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로와의 거리에 따른 도시 근린공원의 음이온 농도 분포차이 - 서울시 양재 시민의 숲을 대상으로 -
Distribution of Negative Air Ion Concentration in Urban Neighborhood Park by Distance to Road - A Case of Yangjae Citizen's Forest, Seoul -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7 no.2, 2018년, pp.152 - 169  

이현진 (서울대학교) ,  이동근 (서울대학교) ,  김보미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간의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음이온을 평가인자로 설정하고, 서울시 서초구 양재 시민의 숲을 대상으로 대기 중 음이온 농도 분포차이에 미치는 인접도로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기 중 음이온, 양이온 농도와 대기온도, 상대습도, 풍속의 기상요소, 녹지용적계수(GVZ), 고속도로 및 일반도로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고속도로 및 일반도로와 인접한 도로의 영향권에서는 평균 대기 중 음이온 농도가 $206ea/cm^3$, 대기 중 양이온 농도가 $416ea/cm^3$ 이었으며, 공원 내부지역인 도로의 비영향권에서는 평균 대기 중 음이온이 $339ea/cm^3$, 대기 중 양이온이 $229ea/cm^3$로 도로의 영향권 여부에 따른 대기 중 음이온 농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영향요인들과의 상관분석을 종합하여 음이온 농도모델을 제시하였으며 도로의 영향 요소를 추가함으로써 모델의 설명력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adjacentroads on the concentration of negative air ions in urban neighborhood park. The measured factors were negative air ion concentration, positive airion concentration, airtemperature,relative humidity, wind speed, green formation volume f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이러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으로 도시 공원 녹지에서 발생하는 음이온 농도에 도로의 영향을 고려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도시 공원녹지에 미치는 도로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심지 내에 위치한 생활권 근린공원인 양재 시민의 숲에서 도로의 영향을 고려한 대기 중 음이온 농도의 측정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음이온을 평가인자로 설정하고, 양재 시민의 숲을 대상으로 녹지가 제공하는 음이온의 대기 중 농도와 인접도로의 영향을 밝히는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는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 이용 또는 치유 프로그램 등의 참여형 프로그램 운영 시 효과적인 이용범위를 제시하고, 더 나아가 도시녹지 조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공원녹지의 건강관련 환경인자로서 음이온을 설정하고, 양재 시민의 숲의 대기 중 음이온 농도의 분포를 파악하여 대기 중 음이온 농도 분포에 미치는 도로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고속도로 및 일반도로로부터의 그리드 측정 거리에 따른 음이온 농도 값의 범위를 보면(Figure 4) 음이온 농도의 값이 큰 폭으로 변화되는 지점을 3번째 그리드 측정지점으로 하여, 낮은 음이온의 분포를 나타낸 고속도로 주변 A~B열과 일반도로 주변 11~14행 지점들은 Type 1로 설정하고, 그 외의 높은 음이온 분포를 나타내어 도로의 영향이 미미하다고 판단되는 공원의 내부 지점들은 Type 2로 설정하였다. Figure 4에서 이상치로 나타난 값은 제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연구에서는 공원시설지에 따라 발생 가능성이 있는 수치로 가정하여 이상치로 간주하지 않고 전체 표본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여기서 측정지점중 공원시설지는 G2, H2, H7, I3, I5의 5개 측정지점이 테니스장, 운동장과 야외무대 시설지로서 마사토 포장의 나대지이고, C11, C12, D11의 3개 측정지점은 주차장 시설지로서 건폐지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밀화된 도시가 가진 문제점은? 급격한 산업화와 경제성장으로 과밀화된 도시는 불투수 포장면의 증가, 건축물 밀집화로 인한 바람길 차단,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증가 등으로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 문제에 따라 도시민의 아토피 피부염, 천식과 같은 환경성 질환이 증가(Bae et al.
과밀화된 도시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2011) 도시민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 그러나 도시에서 공원 및 녹지공간은 도시기온 저감효과, 대기오염의 완화, 바람길 형성, 증발을 통한 습도조절 등 환경 위해성을 완화시킴으로서 도시환경의 질을 개선시킨다 (Kim et al. 2014). 또한 삭막한 도시에 녹음과 쾌적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도시민에게 부족한 자연접촉의 기회와 휴식 및 여가를 보낼 수 있는 공간으로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신체적, 정신적 측면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도시의 환경 문제로 인해 생겨나는 부정적인 측면은? 급격한 산업화와 경제성장으로 과밀화된 도시는 불투수 포장면의 증가, 건축물 밀집화로 인한 바람길 차단,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증가 등으로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 문제에 따라 도시민의 아토피 피부염, 천식과 같은 환경성 질환이 증가(Bae et al. 2010) 하고, 청소년과 노인의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이 급증하면서(Kim et al. 2011) 도시민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 그러나 도시에서 공원 및 녹지공간은 도시기온 저감효과, 대기오염의 완화, 바람길 형성, 증발을 통한 습도조절 등 환경 위해성을 완화시킴으로서 도시환경의 질을 개선시킨다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nnual Traffic Volume Report. 201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n Literature] 

  2. Bae HJ, Ha JS, Choi MJ, Kim H. 2010. Climate Change and Air Pollution Effects on Environmentally Related Disease - Interactive Effects of Temperature and Oz one on Environmentally Related Diseas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Basic Research Report 2010: 1-121. [Korean Literature] 

  3. Flory R, Ametepe J, Bowers B. 2010.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of bright light and high-density negative air ions for treatment of Seasonal Affective Disorder. Psychiatry Research. 177(1): 101-108. 

  4. Hirsikko, A, Laakso L, Horrak U, Aalto PP, Kerminen V, Kulmala M. 2005. Annual and size dependent variation of growth rates and ion concentrations in boreal forest. Boreal Environment Research. 10(5): 357. 

  5. Jeon KS, Jo YB. 2009. A Study on the Anion Contents in Forests. The Korea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Welfare, 2009 Autumn Conference Proceedings. 10: 15-17. [Korean Literature] 

  6. Jin SW. 2005. Anion and well-being, Seoul : The People of the Land. [Korean Literature] 

  7. Jo YB.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itable Locations Evaluation Model and Therapy Type to Therapeutic Forests. Wonkwang Univ. Doctoral Thesis. [Korean Literature] 

  8. Kim JH, Park SH, Kim WT, Yoon YH. 2013. Anion Distribu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by Fountain Type in Urban.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2(12): 1599-1610. [Korean Literature] 

  9. Kim JH, Seo YH, Joo CH, Yoon YH. 2014. Assessment of Anion Generation on the Isolated Trees at Summe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4): 1-9. [Korean Literature] 

  10. Kim JH, Oh DK, Park YG, Yoon YH. 2015a. A Comparative Analysis of Negative Air Ions according to the Planting Structure at School Fores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5): 55-64. [Korean Literature] 

  11. Kim JH, Oh DK, Yoon YH. 2015b. Comparative Analysis of Negative Air Ion Generation According to Vegetation Type of Green Space in Summer - Targeting to the Yangjae Citizen’s Forest in Seochogu, Seoul. Urban Design. 16(6): 19-33. [Korean Literature] 

  12. Kim JH, Oh DK, Yoon YH. 2015c. Effects of Green Space Type in Urban Park on Anions Distribution - Target to Seoul Forest in Seoul. Urban Design. 16(1): 17-34. [Korean Literature] 

  13. Kim RB, Park KS, Lee JH, Kim BJ, Chun JH. 2011.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Symptom and the Influence of Depression Symptom on Self-rated Health Status, Outpatient Health Service Utilization and Quality of Life.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1): 81-92. [Korean Literature] 

  14. Krueger AP, Reed EJ. 1976. Biological impact of small air ions. Science. 193(4259): 1209-1213. 

  15. Lee SG, Jang JS, Jung SG, You JH. 2009. An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Forest Using Triangular Fuzzy Numbe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3): 1-10. [Korean Literature] 

  16. Liang H, Chen X, Yin J, Da L. 2014. The spatialtemporal pattern and influencing factors of negative air ions in urban forests, Shanghai, China. Journal of Forestry Research. 25(4): 847-856. 

  17. Ling X, Jayaratne R, Morawska L. 2010. Air ion concentrations in various urban outdoor environments. Atmospheric Environment. 44(18): 2186-2193. 

  18. Liu X, Wu LH, Zhang H, Wang XR. 2011. Study on the Concentration of Negative Air Ions and the Influential Factors in Different Urban Plant Communities. Journal of Fudan University(Natural Science). 2011-02. 

  19. Mu D, Liang YH. 2009. Effects of urban greenbelt structure on air negative ions concentration. Chinese Journal of Ecology. 5: 033. 

  20. Pawar SD, Meena GS, Jadhav DB. 2010. Diurnal and seasonal air ion variability at rural station Ramanandnagar( $17A^{\circ}$ 2′N, $74A^{\circ}$ E), India. Aerosol and Air Quality Research. 10(2): 154-166. 

  21. Retalis A, Nastos P, Retalis D. 2009. Study of small ions concentration in the air above Athens, Greece. Atmospheric Research. 91(2): 219-228. 

  22. Ryushi T, Kita I, Sakurai T, Yasumatsu M, Isokawa M, Aihara Y, Hama K. 1998. The effect of exposure to negative air ions on the recovery of physiological responses after moderate endurance exercis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41(3): 132-136. 

  23. Shin WS, Yeon PS, Kim KH, Lee JH. 2012. Amount of a Negative ions by Forest Climates. The Korea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Welfare. 16(4): 125-131. [Korean Literature] 

  24. Sun MZ, Tian Y, Liu XL. 2010. Experimental Research of Negative Oxygen Ion in Different Functional Areas of Beijing.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2010-S2. 

  25. Takahashi K, Otsuki T, Mase A, Kawado T, Kotani M, Ami K, Maeda M. 2008. Negatively-charged air conditions and responses of the human psycho-neuro-endocrino-immune network. Environment International. 34(6): 765-772. 

  26. Tammet H, Horrak U, Laakso L, Kulmala M. 2006. Factors of air ion balance in a coniferous forest according to measurements in Hyytiala, Finland.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6(11): 3377-3390. 

  27. Um TW, Kim KT. 2010. Correlations Between Concentrations of Negative Ions and Forest Type, and Site Factors at National Forests in Yangyang-gun.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5): 539-546. [Korean Literature] 

  28. Wang HJ. 2004. Effects of structure of urban forestry on aero-anion concentration. Journal of Nanjing Forestry University (Natural Sciences Edition). 28(50): 96-98 ref.8. 

  29. Yamada R, Yanoma S, Akaike M, Tsuburaya A, Sugimasa Y, Takemiya S, Imada T. 2006. Water-generated negative air ions activate NK cell and inhibit carcinogenesis in mice. Cancer Letters. 239(2): 190-197. 

  30. Yan X, Wang H, Hou Z, Wang S, Zhang D, Xu Q, Tokola T. 2015. Spatial analysis of the ecological effects of negative air ions in urban vegetated areas: A case study in Maiji, China.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14(3): 636-645. 

  31. Yechon ecological society. 2005. Modern ecological experiment. Kyomunsa publishing. p.194-195. [Korean Literature] 

  32. Yoon YH, Oh DK, Kim JH. 2012. An Analysis of Anions Distribution and Correlation by Biotope Types in Summer for Pleasant Urban Environment. Urban Design. 13(1): 51-62. [Korean Literature] 

  33. Yoon YH, Joo CH, Park H, Kim JH. 2014. Comparative Analysis of Anion Concentration by the Type of Roadside Buffer Green.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3(7): 1339-1347.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