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랭지 밭 밀집지역 다단계 침사지의 강우-유출 오염물질 제거 효율 - 소양호 상류의 자운지구를 중심으로 -
Pollutants Removal Efficiency of Rainfall-runoff from Dense Highland Field Areas in Multistage Sedimentation Basins - Focused on Jaun Area in Upstream Watershed of Lake Soyang -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7 no.2, 2018년, pp.170 - 180  

조재현 (가톨릭관동대학교 바이오융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홍천군 내면 자운지구에는 고랭지 채소밭이 밀집되어 있어서 우기에는 고랭지 밭에서 많은 토사가 유출되어 소양호 탁도와 수질에 큰 영향을 미치고, 하류의 수도권 상수원에도 악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고랭지밭 지역의 토사유출 저감을 위한 여러 BMPs 시설 중에서 많은 비용이 들지만 우리나라에서의 실측 조사 결과가 거의 없는 다단계 침사지에 대해서 강우시 유출입수를 실측 조사하고, 비점원오염물질 삭감효율을 분석하였다. 자운지구의 자운리 786번지와 자운리 628-2번지 다단계 침사지에서 2차례 강우에 대해서 침사지의 SS 제거효율을 분석한 결과 35%~62%의 삭감율을 보였다. BOD는 약 24%~55%, TP는 약 35%~58%의 오염부하가 삭감되었다. 이 지역 다단계 침사지의 실측 효율은 이론적인 효율보다 다소 낮지만 현재 설치되어 있는 침사지를 적절하게 관리하면 효율을 더 높일 수 있고, 추가적인 침사지 설치를 통해 흙탕물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ghland fields are concentrated in the Jaun area of Hongcheong-gun, a large amount of sediments are discharged from the highland fields. The sediment runoff affect the turbidity and water quality of the Soyang Lake, furthermore adversely affect water supply source of the capital region. There ar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랭지밭 지역의 토사유출 저감을 위한 여러 BMPs 시설 중에서 많은 부지면적과 건설비가 필요하고 목표하는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적절한 관리와 운영이 필수적인 다단계 침사지에 대해서 강우시 유출입 수를 실측 조사하고, 비점원오염물질 삭감효율을 분석하였다. 먼저 국내외의 고랭지밭 침사지 및 저류지의 효율 관련 연구와 고랭지밭 토사유출에 관한 관련 연구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랭지 채소밭이 분포하고 있는 곳은? 홍천군 내면 자운리 일대에는 고랭지 채소밭이 밀집되어 분포하고 있다.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우기에는 고랭지 밭으로 부터 많은 토사가 유출되어 하류의 내린천과 소양강을 거쳐서 소양호 탁도와 수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집중호우가 소양호 탁도와 수질에 영향을 끼친 예는?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우기에는 고랭지 밭으로 부터 많은 토사가 유출되어 하류의 내린천과 소양강을 거쳐서 소양호 탁도와 수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2006년 7월에는 소양호유역에 태풍 에위니아로 인한 집중호우가 발생하여 인제기상관측소 기준으로 8일간 총 670mm, 시간 최대 66mm의 비가 내렸다. 이로 인해 소양호 유역으로부터 다량의 토사가 소양호로 유입되고, 유입 된 토사는 소양호 내부에서 호수의 성층현상으로 인해 장기간 호수 내에 체류하였다가 방류되므로 소양호 탁도가 20NTU 이상으로 지속된 일수가168일에 달했다(Kim & Jung 2007). 이와 같이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홍수기에는 소양호에 다량의 비점오염물질이 유입되어 탁수 현상을 유발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침사지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사안은? 고랭지밭 지역의 침사지에는 많은 토사의 유입으로 침전부의 부피가 줄어들므로 침사지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2.5m 정도의 수심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침사지 인근 주민들이 침사지 관리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체계 구축과 추가적인 침사지 설치와 침사지 퇴적토의 적절한 관리를 통해서 이 지역 흙탕물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hmed M, Malin E, Maria V. 2016. Long-term hydraulic and treatment performance of a 19-year old constructed stormwater wetland-Finally maturated or in need of maintenance. Ecological Engineering. 95: 73-82. 

  2. Hyun GW, Park HK, Lee YS, Lee SJ, Park JH, Jun SH, Choi J, Lim KJ. 2010. Analysis of sediment reduction efficiency with net type sediment settling pond at highland agricultural reg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6(2): 215-224. [Korean Literature] 

  3. Jeonbuk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le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 technologies for the Saemangeum watershed. [Korean Literature] 

  4. Joo JH, Jung YS, Kim JJ, Park CS, Yang JE. 2002. Characteristics of the dressed soil in farm land in Naerinchun upper stream and management practices to reduce soil erosion. Journal of Agricultural,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13: 108-115. [Korean Literature] 

  5. Karine EB, Elizabeth AF, Chris CT. 2013. Floating treatment wetland retrofit to improve stormwater pond performance for suspended solids, copper and zinc. Ecological Engineering. 54: 173-182. 

  6. Kim B., Jung S. 2007. Turbid storm runoffs in Lake Soyang and their environmental effec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9(11): 1185-1190. [Korean Literature] 

  7. Kim LH, Lee BS, Kwon SY. 2005. Optimum capacity of retention basin for treating nonpoint pollutants and its removal efficiency in industrial complex areas.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7(3): 75-85. [Korean Literature] 

  8. Lee GS. 2007. GIS-based soil erosion analysis of highland upl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7(5D): 657-662. [Korean Literature] 

  9. Lee JT, Song CH, Kang TH. 2000. A study on the effe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a storm sewage by detention pon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3(3): 351-364. [Korean Literature] 

  10. Lee OJ, Kim S, Kim H, Kim S. 2016. Size determination method of bio-retention cells for mimicking natural flow duration curve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8(4): 424-431. [Korean Literature] 

  1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0. Management guideline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of the development works for Korean TMDL. [Korean Literature] 

  1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4. Technical guidelines for total maximum daily loads. [Korean Literature] 

  13. Novotny, V. 2003. Water quality: Diffuse pollution and watershed management; John Wiley & Sons: New York, NY, USA. 

  14. Wonju Regional Environmental Office. 2016. Monitoring and assessment for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area of Mandae, Gaah and Jaun region.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