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의 성별이 재난적 의료비 지출 여부에 미치는 영향: 세부집단분석을 통한 젠더적 접근
The Effect of Gender on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in South Korea: Gender-Based Approach by Subgroup Analysis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8 no.4, 2018년, pp.369 - 377  

김연수 (이화여자대학교 행정학과) ,  김혜윤 (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관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CHE) occurs when medical expenditure of a household passes over a certain ratio of household income. This research studied the effect of gender on CHE based on Korea Health Panel data. Methods: This study implemented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f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어떤 개인의 특성 혹은 특성의 조합이 재난적 의료비 지출 발생 위험을 높이는지를 다룬 연구는 부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여 성별에 따른 의료이용 차이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성별에 따른 재난적 의료비 지출 여부가 어떠한 양상으로나타나며, 어떠한 요인들과 관련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재난적 의료비 지출에 대한 젠더분석은 개인의 성별을 주요 변수로 다루므로 가구가 아닌 개인단위의 분석이 필수적이다.
  • 특히 본 연구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재난적 의료비 지출에 대한 젠더분석은 개인의 성별을 주요 변수로 다루므로 가구가 아닌 개인단위의 분석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의 성별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재난적 의료비 지출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재난적 의료비 지출을 방지하기 위한 지원대책을 수립함에 있어 성별 및 세부집단에 따라 어떠한 방향의 접근이 필요한지 정책적함의를 제시하고자하였다.
  • 또한 동일한 성별집단 내에서 재난적 의료비 지출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였다.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결과에서는 성별과 더불어 연령대, 가구 소득수준, 혼인상태, 경제활동 여부, 만성질환 보유 여부, 주관적 건강수준이 모두 유의한 변수였으나, 성별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성별로 유의한 변수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 연령대 특성에 따라 살펴보았을 때, 가임기에 해당하는 35세 미만 연령대의 기혼 여성은 동일한 특성의 남성 집단에 비하여 재난적 의료비 발생률이 매우 높았다. 이러한 집단이 재난적 의료비 지출이 높은 이유에 대한 선행연구가 미비한 관계로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한 한국의료패널 데이터 중 질병코드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출산 및 임신의 과정에서 산전 및 산후검사, 관련 질병에 관련된 의료비 지출이 있었다.
  • 재난적 의료비 지출로 인한 개인 및 가구의 빈곤화 및 빈곤지속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관련 정책 또는 조치는 그 심각성에 비해 기초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다[4,25]. 젠더분석을 기반으로 한 재난적 의료비 지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나, 본 연구는 본인부담금 및 비급여 등으로 인한 과도한 의료비 지출의 양상이 성별이라는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영향을 받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여성의 의료비 지출 및 재난적 의료비 지출 발생의 정도가 일관되게 남성에 비하여 높다는 점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가설 설정

  • 첫째, 성별은 개인의 재난적 의료비 지출 여부와 관련이 있다. 둘째, 동일한 성별 집단 내에서도 개인의 특성에 따라 재난적 의료비 지출양상이 상이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대적으로 의료비가 개인의 전체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게 되는 원인은? 성별과 더불어 연령대, 경제활동 여부, 혼인상태를 기준으로 세부집단을 구분하여 재난적 의료비 지출이 많은 조합을 파악한 결과, 남녀 모두 경제활동이 없는 기혼 집단에서 재난적 의료비 지출이 높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이 없는 집단의 경우 재난적 의료비 지출 여부 산출의 분모에 해당하는 가용소득의 크기가 줄어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의료비가 개인의 전체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게 되며, 기혼 집단은 상대적으로 의료이용의 기회가 늘어나 이러한 양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36]. 또한 기혼 가구가 비혼인 경우에 비하여 잦은 외래방문 등으로 의료이용 및 의료비 지출이 많다는 기존 연구결과와 일치한다[35,37].
바람직한 보건의료체계는 국민에게 제공되는 의료서비스의 질 및 형평성과 함께 질병이나 사망으로 인한 재정적 결과로부터 구성원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하지만 직면하게 되는 현실은 무엇인가? 특히 바람직한 보건의료체계는 국민에게 제공되는 의료서비스의 질 및 형평성과 함께 질병이나 사망으로 인한 재정적 결과로부터 구성원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1]. 그러나 의료비 지출은 여전히 개인적 책임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으며[2,3], 한국과 같이 의료비의 본인부담 비율이 높은 보건의료체계에서는 의료비 지출에 대한 지불능력이 낮은 가구 또는 개인들은 가계 재정상황에 위협이 되는 경우에 종종 직면하게 된다. 재난적 의료비 지출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의 보건의료 재정의 공평성 지표 중 하나로, 한 가구의 의료비 지출이 가구의 전체 지출 중 일정 수준을 넘어서는 경우를 의미한다[4-8].
국가의 보건의료체계가 가진 기능은?  국가의 보건의료체계는 국민의 건강을 최선의 상태로 유지하고 보호할 의무와 기능을 지닌다. 특히 바람직한 보건의료체계는 국민에게 제공되는 의료서비스의 질 및 형평성과 함께 질병이나 사망으로 인한 재정적 결과로부터 구성원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Lee HJ, Lee TJ. Factors associated with incidence and recurrence of househol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in South Korea. Korean Soc Secur Stud 2012;28(3):39-62. 

  2. Kim Y, Yang B. The trend in catastrophic health payments by income strata in South Korea.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09;15(1):59-77. 

  3. Huh SI, Choi SJ, Kim CY. Income elasticity of household health expenditures and differences by income level. Health Policy Manag 2007;17(3): 50-67. DOI: https://doi.org/10.4332/kjhpa.2007.17.3.050. 

  4. Kim E, Kwon S. The effect of occurrence and reoccurrence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transition to poverty and persistence of poverty in South Korea. Health Policy Manag 2016;26(3):172-184.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6.26.3.172. 

  5. Song EC, Shin YJ.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to preven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focusing on applicability using cost estimation. Health Soc Welf Rev 2015;35(2):429-456.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5.35.2.429. 

  6. Kim Y, Yang B. Relationship between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and household incomes and expenditure patterns in South Korea. Health Policy 2011;100(2-3):239-246. DOI: https://doi.org/10.1016/j.healthpol.2010.08.008. 

  7. Limwattananon S, Tangcharoensathien V, Prakongsai P. Catastrophic and poverty impacts of health payments: results from national household surveys in Thailand. Bull World Health Organ 2007;85(8):600-606. DOI: https://doi.org/10.2471/blt.06.033720. 

  8. Xu K, Evans DB, Kawabata K, Zeramdini R, Klavus J, Murray CJ. Househol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 multicountry analysis. Lancet 2003;362(9378):111-117. DOI: https://10.1016/S0140-6736(03)13861-5. 

  9. Woo KS, Shin YJ.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household economy: focusing on financial coping and poverty. Health Soc Welf Rev 2015;35(3):166-198.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5.35.3.166. 

  10. Sen G, Iyer A. Who gains, who loses and how: leveraging gender and class intersections to secure health entitlements. Soc Sci Med 2012;74(11):1802-1811. DOI: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11.05.035. 

  11. Sen G, Iyer A, George A. Systematic hierarchies and systemic failures: gender and health inequities in Koppal District. Econ Polit Wkly 2007;42(8):682-690. 

  12. Song DY. Women, health, and wellbeing. Issues Fem 2001;(1):149-180. 

  13. Lee GJ. A study on a relationship between care burden and health service utilization of middle-aged women. Womens Health 2014;15(1):1-15. 

  14. Jeon GS, Choi ES, Lee HY. Gender-related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of health care services by Korean adults.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010;24(2):182-196. DOI: https://doi.org/10.5932/JKPHN.2010.24.2.182. 

  15. Mead H, Witkowski K, Gault B, Hartmann H. The influence of income, education, and work status on women's well being. Womens Health Issues 2001;11(3):160-172. DOI: https://doi.org/10.1016/s1049-3867(01)00083-4. 

  16. Sohn SI, Shin YJ, Kim CY. Factors influencing househol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f the poor. Health Soc Welf Rev 2010;30(1):92-110.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0.30.1.92. 

  17. Hun SI. Changes in the financial burden of health expenditures by income level. Health Welf Policy Forum 2009;(149):48-62. 

  18. Saksena P, Xu K, Durairaj V. The drivers of catastrophic expenditure: outpatient services, hospitalization or medicine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19. Moon JY, Choi YJ, Seo NK. A comparative study on factors related to the health expenditure of different household types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Health Soc Sci 2014;35:285-307. 

  20. Seo NG, Ahn SJ, Kang TW, Hwang YH. The study of estimating househol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using Korea Health Panel data.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15;21(1):79-102. 

  21. World Health Organization. Distribution of health payment and catastrophic expenditures methodology.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 

  22. Lee TJ, Yang BM, Kwon SM, Oh JW, Lee SH. Equity in the expenditures of health care services.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03;9(2):25-34. 

  23. Van Doorslaer E, Wagstaff A, van der Burg H, Christiansen T, De Graeve D, Duchesne I, et al. Equity in the delivery of health care in Europe and the US. J Health Econ 2000;19(5):553-583. 

  24. Wagstaff A, van Doorslaer E, van der Burg H, Calonge S, Christiansen T, Citoni G, et al. Equity in the finance of health care: some further international comparisons. J Health Econ 1999;18(3):263-290. 

  25. Song EC, Shin YJ.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the transition to and persistence of poverty in South Korea: analysis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2007-2012. Health Policy Manag 2014;24(3):242-253.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4.24.3.242. 

  26. Yang DW, Kim H, Kang E, Kim D, Bae EY, Kim J.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in the households with cancer patients.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17;23(1):53-70. 

  27. Jung HW, Lee JH. Effect of experience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unmet medical need caused by economic reason.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17;23(1):27-51. 

  28. Waters HR, Anderson GF, Mays J. Measuring financial protection in health in the United States. Health Policy 2004;69(3):339-349. DOI: https://doi.org/10.1016/j.healthpol.2004.01.003. 

  29. Ghislandi S, Crosignani PG, Negri E, La Vecchia C, Zocchetti C. Sex and age differences in health expenditure in northern Italy. Epidemiol Biostat Public Health 2014;11(4):10244. DOI: https://doi.org/10.2427/10244. 

  30. Cylus J, Hartman M, Washington B, Andrews K, Catlin A. Pronounced gender and age differences are evident in personal health care spending per person. Health Aff (Millwood) 2011;30(1):153-160. DOI: https://doi.org/10.1377/hlthaff.2010.0216. 

  31. Lim HK, Ahn YJ. Gyeonggido women health and policy agenda regarding life-cycle stage. Suwon: Gyeonggido Family & Women Research Institute; 2017. 

  32. Jung YH, Byon L, Ko SJ. Lifetime distribution of medical cost in Korea. Health Soc Welf Rev 2001;31(1):194-216.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1.31.1.194. 

  33. Lim JH. Analysis of unmet medical need status based on the Korean Health Panel. Health Soc Sci 2013;34:237-256. 

  34. Park EJ. A study on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medical expenditure.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editors. Proceedings of the 3rd Conference of Korea Health Panel; 2011 Dec 1; Seoul, Kora.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1. pp. 177-190. 

  35. Baek IR, Park HS, Byun SS. The determinants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behavior of private health insurance. J Korea Contents Soc 2012;12(7):295-305. 

  36. Choi SH, Cho YT. Sex differentials in the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s by marital status. Korea J Popul Stud 2006;29(2):143-166. 

  37. Park HC, Noh JW, Kim KB, Kwon YD. Ratio of household healthcare spending to household income. J Korea Contents Soc 2016;16(10):411-419. 

  38. Hwang GH. Analysis of gender wage gap among youth employees. Employ Issue 2017;23;22-38. 

  39. Oh EJ, Kim SY. Career interruption of Korean female youth. Soc Sci Rev 2016;47(2):141-166. 

  40. Jang HJ, Park HJ, Lee SM.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about gender-sensitive policy. Seoul: Seoul Foundation of Women & Family; 2013. 

  41. Kim D, Tong J, Woo Y, Jeong J. Gender analysis on health promotion policies: focusing on youth and middled-aged population.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6. 

  42. Kim NS. Women's health indicators: a glance through women's health STATS and FACTS in Korea. Health Welf Policy Forum 2016;235:6-14. 

  43. Park JY, Jung KT, Kim YM. A panel study on determinants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f the middle- and old-aged households. Health Policy Manag 2014;24(1):56-70.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4.24.1.56. 

  44. Jang SR. Relations between health, working and burden of health expenditure among baby-boomers. Labor Rev 2012;91:40-53. 

  45.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Affairs. Korean women's health statistics.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Affairs; 2003. 

  46. Kim MG. Issue and policy task of the minimum cost of living. Health Soc Welf Issue Focus 2012;124:1-8. 

  47. Kim YT, Jung JJ, Jeon HJ, Chun HR, Choi SS. A review on female health promotion in foreign countries and policy agenda in South Korea.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0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