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투명전극 제조를 위한 ITO 대체소재 연구동향
Recent research trends of alternative materials to indium-tin-oxide for transparent electrodes in flexible displays 원문보기

세라미스트 = Ceramist, v.21 no.1, 2018년, pp.12 - 23  

김선옥 (전북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정보소재공학전공) ,  최수빈 (전북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정보소재공학전공) ,  김종웅 (전북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정보소재공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flexible displays have been considered as a breakthrough to make a new electronics category, transparent electrodes have also confronted with an emerging issue, i.e., they also need to be mechanically flexible. For this to be made possible, a transparent electrode capable of withstanding lar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고에서는 디스플레이용 투명전극 물질로 널리 활용된 ITO의 대체물질로 연구 중인 소재들의 개발 동향에 대하여 리뷰하였다. ITO는 특유의 가시광 투과율과 우수한 전도성으로 인해 투명한 전극을 필요로 하는 대부분의 용도에 사용되어 왔지만, 기계적 유연성을 핵심 특성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는 특유의 취성으로 인해 적용되기 어려운 한계를 드러내었다.
  • 그래핀 등 탄소기반 소재는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적용 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나, 금속기반 소재에 비해 낮은 전도도가 취약점으로 지적되며, 전도성 고분자 또한 투과율 대비 낮은 전도도 및 특정 파장대의 흡광 등의 문제로 인해 상용화가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소재를 디스플레이 관련 소자제작에 적용한 사례들 중 주목할 만한 것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 하이브리드 전극의 경우, 기본적으로 긴 나노와이어로 만들어진 Mesh 구조에 짧은 나노와이어로 보완함으로써 전류 전달 경로 확대의 측면에서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은 은 나노와이어 기반의 플렉서블 OLED용 투명전극 제조 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겠다.

가설 설정

  • 하부 전극의 경우 전극 상부에 박막이 순차적으로 적층 되기 때문에 전도도-투과율을 제외할 경우 가장 중요한 특성은 평탄한 표면조도이다.6) 전극 상부에 증착될 박막의 경우 얇게는 수 나노미터부터 두꺼워도 대개 100 nm를 넘지 않기 때문에, 조도가 거친 전극의 경우 단락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전류가 전극 면으로부터 균일하게 공급되어야 전류밀도의 국부적 집중을 막아 수명을 늘릴 수 있으므로 균일한 전도도 또한 중요한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TO란? 현재까지 이들 소자에 적용된 투명전극 물질은 거의 대부분 인듐주석산화물 (Indium tin oxide: ITO)이었다. ITO는 인듐산화물에 주석산화물을 첨가하여 전도성을 향상시킨 물질로, 유리 기판에 스퍼터링하여 증착한 ITO를 결정화 처리할 경우 90% 이상의 가시광 투과율과 10 Ω/cm2 대의 면저항을 동시에 나타낼 정도로 우수한 전기전도도와 광투과율을 보여준다.1-5) 디바이스 내부에서 발생한 빛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경로에 있는 전극은 높은 전기전도도와 더불어 우수한 광투과율을 가져야 하므로, ITO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및 터치센서 등 디스플레이 소자 대부분에 사용되어 왔다.
ITO의 한계점은? 1-5) 디바이스 내부에서 발생한 빛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경로에 있는 전극은 높은 전기전도도와 더불어 우수한 광투과율을 가져야 하므로, ITO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및 터치센서 등 디스플레이 소자 대부분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ITO는 산화물 특유의 기계적 취성을 가지고 있어, 기계적 유연성을 대표적 특성으로 취성을 가지고 있어, 기계적 유연성을 대표적 특성으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알려져 왔다. 최근 비정질 ITO를 비롯하여 유연성을 대폭 향상시킨 ITO가 보고된 바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유연성을 갖춘 대체소재 개발이 필요할 것이라는 전제 하에 다양한 소재가 연구되고 있다.
Mesh 금속의 시인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그러나 금속 Mesh는 금속 선들 사이의 절연층 면적이 넓어 균일한 Carrier 전달 특성을 요구하는 디바이스용 전극으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으며, 특정 금속의 경우 광 반사율이 높아 터치센서 적용 시 시인성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최근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구조 및 흑화(Blackening) 공법 등이 개발되어 금속 Mesh 소재의 상용화 빈도를 높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Liu, J. Yue, A. Gedanken, "Synthesis of long silver nanowires from AgBr nanocrystals," Adv. Mater., 13 656-658 (2001). 

  2. N. Komoda, M. Nogi, K. Suganuma, K. Kohno, Y. Akiyama, K. Otsuka, "Printed silver nanowire antennas with low signal loss at high-frequency radio," Nanoscale, 4 3148-3153 (2012). 

  3. D.S. Hecht, L. Hu, G. Irvin, "Emerging transparent electrodes based on thin films of carbon nanotubes, graphene, and metallic nanostructures," Adv. Mater., 23 1482-1513 (2011). 

  4. L. Hu, H. Wu, Y. Cui, "Metal nanogrids, nanowires, and nanofibers for transparent electrodes," MRS Bull., 36 760-765 (2011). 

  5. T. Kim, Y.W. Kim, H.S. Lee, H. Kim, W.S. Yang, K.S. Suh, "Uniformly interconnected silver-nanowire networks for transparent film heaters," Adv. Funct. Mater., 23 1250-1255 (2013). 

  6. Y. Kim, T. I. Ryu, K. Ok, M. Kwak, S. Park, N. Park, C. J. Han, B. S. Kim, M. J. Ko, H. J. Son and J. Kim, "Inverted Layer-By-Layer Fabrication of an Ultraflexible and Transparent Ag Nanowir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Electrode for Use in High-Performance Organic Solar Cells," Adv. Funct. Mater., 25 4580-4589 (2015). 

  7. H. M. Nam, D. M. Seo, H. D. Yun, G. Thangavel, L. S. Park, S. Y. Nam, "Transparent Conducting Film Fabricated by Metal Mesh Method with Ag and Cu@ Ag Mixture Nanoparticle Pastes," Metals, 7 176 (2017). 

  8. X. Chen, W. Guo, L. Xie, C. Wei, J. Zhuang, W. Su, Z. Cui, "Embedded Ag/Ni Metal-Mesh with Low Surface Roughness As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 for Optoelectronic Applications," ACS Appl. Mater. Interfaces, 9 37048-37054 (2017). 

  9. C. Song, K. Ok, C. Lee, Y. Kim, M. Kwak, C. J. Han, N. Kim, B. Ju, J. Kim, "Intense-pulsed-light irradiation of Ag nanowire-based transparent electrodes for use in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rganic Electronics, 17 208-215 (2015). 

  10. K. Ok, J. Kim, S. Park, Y. Kim, C. Lee, S. Hong, M. Kwak, N. Kim, C. J. Han, J. Kim, "Ultra-thin and smooth transparent electrode for flexible and leakage-fre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Sci. Rep., 5 9464 (2015). 

  11. J. Lee, K. An, P. Won, Y. Ka, H. Hwang, H. Moon, Y. Kwon, S. Hong, C. Kim, C. Lee, S. H. Ko, "A dual-scale metal nanowire network transparent conductor for highly efficient and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Nanoscale, 9 1978-1985 (2017). 

  12. B. You, C. J. Han, Y. Kim, B. Ju, J. Kim, "A wearable piezocapacitive pressure sensor with a single layer of silver nanowire-based elastomeric composite electrodes," J. Mater. Chem. A,4 10435-10443 (2016). 

  13. S. Lee, A. Reuveny, J. Reeder, S. Lee, H. Jin, Q. Liu, T. Yokota, T. Sekitani, T. Isoyama, Y. Abe, Z. Suo, T. Someya, "A transparent bending-insensitive pressure sensor," Nature Nanotech., 11 472-478 (2016). 

  14. M. Kang, J. Kim, B. Jang, Y. Chae, J. Kim, J. Ahn, "Graphene-Based Three-Dimensional Capacitive Touch Sensor for Wearable Electronics," ACS Nano, 11 7950-7957 (2017). 

  15. T. Wu, C. Yeh, W. Hsiao, P. Huang, M. Huang, Y. Chiang, C. Cheng, R. Liu, P. Chiu, "High-Performanc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with Substitutionally Boron-Doped Graphene Anode," ACS Appl. Mater. Interfaces, 9 14998-15004 (2017). 

  16. I. Park, T. Kim, T. Yoon, S. Kang, H. Cho, N. S. Cho, J. Lee, T. Kim, S. Choi, "Flexible and Transparent Graphene Electrode Architecture with Selective Defect Decoration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Adv. Funct. Mater., 1704435 (2018). 

  17. L. Kinner, S. Nau, K. Popovic, S. Sax, I. Burgues-Ceballos, F. Hermerschmidt, A. Lange, C. Boeffel, S. A. Choulis, E. J. W. List-Kratochvil, "Inkjet-printed embedded Ag-PEDOT:PSS electrodes with improved light out coupling effects for highly efficient ITO-free blue polymer light emitting diodes," Appl. Phys. Lett., 110, 101107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