader, J. Abduo & J Palamara. (2017). Accuracy of Different Implant Impression Techniques: Evaluation of New Tray Design Concept. Journal of Prosthodontocs. Dec 29. DOI : 10.1111/jopr.12733 

  17. C. S. Petrie, M. P. Walker & K. Williams. (2005). A survey of U.S. prosthodontists and dental schools on the current materials and methods for final impressions for complete denture prosthodontics. Journal of Prosthodontics, 14(4), 253-262. DOI: 10.1111/j.1532-849X.2005.00051.x 

  18. W. Chee & S. Jivraj. (2006). Impression techniques for implant dentistry. British dental journal, 201, 429-432. DOI : 10.1038/sj.bdj.4814118 

  19. S. B. Sabiha & K. Sara. (2011). Impression and bite registration materials. The dental advisor, 28, 2-7. https://www.dentaladvisor.com/issues/v-28-n-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