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디자인 능력 육성을 위한 창의성 개발 교육법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ity Development Teaching Method for Promoting Fashion Design Ability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20 no.2, 2018년, pp.156 - 166  

이은령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uitable material that can be a real help to make the creativity development teaching method for creative inspirations of fashion design. To achieve these goals, researched and analyzed the creativity studies in the fields of psychology, education, and d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단 하나의 교육법은 없어도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방법론이 있다면 창의성 육성에 큰 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각 학문의 창의성 관련 선행연구를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다학제적 특성을 가진 패션 디자인 교육 현장에 적합한 교육 방법의 특성을 찾는데 효과적인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첫째, 패션디자인 능력 육성을 위한 창의성의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패션디자인 능력 육성을 위한 창의성 표현 방법에 대하여 알아본다. 셋째, 패션디자인 능력 육성을 위한 창의성 문제 해결 과정과 특성에 대하여 알아본다.
  • 드로잉은 패션디자인에서 필수적인 아이디어 표현 방법으로써 장소와 시간에 제한받지 않고 생각을 받아들이고 표현해내는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가장 기본적이며 개인의 독특한 개성이 드러나는 그 자체로써도 가치가 있는 표현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창의적인 발상 표현 방법으로 가장 기본적이고 장소와 최소한의 재료로 개인의 개성 표현이 크게 표출되는 드로잉의 역할을 강조하고자 한다.
  • 둘째, 패션디자인 능력 육성을 위한 창의성 표현 방법에 대하여 알아본다. 셋째, 패션디자인 능력 육성을 위한 창의성 문제 해결 과정과 특성에 대하여 알아본다.
  • 이 연구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패션디자인의 전개 능력을 위한 창의성을 육성하고 개발하는 교육법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창의성 개발을 위한 교육법은 특정 분야에 대한 전공의 특성뿐만 아니라, 교사와 학생 사이의 소통과 학생의 학습능력 및 성격적 특성이 모두 연관되어있기 때문에 심리학-교육학-디자인의 통합적 관점에서 다루어져야 학생의 능력을 잘 이끌어내는 효과적인 특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이 연구는 패션디자인 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심리학-교육학-디자인 분야의 창의성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패션디자인 교육에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창의성 개발 교육법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패션디자인 능력 육성을 위한 창의성의 특성, 표현 방법, 문제 해결 과정과 특성을 연구 문제로 설정하고 살펴보았다.
  • 수집된 선행연구 자료를 분석하여 창의성에 대한 전공 분야별 창의성 연구의 경향과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유연하게 창의적인 패션디자인 전개 능력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를 훈련하고 성장시킬 수 있는 창의성의 특성, 표현 방법, 문제 해결 과정과 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창의성은 인지적 측면뿐만 아니라 다른 여건과 결합되어 나타나는 상호작용을 의미하는 것(Shin, 2001)이므로 정서적 측면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종합하여 연구자는 패션디자인 능력을 육성하기 위한 창의성 개발 교육법의 창의성 요소를 호기심, 개방성, 독창성, 끈기, 종합력의 5가지로 제안하고자 한다. 이 5가지 요소의 특성을 선행연구들과 비교하여 살펴보면 Table 1과 같다.
  • 또 교육 방법에 있어서 개인에 대한 지도와 팀으로 지도하는 운영 방법에 차이가 있었다. 패션디자인이 일반적으로 개인의 발상이 많이 이루어 지는 분야이므로 1대 다수의 일반적인 수업의 형태인 개인의 창의성 능력 개발을 위한 제안을 기본으로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의성의 개념이란 무엇인가? 창의성의 개념은 하나의 명확한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진 않지만, 많은 선행연구들을 종합해보면 ‘새롭고 독특한 아이디어’라고 말할 수 있다(Choe, 1998; Jeon, 1997; Kim, 2004; Lee, 2002; Lee & Kim, 2015; Park, 1993; Shin, 2001; Song & Lee, 2012; Sternberg et al., 2009/2004).
현대 사회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하는 일은? 21세기 지식 정보사회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제품에 독특함과 유용성의 가치를 더하며 소비자들의 다양한 감성을 만족시키고 있다.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창의성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창의성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법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Rhodes가 제안한 고전적인 창의성의 개념은? Guilford(1950)가 미국 심리 학회에서 창의성에 대한 기조연 설을 한 이후 창의성에 대하여 100여 개 이상의 정의가 등장 하였고, Rhodes(1961)가 이 중에서 창의성 연구에 적합한 정의 들을 수집해 보니 56개였다고 한다(as cited in Choe, 1998). 그리고 서로 중복되는 것들을 비교, 분석하여 4가지로 구분한 창의성 측면이 고전적인 ‘4P’이다. 4P란 창의물들이 나올 수있는 창의적인 환경이나 장소(Place), 창의적인 과정(Process), 창의적인 사람(Person), 창의적인 산출물(Product)을 말한다. 이후 많은 연구자들이 창의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 4P의 범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4P 의 중요성에는 대부분 이견이 없음을 보여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Betty, E. (2013). Drawing on the artist within (Viz & Biz Press Trans.). Seoul: Viz & Biz Press. (Orignal work published 1986) 

  2. Cho, J. M. (2010). Development of contents in fundamental design education for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8), 1265-1276. doi:10.5850/jksct.2010.34.8.1265 

  3. Cho, J. S. (2004). A study on fashion design applied with the plastic arts - Focused on Mondrian's geometrical abstract painting shown in the twenty century's fashion design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2(4), 663-675. 

  4. Cho, K. S. (2008). Establishing relationship of design aesthetic elements and suggestion of successful design process - Focusing on tennis shoes -.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1(1), 91-104. 

  5. Cho, Y. H. (1999). A comparative study of Korea with Japan on the prospect of an introduce state of design methodology in enterprise. The Science of Design, 3, 1-5. 

  6. Choe, I. S. (1998). Six relevant questions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reativity.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7(1), 25-47. 

  7. Choe, I. S., Lee, H. S., Lee, G. H., & Kim, S. J. (2012). A detailed analysis of creativity courses provided by prestigious Korean universitie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0(2), 179-199. doi:10.15708/kscs.30.2.201206.007 

  8. Choi, E. H., & Choi, Y. A. (2007). A study on the types of design problem solving by analogical thinking-focused on the analysis of associated words and sketch.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16(2), 63-70. 

  9. Choi, I. H., & Choe, I. S. (2001). How can the new ideas be produced: A learning-process approach to creativity on expert domain.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0(2), 409-428. 

  10. Choi, J. Y., Lee, H. J., Oh, D. W., Leem, C. S., & Yi, B. D. (1998). An analytical methodology of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for textile design.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2), 43-53. 

  11. Choi, S. Y., & Kim, M. J. (2014). Creative idea and an analysis of fashion design on Korean image through the SCAMPER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1), 1-17. doi:10.7233/jksc.2014.64.1.001 

  12. Chung, J. H., & Kim, Y. S. (2005). The technique of idea creation for effectively executing brain storming in design VE proces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Magazine, 53(12), 68-74. 

  13. Do, K. H. (1996). A methodological study on the developing process of costume design applied to the method of morphological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0(3), 401-413. 

  14. Eun, M. J., & Lee, J. H. (2006). A study on a design process model for mass-customized fashion product(part1) - On the basis of internet shopp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2), 187-197. 

  15. Hah, J. H. (2003). A study of the relations among problem finding,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99-115. 

  16. Heo, S. C. (2003). Intuitive conception method based on the experiential emo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6(1), 1-10. 

  17. Hong, J. P., & Choi, E. H. (2007). Creative idea generation methods by analogical association and shape elements reconstruction.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0(3), 443-450. 

  18. Hong, J. P., & Jeong, S. K. (2006). Design methodology for creative design thinking.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9(4), 385-394. 

  19. Hong, J. P., & Jeong, S. K. (2008). A design elements and the aesthetics element analysis of the design of the creativity.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1(3), 387-397. 

  20. Jeon, K. W. (1997). The effects of creativity training program on creative development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1(2), 223-253. 

  21. Jeong, J. E., & Cho, Y. S. (2012). Analysis of the studies of creativity education in Korea : Focusing on approaches toward creativity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4(4), 659-682. 

  22. Jo, H. J., & Lee, H. J. (2011). Design process based on creating ideas through divergent thinking. Journal of Digital Design, 11(1), 141-152. doi:10.17280/jdd.2011.11.1.015 

  23. Kang, D. K., & Chung, B. R. (2000). A study of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for creative id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37, 17-27. 

  24. Kang, D. K., & Yang, J. Y. (2005). A study on basic of the test program for design creative thinking.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6(2), 135-143. 

  25. Kang, H. S. (2011). In search of instructional design for development a creativity.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32(2), 51-62. 

  26. Kim, E. J. (2008).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for creativity in desig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21(5), 15-25. 

  27. Kim, E. K., Lee, K. H., & Lew, K. H. (2010). Th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creative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Korean Society for Creativity Education, 10(2), 5-26. 

  28. Kim, H. K. (2004).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tool useful for examining domain of creativity and recognition on its manifes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2), 25-49. 

  29. Kim, H. L., & Yoo, Y. S. (2002). A study on the creative expression of fashion illustration - Focusing on creative idea techniqu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8), 1153-1164. 

  30. Kim, I. K. (2009). Case study on design process for creative fashion design. The Journal of Art & Design, 17, 5-14. 

  31. Kim, K. H., & Park, E. D. (2012). Analysing of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integrated design lessons on creative thinking ability in design education. Teacher Education Research, 51(2), 169-184. doi:10.15812/ter.51.2.201208.169 

  32. Kim, M. C., & Min, K. H. (2012).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 Concept, methods, trends and topics.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6(4), 51-72. 

  33. Kim, S. N., & Lee, B. H. (2004). Evaluation of school-based creativity educa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367-397. 

  34. Kim, Y. C., Jeon, H. S., & Park, K. S. (2002). The instructional program of creative problem-solving : Development and experimental analysi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0(1), 129-158. 

  35. Kim, Y. K. (2014).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fashion design thinking through the lexic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2), 113-125. doi:10.7233/jksc.2014.64.2.113 

  36. Kim, Y. K., & Park, H. W. (2010). Study on a creative fashion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rough idea class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9), 95-105. 

  37. Kong, M. R. (2008).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method of construction lines for conception of clothes desig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0(6), 848-856. 

  38. Kong, M. R., & Chae, K. S. (2005). A study on the expansion methodology of creative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5(2), 45-57. 

  39. Lee, B. D. (2006). A study on fashion design pedagogy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 With emphasis on intuiti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3), 487-496. 

  40. Lee, H. S., Park, S. H., & Choe, I. S. (2012).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a self-actualizing creativity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6(1), 177-199. 

  41. Lee, J. S. (2009). A study on creative ideas techniques and creative thinking.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0(3), 347-357. 

  42. Lee, K. H. (2002). A study on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1(2), 47-68. 

  43. Lee, M. S., & Kim, M. J. (2015). Analytic model development for fashion designer's creativity - Centered on perspectives of M. Csikszentimihalyi & H. Gardener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5(4), 137-153. doi:10.7233/jksc.2015.65.4.137 

  44. Lee, S. Y. (2005). A study on innovative thoughts about design and methodology - Focused on the case of IDEO design compan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1(2), 114-125. 

  45. Lee, Y. H., Park, J. O., Suh, M. A., & Ahnm, M. Y. (2004). The development of patient's uniform design. The Journal of Korean Living Science Research, 24, 5-23. 

  46. Lee, Y. J., & Geum, K. S. (1996). A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fashion design through the source of inspiration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9, 53-69. 

  47. Lim, H. H., Kim, O. Y., Shin, K. H., Yoo, H. W., & Baek, Y. S. (2009). Study for the advanced education of creativity improvement.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12(4), 135-141. doi:10.18108/jeer.2009.12.4.135 

  48. Oh, N. R., & Lee, S. H. (2007). A study on creative fashion design process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1(2), 129-144. 

  49. Park, K. S. (1993). The nature of creative thinking.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12(1), 19-45. 

  50. Park, S. Y. (2005). The effect of dance education using brainstorming technic on confidence. Korea Sport Research, 16(4), 337-344. 

  51. Rhi, J. M. (2005). Creativity development and design in digital er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18(2), 265-272. 

  52. Shin, G. K. (2001). Creativity-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창의력개발연구, 5, 49-71. 

  53. Song, I. S., & Kim, H. S. (1999). An exploratory study of the establishment of concept on creativi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3(3), 93-117. 

  54. Song, Y. S., & Lee, K. H. (2012). Effect of experience of taking a creativity class on creativity and cognitive learning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Global Creative Leader, 2(2), 73-88. 

  55. Stebergrn, R. J., Grigorenko, E. L., & Singer, J. L. (2009). Creativity (Y. Lim, Trans.). Seoul: Hakjisa. (Orignal work published 2004) 

  56. Sung, E. H., Han, S. M., Ha, J. H., Lee, J. K., Ryu, H. S., Han, Y. Y., & Bak, B. G. (2008). College students' implicit theory of Korean creativity and creative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4(1), 367-390. 

  57. Sung, Y. J., & Yoo, Y. S. (2002). A study on the creative expression of fashion illustration - Focusing on the expression of element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2(7), 13-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