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홀로 사는 일상생활 기능제한 노인의 건강 상태 및 사회적 지지 현황
Health Status and Social Support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with Restricted Daily Function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2 no.1, 2018년, pp.95 - 107  

박영희 (부산가톨릭대학교 병원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health status and social support among elderly living alone with restricted daily functions using the data of the "2014 the Korean Elderly Survey". Methods : Data on 2,407 elderly living alone were drawn and statistically examined using a t-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연구자에게 공개되고 있는 노인실태조사 원시자료를 2차적으로 이용한 연구로서 보다 깊이 있는 분석결과를 얻기에는 한계점이 있었지만, 우리사회의 소외계층으로 존재하는 홀로 사는 일상생활 기능제한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대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에는 홀로 사는 기능제한 노인의 건강관리와 사회적 지지에 대한 실질적인 요구와 효과에 초점을 맞춘 후속연구가 진행되어 홀로 사는 노인의 건강증진과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 지역사회 내에서 홀로 사는 노인의 건강상태와 우울,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는 다수 있으나[6][11][12][13][14], 홀로 사는 일상생활 기능제한 노인에 초점을 맞추어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지를 살펴본 전국단위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년마다 전국단위에서 조사되는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홀로 사는 일상생활 기능제한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지 현황,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지역사회 내에서 독립적으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정책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일상생활 기능제한이 있는 홀로 사는 노인은 낮은 교육수준과 열악한 경제 상태에 있으며, 영양관리 미비, 우울증, 미충족의료, 만성질환의 높은 보유를 보여 전체적으로 심각한 건강위험요인을 갖고 있었고, 자녀나 지역사회와의 사회적 지지 또한 낮은 상태에 있어, 적극적인 생활지원 및 건강관리, 사회적 돌봄의 제공이 매우 필요한 상태이다. 홀로 사는 기능제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는 소득과 건강상태, 우울증, 경로당·노인복지관 이용, 다른 사람과의 왕래가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러한 요인에 맞춘 적합한 정책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는 홀로 사는 기능제한 노인을 최우선 돌봄지원 대상자로 선정하여 지역사회 내에서 독립적이고 자율적으로 생활해 나갈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홀로 사는 노인의 수가 급증한 이유는 무엇인가? 8%로 증가하여 초고령 사회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1]. 이러한 빠른 고령화 진전과 부모부양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도시화 등 사회 경제 문화적 변화로 인하여 홀로 사는 노인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2015년 한국의 홀로 사는 노인 수는 137만 9천명으로, 2005년 77만 천명보다 1.
일상생활 기능 제한이 있는 홀로 사는 노인의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지 현황과 그 취약성을 파악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홀로 사는 노인이 일상생활활동(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이나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수행(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에문제가 있다면, 심각한 건강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며, 독립적인 생활이 어려워질 수 있다[10]. 특히 일상생활 기능제한이 있는 홀로 사는 노인은 고령,독거, 기능제한의 3중고(distress)를 겪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가장 취약한 계층으로 우선적인 관심과보호를 제공해야 할 대상이며, 이들에 대한 돌봄서비스 제공과 지역사회 내에서의 사회적 지지가 절실히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일상생활 기능 제한이 있는 홀로 사는 노인의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지 현황과 그 취약성을 면밀히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사회적 지지란? 홀로 사는 노인은 혼자 생활해 나가면서 자신의 의식주를 관리해야하는데, 아플 때 간호할 사람이 없다는 점과, 심리적 불안감과 외로움, 경제적 불안감을 느끼고 있으며, 일상생활 문제처리가 힘들다는 여러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어[4], 신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사회적 돌봄과 사회적 지지가 필요한 상태이다. 사회적 지지란 개인이나 가족의 심리사회적 문제해결 기능을 하는 긍정적인 사회관계망 개념이며, 개인이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기본적인 욕구충족에 필요한 도움이나 사랑, 인정 등과 같은 정서적 지원, 정보 등을 제공받는 것을 의미하며, 한 개인이 자신이 가진 대인관계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긍정적인 자원이라고 볼 수 있다[7]. 노인의사회적 지지는 직접적으로 의미 있는 사회적 관계를 지속시켜 노인의 고립이나 외로움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노인의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직접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Press Paper(2016), "2017 Health and Welfare Main Statistic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6. 

  2. K.H. Jung(2015), The Status of Elderly Living Alone and Related Policy Measures, Health & Social Affairs Issue & Focus, Vol.300;1-8. 

  3. Y.J. Lee, S.Y. Um(2015), Analysis for Division of State, Market and Family in Income Sources of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 Contents Society, Vol.15(5);91-199. 

  4.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2014), Report of 2014 the Korean Elderly Survey, pp.249-480. 

  5. K.S. Kim(2017), Effects of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Their Families: Using Data from the 2014 Community Health Survey, Journal of Korean Academic Community Health Nursing, Vol.28(1);78-87. 

  6. H.S. Sok(2008), A Comparative Study on Physical Health Status, Family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 Aged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Fami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19(4);564-574. 

  7. C.Y. Cho(2013), A Study on the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Factors that Influence Suicide Ideation Among the Elderly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Vol.8;1-21. 

  8. M.S. Lee, N.Y. Kim,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of the Old, Korea Academy of Clinical Social Work, Vol.4(1);161-176. 

  9. B.I. Noh, S.H. Mo(2007), The Effect of Levels and Dimensions of Social Support on Geriatric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7(1);53-69. 

  10. C.S. Choi(2017), A Study on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pp.31-150. 

  11. S.J. Kim, I.S. Shin, H.Y. Shin, J.M. Kim, S.W. Kim, J.S. Yoon(2015), Comparison of Depression Betwee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ose Living with a Spou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Vol.21(3);192-198. 

  12. K.A. Shin(2017),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Life by Ego?Identity of Elderly Living Alone-Analysis of the Mediation Effect in the Social Participation Need, Graduate School of Sungkyul University, pp.31-33. 

  13. E.K. Cho(2017),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on Life Satisfaction,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pp.8-10. 

  14. D.H. Yun(2017), Convergent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Self Estee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9);345-354. 

  15. M.J. Kim, J.Y. Im(2017), Socio?Economic Status Factors Affecting Chronic Disease of the Elderly,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7(4);125-145. 

  16. S.H. Jung(2017),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ed in the Elderly,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pp.62-63. 

  17. H.S. Yun, S.R. Yeom(2016),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Solidarity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Older Adul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68(1);53-71. 

  18. T.Y. Son, Y.H. Kim(2017),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Changes in Adults According to Chronic Disease Typ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1(4);115-132.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7), Medical Care Expenses of National HealthnInsurance, p.74. 

  20. B.R. Cho, H.S. Kim(2016), Model of Korea Primary Health Care for Efficient and Qualitative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 Care Collaborating Agency, pp.288-300. 

  21. Press Paper(2017), "Management of Hypertension and Chronic Diseases is Easy in Our Community Clinic",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p.1-4. 

  22. K. F. Schuessler, G. A. Fisher(1985), Quality of Life Research and Sociology,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11;129-149. 

  23. S.M. Park(2011), Effects of Health Statu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activities and economic activitie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53;305-332. 

  24. J.K. Kim(2012), The Corelation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Activity with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p.30-44. 

  25. J.C. Choi(200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Family Form to the Quality of Life in Rural Elderly Women-focusing on connections between preparation for old age and social support, The Graduate school of Hanseo University, pp.99-1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