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의 순환 시스템 장치 개발 및 수업 프로그램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n Instructional Program by Water Circulation System Device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1 no.1, 2018년, pp.21 - 37  

강정수 (충북음성대소초등학교) ,  김형범 (충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행동 체계를 통해 초등학생들이 물의 순환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화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등학생들이 물의 순환 개념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으며, 대부분의 초등학생들은 구름이 더 무겁기 때문에 비가 내리는 것의 과학적 개념이 아닌 오개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현행 교과서의 실험들은 연결성이 낮고 물의 순환 개념들이 세분화되어 올바른 과학적 개념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줄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과서 내 이슬, 안개 및 구름 등의 실험들을 통합하여 물의 순환 개념에 대한 시스템적 사고가 가능하도록 물의 순환 시스템 장치와 이를 활용한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준실험 설계를 통해 물의 순환 시스템 장치를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물의 순환 시스템 장치를 활용한 수업은 증발, 응결, 그리고 물 순환의 개념을 시스템적으로 이해하는데 이전의 실험들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물의 순환 시스템 장치를 활용한 수업에서 가장 효과적인 실험 조건과 최적의 실험변수인 응결량의 매개변수를 분석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isualize the concept of water circul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science behavioral system.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concepts related to the water cycle. Most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ink it rains because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과서 내 이슬, 안개 및 구름 등의 실험들을 통합하여 물의 순환 개념에 대한 시스템적 사고가 가능하도록 물의 순환 시스템 장치와 이를 활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직관적으로 물의 순환 과정을 한 눈에 확인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증발·응결·강수에 대해 통합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과서 내 이슬, 안개 및 구름 등의 실험들을 통합하여 물의 순환 개념에 대한 시스템적 사고가 가능하도록 물의 순환 시스템 장치와 이를 활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준실험 설계를 통해 물의 순환 시스템 장치를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물의 순환 시스템 장치를 활용한 수업은 증발, 응결, 그리고 물 순환의 개념을 시스템적으로 이해하는데 이전의 실험들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 주었다.
  •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물의 순환 시스템 실험 장치를 활용한 수업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즉 통제반은 정규 교육과정에 따른 일반적인 과학수업을 실시하고 실험반은 이 연구에서 개발한 물의 순환 시스템 실험 장치를 활용한 수업프로그램의 과학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검사지를 통해 수업 전후의 물의 순환 시스템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변화 정도를 알아보았다.
  • 마지막으로 이렇게 개발된 물의 순환 시스템 장치를 활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이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학생들이 물의 순환 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도록 물의 순환 시스템 장치와 이를 활용한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대상은 중부지역 D초등학교 5학년 2개반 중에서 연구자들의 자발적인 참여 의사를 확인한 총 50명을 대상으로 물의 순환 개념을 알아보는 증발, 응결, 안개·구름 및 비가 내리는 과정의 총 4개 유형의 검사지를 투입하였으며, 각 검사항목에 대해 학생들이 물 순환 개념에 대해 서술하거나 그림으로 응답하는 방식(Johnson & Reynolds, 2005)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행동 체계를 통해 초등학생들이 물의 순환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화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등학생들이 물의 순환 개념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으며, 대부분의 초등학생들은 구름이 더 무겁기 때문에 비가 내리는 것의 과학적 개념이 아닌 오개념을 가지고 있다.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직관적으로 물의 순환 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증발·응결·강수에 대해 통합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것으로, 물의 순환과 관련하여 교과서에 제시되어있는 실험들을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실험이 가능하도록 물의 순환 시스템 장치를 개발하고, 이렇게 개발된 물의 순환 시스템 장치를 활용하여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을 학생들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 즉 물의 순환과 관련하여 교과서에 제시되어있는 실험들을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실험이 가능하도록 물의 순환 시스템 장치를 개발하고, 이렇게 개발된 물의 순환 시스템 장치를 활용하여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스템 사고란 무엇인가? 최근 4차 산업혁명사회로의 변화 등은 더 복잡 해진 세계 속에서 인간으로 하여금 기존보다 훨씬 더 넓은 범위의 다양한 능력과 융합적 사고를 요구하고 있다(최계영, 2016). 따라서 과학 교과에서는 다양한 개념들의 상호작용과 이들의 피드백 효과를 고려하고 전체의 시스템을 단일 개체로 인식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시스템 사고(Assaraf & Orion, 2010; Clark et al., 2012; Mayer, 1995)의 교육이 필요한 시점이다.
물의 순환 시스템은 2009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조직되어 있는가? 이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의 2009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3~4학년 군에서는 ‘물의 상태 변화’를, 5~6학년 군에서는 ‘날씨와 우리생활’ 단원에서 물의 순환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개념들을 지도하도록 구성하였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즉 2009 개정교육과정 내용 중 ‘물의 순환’에 관련된 개념을 분석해 본 결과, 증발, 끓음, 응결, 습도, 이슬, 안개, 구름, 비의 개념이 물의 순환 관련 개념으로 조직되어 있다. 즉 선수학습으로 3학년 1학기 ‘우리 생활과 물질’, 3학년 2학기 ‘액체와 기체의 부피’를 기본 개념으로 학습하고 물의 순환과 관련된 직접적인 개념 학습은 4학년 2학기부터 학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스템 사고의 교육은 누구에게 중요한 것인가? 시스템 사고의 교육은 과학을 교육과정상에서 처음으로 접하는 초등학생들에게 중요한 교육이다 (문병찬, 2014). 이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의 2009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3~4학년 군에서는 ‘물의 상태 변화’를, 5~6학년 군에서는 ‘날씨와 우리생활’ 단원에서 물의 순환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개념들을 지도하도록 구성하였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교육과학기술부(2011).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9]. 

  2. 교육부(2015a).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74호 [별책 9]. 

  3. 교육부(2015b).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1]. 

  4. 김지현(2009).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그리기를 통한 증발과 응결에 대한 이해. 교원교육, 25(1), 275-288. 

  5. 김진범(2003). 물의 순환 과정에 대한 초등학생의 선개념과 개념 변화에 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문병찬(2014). 초등과학교육에서 지구시스템 인식 강화를 위한 시스템사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3), 313-326. 

  7. 박현주(1996). 초등학교 학생들의 증발에 대한 개념 생태 연구, 초등과학교육, 15(2). 215-222. 

  8. 서정욱, 김형범, Potvin, P.(2014). 탄소 배출 시나리오를 통한 고등학생들의 탄소 순환에 대한 질량 보존의 개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35(3), 192-202. 

  9. 이근연(2001) 입자적 분자개념을 적응한 수업전략이 초등학생의 공기와 물의 순환 개념 획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이용섭, 김윤경(2012). 과학 기반 STEAM의 '날씨와 우리 생활' 학습이 창의적 사고 및 창의성 사고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2), 204-212. 

  11. 이용복, 이성미(1998). 초등학교 학생들의 증발과 응결 개념에 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7(1), 89-103. 

  12. 안현복(2009).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물 순환 구성요소와 물 순환 과정에 대한 이해.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3. 윤재화(2001). 초등학교 학생들의 증발과 응결에 관한 개념변화 유형 조사 탐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최계영(2016).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상과 정책 시사점. KISDI 프리미엄 리포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원. 

  15. Assaraf, O. & Orion, N. (2010). System thinking skills at the elementary level.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5), 540-563. 

  16. Clark, J., Marks, J., Haden C., Bell, M., & Hungate, B. (2012). The Carbon cycle game: A regionally relevant activity to introduce climate change. Journal of National Earth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8, 9-13. 

  17. Cohen, J. (1977).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behavioral sciences (revised ed.). New York: Academic Press. 

  18. Johnson, J. K. & Reynolds, S, J. (2005). Concept sketches-using student and instructor generated, annotated sketches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ment in geology course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1), 85-95. 

  19. Kim, H. & Chae, D. H. (2016).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TEAM Program Based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12(7), 1925-1936. 

  20. Osborne, R. J. & Cosgrove, M. M. (1983). Children's conceptions of the changes of state of wate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9), 825-838. 

  21. Mayer, V. J. (1995). Using the earth system for integrating the science curriculum. Science education. 79(4), 375-391. 

  22. McNamara, C. (1998). Applied systems thinking, Proceedings of the 42nd annual conference on systems sciences, In J. K. Allen, et al.(Eds.),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ystems Sciences, Atlanta, Georgia, USA, 1-26. 

  23. Shadish, W. R., Cook, T. D., & Campbell, D. T. (2002). Experimental and quasi experimental designs for generalized causal inference. Belmont, CA: Wadsworth. 

  24. Wolf, F. M. (1986). Meta-analysis: Quantitative Methods for Research Synthesis. Beverly Hills, CA: Sag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