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탈북여성들이 경험하는 도덕적 손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탈북여성을 대상으로 한 질적 선행연구물 내용분석
Exploratory study on the Moral Injury among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Qualitative Studies on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4, 2018년, pp.636 - 652  

심우찬 (대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이순민 (세종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심리적 트라우마를 경험한 후 일상에 적응하지 못하는 현상에 대한 비정신병리적 접근으로의 도덕적 손상이라는 개념을 탈북여성의 경험을 재해석하고 이해하는데 적용시키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KISS와 DBpia를 이용하여 2017년 8월 13일까지 국내 학술지에 출판된 질적 연구물 중 '탈북여성' '새터민 여성' '북한이탈 여성'이라는 주제어를 포함하는 연구물을 검색 했다. 최종 선정된 총 51개의 질적 연구물의 내용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로는 적응경험, 어머니로서의 경험, 북한 체제와 전쟁에 대한 경험, 일/직업/고용 경험, 정신적인 충격에 대한 극복 및 성장과 회복탄력성의 경험, 중국에서의 삶에 관한 경험, 트라우마나 심리적인 경험, 심리적 불안함을 치료하는 과정과 효과에 대한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둘째, 도덕적 손상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 감정에 관한 단어는 총 260회, 존재론적 믿음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단어는 총 82회, 인지의 변화와 관련 단어들이 총 71회, 그리고 행동의 변화와 관련 표현이 총 21회 나타났다. 셋째, 도덕적 손상의 현상을 일으키는 맥락으로 크게 '정체성 부정'과 '가족 해체'가 드러났다. 그리고 도덕적 손상을 일으킬 만한 맥락을 경험했음에도 불구하고 도덕적 손상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던 정 반대되는 사례들 속에서 '정체성 재구성'이라는 맥락을 공통적으로 발견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탈북여성이 도덕적 손상으로부터 예방 되는, 혹은 도덕적 손상으로부터의 회복에 필요한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bout applying the concept of moral injury in reinterpreting and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who have experienced psychological trauma and are struggling with adjusting in their everyday lives. The database KISS and DBpia were used to search for academ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덕적 손상개념이란? 최근 심리적 외상에 대한 인간의 다양한 부적응 반응을 개인의 정신병리로 국한하여 조명하고 개입하는데 대한 비효과성과 탈맥락성이라는 한계를 비판하면서 정치, 사회, 경제적 맥락에서 재조명하고자 하는 움직임과 함께 도덕적 손상이라는 개념이 등장했다[13]. 이 개념은 교통사고 외상으로 인해 뇌 손상을 입는 것처럼, 심리적 외상으로 인한 우리의 신념, 믿음, 도덕성과 가치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손상을 의미한다. 탈북여성들이 탈북과정에서 경험하는 여성성의 유린으로 인한 인간에 대한 신뢰 상실이나 제 3국에서 출산한 자녀를 떼어 놓은 후 느끼는 죄책감 등은 신념, 믿음, 도덕성과 가치관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경험들이라 할 수 있다.
도덕전 손상의 회복을 위해 탈북여성들에게 지역사회 내에서의 시간과 공간을 주어야 하는 이유는? 그러므로 탈북여성들이 지역사회 내에서의 자신의 사회적 역할을 찾을 수 있도록 시간과 공간이 주어져야 할 것이다. 북한체제의 의한 피해자, 한국 입국 후의 복지 수혜자 등 수동적 피해자의 정체성을 벗어던지고,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가는 자신과 환경에 대한 통제력을 되찾는 주체적인 지역 주민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그러한 장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 내에서 탈북여성들의 봉사모임이나 지역행사 참여 등이 주도 적으로 결성되고 유지 및 활성화될 수 있도록 사회복지기관 및 탈북여성 대상 기관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탈북여성의 어려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많은 탈북여성들이 한국에서의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행복감을 느끼기 보다는 우울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현상을 모두 탈북과정 중 외상으로 인한 PTSD나 우울장애와 같은 정신병리만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 탈북여성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신병리 외에 그들의 지역사회에의 적응 및 통합, 그리고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혹은 도움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보다 적극적으로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최근 심리적 외상에 대한 인간의 다양한 부적응 반응을 개인의 정신병리로 국한하여 조명하고 개입하는데 대한 비효과성과 탈맥락성이라는 한계를 비판하면서 정치, 사회, 경제적 맥락에서 재조명하고자 하는 움직임과 함께 도덕적 손상이라는 개념이 등장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1)

  1. http://www.unikorea.go.kr/unikorea/business/ statistics/ 

  2. 이영선, 구혜완, 한인영, "학술논문분석을 통해 본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특수성," 통일문제연구, 제56권, pp.147-193, 2011. 

  3. 손영미, 강숙정, 박정열, "여성 새터민의 성격유형에 따른 심리적응,"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20권, 제1호, pp.19-44, 2014. 

  4. 최빛내, 김희경, "탈북 여성의 외상 경험과 성격병리가 심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3권, 제1호, pp.195-212, 2011. 

  5. 김재엽, 류원정, 김지민, "탈북여성의 생활사건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연구 -외상경험의 조절효과-," 한국가족복지학, 제46권, pp.85-107, 2014. 

  6. 김재엽, 최권호, 채지훈, 황현주, "탈북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사회복지연구, 제44권, 제2호, pp.33-56, 2013. 

  7. 김희경, "탈북 여성과 남한 여성의 우울감, 양육 죄책감 및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7권, 제 4호, pp.535-558, 2012. 

  8. 이민지, 장혜인, 전진용, "차별지각,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북한이탈주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1권, 제3호, pp.459-481, 2016. 

  9. 강숙정, 김은미, 손영미, "하나원 인간관계셀프파워 프로그램이 여성탈북민의 정서, 사회적지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제 11권, 제1호, pp.137-149, 2016. 

  10. 김승현, 최빛내,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PTSD 프로그램 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8권, 제4호, pp.533-548, 2013. 

  11. 조하나, 최연실, "북한이탈 기혼여성의 심리적 적응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가족상실로 인한 우울감과 죄책감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4권, 제2호, pp.1327-1345, 2013. 

  12. 정유진, 최빛내, "탈북에서 입국까지의 기간 및 북송경험이 탈북 여성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2권, 제1호, pp.47-67, 2017. 

  13. 심우찬, "세월호 침몰사고로 인한 범국민적 트라우마에 대한 사회 맥락적 접근으로의 도덕적손상에 관한 연구," 생명연구, 제44권, pp.167-222, 2017. 

  14. J. Shay, Achilles in Vietnam: Combat Trauma and the Undoing of Character, Scribner, 1994. 

  15. J. Shay, "Moral Injury," Psychoanalytic Psychology, Vol.31, No.2, pp.182-191, 2014. 

  16. K. D. Drescher, D. W. Foy, C. Kelly, A Leshner, K. Schutz, and B. Litz, "An Exploration of the Viability and Usefulness of the Construct of Moral Injury in War Veterans," Traumatology, Vol.20, No.10, pp.1-6, 2011. 

  17. B. T. Litz, N. Stein, E. Delaney, L. Lebowitz, W. P. Nash, C. Silva, and S. Maguen, "Moral Injury and Moral Repair in War Veterans: A Preliminary Model and Intervention Strategy,"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29, No.8, pp.695-706, 2009. 

  18. M. Levinson, "Moral Injury and the Ethics of Educational Injustice," Harvard Educational Review, Vol.85, No.2, pp.203-300, 2015. 

  19. J. G. Tillman,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Suicide: Moral Injury and the Mysterious Object in the Work of Walker Percy," JAPA, Vol.64, No.3, pp.541-547, 2016. 

  20. A. Kleinman, What Really Matters: Living a Moral Life Amidst Uncertainty and Danger, pp.1-26,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1. W. Haight, E. Sugrue, M. Calhoun, and J. Black, "A Scoping Study of Moral Injury: Identifying Directions for Social Work Research,"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Vol.70, pp.190-200, 2016. 

  22. W. Haight, E. Sugrue, and M. Calhoun, "Moral Injury among Child Protection Professionals: Implications for the Ethical Treatment and Retention of Worker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Vol.82, pp.27-41, 2017. 

  23. W. Haight, E. Sugrue, M. Calhoun, A. Krentzman, and J. Black, "Moral Injury in the Context of Child Protection," Society for Social Work and Research 21 st Annual Conference, p.239, 2017. 

  24. 여성가족부, 폭력피해 탈북여성 맞춤형 자립지원방안 연구, 2012. 

  25. 성정현, "탈북여성들에 대한 남한 사회의 "종족화된 낙인(ethnicized stigma)"과 탈북여성들의 공동체 형성 및 활동," 한국가족복지학, 제53호, pp.79-115, 2016. 

  26. 이화진, "탈북여성의 이주경험을 통한 정체성 변화과정: 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이성관계를 중심으로," 여성학연구, 제21권, 제3호, pp.173-211, 2011. 

  27. 이희영, "탈북-결혼이주-이주노동의 교차적 경험과 정체성의 변위," 현대사회와 다문화, 제2권, 제1호, pp.1-45, 2012. 

  28. 김현경, "북한이탈주민의 고문으로 인한 외상 후 충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연구, 제41권, 제3호, pp.81-106, 2011. 

  29. 강차연. "중국내 거주 탈북여성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 여성연구논총, 제 21권, pp.39-53, 2006. 

  30. 김화순, "직행 탈북이주자의 노동이동과 탈북 결정요인," 통일정책연구, 제26권, 제1호, pp.235-264, 2017. 

  31. 박경숙, "탈북이주자 생애사에 투영된 집단적 상흔과 거시 권력구조," 경제와 사회, 제95호, pp.288-332, 2012, 

  32. 최현실, "탈북여성들의 트라우마와 한국사회 정착지원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여성학연구, 제 21권, 제1호, pp.161-204, 2011. 

  33. G. S. Yoon and A. M. Park, "Acculturation as a Frustration-Negotiation Cycle: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in South Korea,"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 Vol.22, No.4, pp.462-476, 2016. 

  34. 김경희, 강은애, 손명아,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의 국가가부장제의 재생산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제55권, 제1호, pp.131-164, 2016. 

  35. 김기창,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제9권, 제1호, pp.201-225, 2015. 

  36. 김광호, "불안증상을 가진 탈북여성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명상상담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 제75권, pp.429-465, 2015. 

  37. 김성경, "'젠더'화된 '장소'로서의 북.중 경계지역: 북한이탈여성의 경험과 현상학적 인식,"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제2012권, 제6호, pp.191-209, 2012. 

  38. 김성경, "북한이탈주민의 월경과 북.중 경계지역," 한국사회학, 제47권, 제1호, pp.221-253, 2013. 

  39. 김성남, 양옥경,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들의 자녀양육과 교육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제12권, 제1호, pp.5-37, 2015. 

  40. 김영순, "인천 논현동 북한이탈주민 공동체의 경계 짓기와 경계 넘기," 로컬리티 인문학, 제12 권, pp.121-154, 2014, 

  41. 김유정, "북한이탈여성의 부모화 경험," 사회과학연구, 제40호, 제2권, pp.77-108, 2014. 

  42. 김태현, 노치영, "북한이탈여성들의 삶 이야기: 해석학적 현상학을 통한 중국생활체험 분석,"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제41권, 제8 호, pp.1-17, 2003a. 

  43. 김태현, 노치영, "북한이탈여성들의 삶 이야기 2: 생존전략을 중심으로 한 중국생활체험,"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제41권, 제12 호, pp.229-243, 2003b. 

  44. 김현경, "탄력성(resilience) 관점에서 조명한 북한이탈여성의 생애 연구: 북한과 중국에서의 생활을 중심으로. 젠더," 젠더와 문화, 제4권, 제2호, pp.7-36, 2011. 

  45. 박성정, 오은진, "북한이탈여성의 직업교육 훈련 경험과 개선 과제," 직업교육연구, 제31권, 제4 권, pp.135-152, 2012. 

  46. 박정란, "여성 새터민의 직업가치 연구: 북한에서 남한에 이르기까지의 맥락적 접근," 통일정책 연구, 제16권, 제1호, pp.153-180, 2007. 

  47. 박재인, "이주와 성공의 고전서사를 활용한 탈북민 대상 문학치료 사례 연구," 문학치료연구, 제 41권, pp.335-370, 2016. 

  48. 배진형, 박미현, "여성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생이 경험한 사회복지실습의 어려움과 지원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60-74, 2016. 

  49. 성정현, "탈북여성들의 남한사회에서의 차별 경험과 트라우마 경험의 재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117-131, 2014. 

  50. 신난희, "탈북여성 구술생애 깊이 읽기: 두 탈북 여성의 중요 생애사건과 사회적 갈등 분기점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제50권, pp.153-182, 2015. 

  51. 신희정, "북한이탈여성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탐색적 연구," 다문화사회연구, 제10권, 제1호, pp.161-194, 2017. 

  52. 안태윤, "북한여성들이 겪은 한국전쟁: 전쟁동원활동과 체제하의 생존전략," 여성과 역사, 제20권, pp.181-216, 2014. 

  53. 안태윤, "한 엘리트 북한여성의 생애사로 본 분단체제하의 여성의 삶과 가족의 생존전략," 여성과 역사, 제20권, pp.235-274, 2015. 

  54. 안태윤, "전후 북한여성의 삶과 탈북의 전략적 선택," 여성과 역사, 제24권, pp.187-219, 2016. 

  55. 염유식, 김여진,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연결망 형성과 유형에 대한 근거 이론 연구," 한국사회학, 제45권, 제2호, pp.91-129, 2011. 

  56. 이기영, 김민경, 백정원, "중국 출생 자녀를 둔 한국 거주 북한이탈여성의 양육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9권, 제3호, pp.213-240, 2014. 

  57. 이기영, 김민경, "중국출생 무국적 자녀와 동반 입국한 북한이탈여성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제52권 pp.209-239, 2015. 

  58. 이기영, 백정원, 김민경, "이주의 사회과학적 고찰: 북한이탈여성의 "돌봄과 일"에 관한 연구-제3국출신 아동을 둔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민족 연구, 제60권, pp.4-23, 2014. 

  59. 이민영, 김현경, "새터민 여성의 이주로 인한 상실 극복 체험: 남한 남성과 결혼한 여성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35권, pp.525-554, 2007. 

  60. 이숙영, 이동혁, 조해연, 김경미, 김효정, "북한 이탈여성의 외상후성장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8권, 제4호, pp.1073-1102, 2016. 

  61. 이은주, "북한이탈여성들의 직업교육 경험과 취업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제27권, pp.173-189, 2017. 

  62. 이현주, 오보람, 이은혜, "북한이탈여성노인의 남한사회 정착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 29권, 제4호, pp.1501-1520, 2009. 

  63. 이화진, "이주공간의 변화에 따른 탈북여성의 모성갈등 양상과 극복과정," 한국여성학, 제30권, 제3호, pp.161-200, 2014. 

  64. 임영호, 강주현, 이동희, "새터민 여성들의 드라마 시청과 젠더 담론 수용," 미디어, 젠더 & 문화, 제23권, pp.143-176, 2012. 

  65. 장정은, 최정숙, "북한이탈여성의 청소년자녀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사회복지연구, 제46 권, 제4호, pp.375-419, 2015. 

  66. 전주람, "북한이탈여성들의 심리사회적자원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20 권, 제4호, pp.47-72, 2016. 

  67. 정현숙, "북한이탈여성의 어머니 됨 경험," 질적연구, 제15권, 제2호, pp.130-145, 2014. 

  68. 조영아, 전우택, "탈북 여성들의 남한 사회 적응 문제:결혼 경험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0권, 제1호, pp.17-35, 2005. 

  69. 조영아, "남한에서 자녀와 재결합한 북한이탈 여성의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4권, 제1호, pp.197-222, 2012. 

  70. 조영주, "북한이탈여성의 구술전략과 담론적 수행: 어머니되기 경험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지, 제19권, 제1호, pp.309-338, 2015. 

  71. 한미라, "탈북여성의 초국가적 어머니 경험," 다문화와 평화, 제9권, 제2호, pp.160-178, 2015. 

  72. 한순옥, 이기숙, "남한남성과 결혼한 북한이탈 여성의 결혼 의미와 경험에 관한 연구," 여성학연구, 제24권, 제2호, pp.197-233, 2014. 

  73. 한인영, 홍선희, "북한이탈여성의 한국사회적응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 연구," 주관성연구, 제 25호, pp.75-93, 2012. 

  74. 홍나미, 이인정, "북한이탈여성의 자녀양육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접근," 사회복지연구, 제41권, 제1호, pp.307-344, 2010. 

  75. 홍승아, "가족 관점에서 본 북한이탈여성의 정착과제: 자녀양육을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제 25권, 제2호, pp.173-205, 2013. 

  76. 황선영, "북한이탈주민의 고용 배제 요인," 사회복지정책, 제36권, 제3호, pp.349-373, 2009. 

  77. H. K. Kim, "A Study on the Perceived Growth after Adversity among North Korean Women Refugees: Application of Grounded Theory Method," OUGHTOPIA(The Journal of Social Paradigm Studies), Vol.27, No.1, pp.33-66, 2012. 

  78. H. F. Hsieh and S. E. Shannon, "Three Approaches to Qualitat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Vol.15, No.9, pp.1277-1288, 2005. 

  79. 진미정, "탈북자의 가치관 변화와 사회문화적 적응 및 만족도: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제15권, 제1호, pp.139-157, 2008. 

  80. W. P. Nash and B. T. Litz, "Moral Injury: A Mechanism for War-Related Psychological Trauma in Military Family Members," Clinical Child & Family Psychology Review, Vol.16, No.4, pp.365-375, 2013. 

  81. D. Blinka and H. W. Harris, "Moral Injury in Warriors and Veterans: The Challenge to Social Work," Social Work & Christianity, Vol.43, No.3, pp.7-28,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