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CAT2와 전문가에 의해 분류된 사상체질별 BMI 및 식품선호도 분석
Analysis of BMI and Food Preference by Sasang Constitutional Typology classified by SCAT2 and a Specialist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3 no.2, 2018년, pp.186 - 198  

천진솔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임상영양학과) ,  임동구 (체질라이프스타일 연구소) ,  김순미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asang constitution typology was analyzed through SCAT2 and a specialist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asang constitution and dietary pattern, and the difference in BMI and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was determined. The Sasang constitution typology of the subjec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C, SP 및 SS에서 분류한 사상체질에 따른 대상자들의 식품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대상자에게는 곡류군 10개, 감자 및 전분류 2개, 어육류군 20개, 채소군 25개,과일군 13개, 우유군 3개, 지방군(견과류) 4개 및 기타 식품군 3개 등 8개 식품군에 걸쳐 77개 식품에 대한 기호도를 7점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 사상체질 연구의 시작이자 가장 핵심이 되는 사항은 정확한 체질 분석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장 최근에 개발된 SCAT2와 사상체질분석 전문가를 통해 대상자의 체질을 분류한 후 이들의 체형 특성과 식품선호도를 분석함으로써 사상체질과 식이와의 상관성을 연구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운데 손가락 부위에 금반지를 올려놓아 에너지가 강해지면 소음인, 약해지면 소양인 또한 새끼손가락 부위에 은반지를 올려놓아 에너지가 강해지면 소양인, 약해지면 소음인으로 판단하고 다른 매개체를 이용하였을 때와의 결과를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체질을 분석하였다. 또한 같은 체질로 분석된 대상자 및 서로 다른 체질로 분석된 대상자들을 상대로 교차 O-ring test를 실시함으로써 체질 분석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전문가에 의한 분석은 SCAT2를 분석한 74명의 대상자 중 18명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개발한 사상체질 진단도구인 SCAT2와 함께 한의학을 전공하지 않은 민간 분야의 사상체질 분석 전문가로 하여금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체질을 측정한 후 SCAT2에 의해 분석된 대상자(SC), 전문가가 분석한 대상자(SP) 및 SCAT2와 전문가 분석 결과가 일치한 대상자(SS)의 체형과 이들의 식품선호도를 비교분석한 것으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유전체학(nutrigenomics)이란 무엇인가? 4차 산업의 특징 중 하나는 데이터 처리능력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개개인의 특성을 반영한 개별맞춤이 가능한 산업이라는 점이다(Brynjolfsson & McAfee 2016; Schwab 2017). 영양학 분야 역시 이와 비슷한 움직임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유전체와 영양소 또는 식이와의 상호작용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연구하는 영양유전체학(nutrigenomics)이 그것이며(Wikipedia, 2017), 이러한 연구결과의 축적은 궁극적으로 유전자형(genotype)에 따른 맞춤 식이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영양유전체학이 추구하는 목적은 ‘인체의 구조는 모두 같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해부생리학 중심의 기존 서양의학과 달리 우주, 사회, 인간의 생성 및 운영 원리가 하나라는 관점에서 인체 전체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한의학의 관점(Kwon et al.
4차 산업의 특징은 무엇이 있는가? 무어의 법칙에 준거하여 컴퓨터의 연산능력이 지수급수적(exponentially)으로 증가함에 따라 인공지능, 빅 데이터 등, 과거 답보상태에 머물던 분야에서 눈부신 혁신이 일어나고 있다. 4차 산업의 특징 중 하나는 데이터 처리능력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개개인의 특성을 반영한 개별맞춤이 가능한 산업이라는 점이다(Brynjolfsson & McAfee 2016; Schwab 2017). 영양학 분야 역시 이와 비슷한 움직임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유전체와 영양소 또는 식이와의 상호작용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연구하는 영양유전체학(nutrigenomics)이 그것이며(Wikipedia, 2017), 이러한 연구결과의 축적은 궁극적으로 유전자형(genotype)에 따른 맞춤 식이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영양유전체학(nutrigenomics)의 특징은 무엇인가? 영양학 분야 역시 이와 비슷한 움직임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유전체와 영양소 또는 식이와의 상호작용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연구하는 영양유전체학(nutrigenomics)이 그것이며(Wikipedia, 2017), 이러한 연구결과의 축적은 궁극적으로 유전자형(genotype)에 따른 맞춤 식이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영양유전체학이 추구하는 목적은 ‘인체의 구조는 모두 같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해부생리학 중심의 기존 서양의학과 달리 우주, 사회, 인간의 생성 및 운영 원리가 하나라는 관점에서 인체 전체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한의학의 관점(Kwon et al. 2013)과 매우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ustin KW, Ameringer SW, Cloud LJ. 2016. An integrated review of psychological stress in Parkinson's disease: Biological mechanisms and symptom and health outcomes. Parkinson's disease, Volume 2016, Article ID 9869712, 15 pages http://dx.doi.org/10.1155/2016/9869712 

  2. Brynjolfsson E, McAfee A. 2016. The second machine age. Chungrim press, Korea, pp 57-78 

  3. Choi JH, Oh DW. 2009a. Immunological effects of cereal extracts in four different constitutional types. Korea J. Food Sci. Technol., 41(5):572-577 

  4. Choi JH, Oh DW. 2009b. Effect of white and red ginseng extracts on the immunological activities in lymphocytes isolated from Sasang constitution blood cells. J. Ginseng Res. 33(1):33-39 

  5. Choi HC. 2010. An application of Sasangchejil (A theory of four different types of persons) to the study of patterns of media use. J. Commun. Res., 47(1):170-203 

  6. Cohen BE, Edmondson D, Kronish IM. 2015. State of the art review: Depression, stress, anxie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Am. J. Hypertens., 28(11):12 pp 1295-1302 

  7. Ha HA. 2004. A study on dancing motion by Sasang constitution-Focused on soyangin and soumin-. Korean J. Leisure Sports 8:119-140 

  8. Jung SA. 2015. Psychological typology of Sasang medicine. Integr. Med. Res., 4:10-19 

  9. Kang YH, 2010. Sasangsimhak (사상심학; 생생한 수세보원 2.0을 읽는다). Daesung, Korea, pp 42-44 

  10. KBS news. 2017. A world that says 'Flesh out'... The recessionfree diet industry,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529811&refA, [accessed 2018.1.3.] 

  11. Kim DW. 2012.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isease theory in Myungri theory and bio energy. J Korean Soc. Jungshin Sci. 16(1):19-50 

  12. Kim HK. 2002. A study on eating attitudes and food preferences by body composition types of the Sasang medicine. Master's degree thesis, Daegu Catholic University, Korea, pp 18-19 

  13. Kim JY, Do JH, Jang JS, Nam JH. 2014. Development of SCAT2 reinforced with phenotype analysis distinctive along Sasang constitution. Abstract of conference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Jeju, Korea, pp 1932-1935 

  14. Kim SH, Koh BH, Song IB. 1996. A study on the standatrization of QSCCII (Questionnaire for the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I). J. Const. Med., 7(1):187-246 

  15. Koh BH, Ku DM, Kim KY, Kim DR, Kim IW, Kim JY, Kim JW, Park SS, Song IB, Song JM, Ahn TW, Lee EJ, Lee JC, Chang HJ, Jeon JS, Cho WS, Joo JC. 2016. Sasang medicine [개정증보 사상의학]. Jipmoondang, Korea, pp 172-174 

  16. Kster EP. 2009. Diversity in the determinants of food choic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Food Quality and Preference 20:70-82 

  17. Kwon YG, Baek JW, Kim HC, Hwang MW. 2013. Introduction to Oriental medicine for major in medicine (의약학 계열 전공자를 위한 한의학 입문). Pusan national university press, Korea, pp 38-39 

  18. Lee BH, Yoo SH, Yoo JS. 2005. Athletes' preference of foods and dietary habits in accordance with classification of Sasang type. Korean J. Sport 3(2):135-147 

  19. Lee CH. 2007. Harmonization of eastern and western health knowledge; Nutrigenetics and Sasang typology. Food Sci. Technol. Res., 13(2):89-95 

  20. Lee EJ, Lee SK, Kim EJ, Cho RW, Koh BH, Song IB. 1998. The study of constitutional dietary therapy. J. Const. Med., 10(2):305-349 

  21. Lee EJ, Yoo JH. 2013. Constitution and health [체질과 건강]. Jipmoondang, Korea, pp 5-6 

  22. Lee MB. 2012. Sasang constitution Palsang constitution Gambyulbup [사상체질 팔상체질 감별법]. Health News, Korea, pp 175-185 

  23. Lee S, Moon S, Kim H, Kim J. 2007. A clinical study on the Sasang constitutional preference for foods. Korean J. Oriental Med., 13(1):77-83 

  24. Lee SB, Baek SK, Ahn JR, Lee JM. 2013. The study of fashion image depending on th Yin and Yang. J. Korean Beauty Art Society 7(2):97-106 

  25. Mayer EA. 2011. Gut feeling: the emerging biology of gut-brain communication, Nature Rev. Neurosci., 12:453-466 

  26. Oriental medicine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2005. New oriental medicine dictionary [신동의학사전]. Yeogang, Korea, pp 587-590, 1173-1175 

  27. Schwab K. 2017.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f Klaus Schwab. Newpresent, Korea, pp 90-96 

  28. Shepherd GM. 2006. Smell images and the flavour system in the human brain. Nature 444:316-321 

  29. Wikipedia, Nutrigenomics, https://en.wikipedia.org/wiki/Nutrigenomics, [accessed 2017.12.29] 

  30. Yoo JS. 2015a. Essentials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Daesung, Korea, pp 9-33 

  31. Yoo JS. 2015b. Essentials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Daesung, Korea, pp 109-112 

  32. Yoo JS. 2015c. Essentials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Daesung, Korea, pp 331-339 

  33. Zhang Z, Kim JK. 2013. The color analysis of human characters in Pixar 3D animation - Focused on Sasang constitution, psychological categories of C.G. Jung theory and LRI color image scale-. J. Korea Soc. Design Forum, 39:313-3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