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 상용 의류관리기의 먼지 입자 제거 성능 분석법 및 상용 의류관리기의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f Particulate Matter Removal Efficiency via Image Processing

한국섬유공학회지 =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v.55 no.2, 2018년, pp.89 - 94  

최세진 (부산대학교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  황영진 (부산대학교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  이효정 (부산대학교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  김미경 (LG 전자) ,  김선곤 (LG 전자) ,  김한성 (부산대학교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have investigated, by a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the efficiency of the removal of particulate matter that was attached to clothing, by using a clothing care system. We utilized a proper, standard image-processing method as well as experimental conditions which simulated an outdoor environ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제거 효율 검증 실험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환경 조건을 확립하고, 적합한 정량적 분석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 의복을 이용한 제거율 분석을 통해 먼지 입자가 오염된 의복으로 부터 제거되는 탈착 거동의 주요 영향 인자를 규명하여 오염원 제거성능 평가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상용 의류관리기를 이용한 먼지 입자의 기계적 제거 효율에 대하여 정량적인 평가방법을 제시하고 그 성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미지 분석을 통한 평가 방법이므로 이미지 처리 시 먼지 입자 판정을 위한 적합한 임계 이미지강도 선정이 요구된다.
  • 이는 공기 중 부유물질을 흡착 및 제거하는 형태가 아닌 오염원을 직접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공기질 개선효과가 기대되나, 그 효과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방법과 성능에 관한 연구는 수행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제거 효율 검증 실험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환경 조건을 확립하고, 적합한 정량적 분석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 의복을 이용한 제거율 분석을 통해 먼지 입자가 오염된 의복으로 부터 제거되는 탈착 거동의 주요 영향 인자를 규명하여 오염원 제거성능 평가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Figure 5. (a) Change in the black conversion image and (b) dust area change with a threshold intensit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먼지 입자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미세먼지 입자는 코의 섬모나 기도 등을 통해 폐 깊숙이 침투하여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특히 초미세먼지 입자의 경우 호흡기 계통의 질병을 유발할 확률이 1차 입자에 비해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혈관을 따라 체내에서 이동하여 생체에 상당한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 [2−4]. 세계보건기구(WHO)는 한 해 미세먼지로 인해 기대수명보다 일찍 사망하는 사람이 700만 명에 이른다고 발표하였으며, 미세먼지를 1군 발암물질로 분류하는 등 미세먼지 문제는 상당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그 대처방안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5].
실내 미세먼지 발생원 중 실외에서 유입된 주 매개체는 무엇인가? 실내 미세먼지 발생원은 조리, 흡연 등의 실내 활동에 의한 발생과 실외에서 유입된 미세먼지가 침착되어 있다가 기류변화 등에 의해 재부유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8]. 특히, 단열 및 에너지 절감을 목적으로 한 건물의 밀폐화가 보편화됨에 따라 실외로 부터 오염된 의복은 미세먼지 실내유입의 주매개체로 예상되기 때문에 적합한 방법으로 오염원의 관리 및 오염물질 제거가 요구된다[12].
먼지 입자는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가? 대기 중에는 다양한 특성을 갖는 다량의 입자상 물질이 부유하고 있다. 그 중 먼지 입자는 공기역학적 직경에 따라 50 µm 이하의 총 먼지와 10 µm 이하의 미세먼지(PM10)로 나뉘며, 직경 2.5 µm 이하의 극히 작은 미세먼지를 초미세먼지(PM2.5)로 분류한다. 초미세먼지는 연소과정에서 직접 생성되거나, 입자 배출 후 대기 중에서 응집 또는 금속, 유기물 등의 오염물질과 결합하여 생성된 2차 입자상 물질이 주를 이루고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H. G. Yeo, K. C. Cho, M. K. Choi, and H. K. Kim, "Characteristics of Chemical Species in $PM_{2.5}$ during the Winter in Kangwha", J. KOSAE, 2000, 16, 309-316. 

  2. Y. H. Seo, M. S. Ku, J. W. Choi, K. M. Kim, S. M. Kim, K. H. Sul, H. J. Jo, S. J. Kim, and K. H. Kim, "Characteristic of $PM_{2.5}$ Emission and Distribution in a Highly Commercialized Area in Seoul, Korea", J. Korean Soc. Atoms. Environ., 2015, 31, 97-104. 

  3. J. A. Ailshire and P. Clarke, "Fine Particulate Matter Air Pollution and Cognitive Function among U.S. Older Adults", J. Gerontol. B-Phychol., 2014, 70, 322-328. 

  4. T. G. Dzubay and R. K. Stevens, "A Composite Receptor Method Applied to Philadelphia Aerosol", Environ. Sci. Technol., 1988, 22, 46-52. 

  5. D. Loomis, Y. Grosse, B. Lauby-Secretan, F. E. Ghissassi, V. Bouvard, L. Benbrahim-Tallaa, N. Guha, R. Baan, H. Mattock, and K. Straif, "The Carcinogenicity of Outdoor Air Pollution", Lancet Oncol., 2013, 4, 1262-1263. 

  6. L. Molhave and M. Krzyzanowski, "The Right to Healthy Indoor Air: Status by 2002", Indoor Air, 2003, 13, 50-53. 

  7. H. K. Namgung, J. H. Song, S. Y. Kim, H. M. Kim, and S. B. Kwon, "Characteristic of Indoor Air Quality in the Overground and Underground Railway Station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 17, 17-25. 

  8. S. J. Park, J. H. Kim, G. S. Joe, M. S. Yeo, and K. W. Kim, "Analysis of Size-resolved Indoor and Outdoor Particle Sources to Indoor Particles in a Child-care Center",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015, 31, 215-222. 

  9. H. H. Kim, C. J. Park, J. C. Kim, Y. J. Lee, C. M. Lee, Y. K. Gwak, H. L. Sohn, S. E. Lee, and Y. W. Lim, "PM Risk Reduction in accordance with Application of an Air Cleaner- focused on Home (studio apartment)", J. Odor Indoor Environ., 2015, 14, 253-262. 

  10. H. J. Park, J. T. Kwon, J. R. Sohn, W. G. Woo, and K. K. Kim, "Performance Evaluation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Indoor Air Pollutants in Apartments by Air Cleaner", J.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011, 17, 105-116. 

  11. Y. H. Yoon, J. C. Joo, H. S. Ahn, and S. H. Nam, "Analyses of the Current Market Trend and Research Status of Indoor Air Quality Control to Develop an Electrostatic Force-based Dust Control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 14, 6610-6617. 

  12. M. E. Levasseur, P. Poulin, C. Campagna, and J. M. Leclerc, "Integrated Management of Residential Indoor Air Quality: A Call for Stakeholders in a Changing Climate",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 2017, 14, 1455. 

  13. P. S. Liao, T. S. Chen, and P. C. Chung, "A Fast Algorithm for Multilevel Thresholding", J. Inf. Sci. Eng., 2001, 17, 713-7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