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작약(Paeonia japonica)의 항산화, 트롬빈 저해, 암전이 억제 및 암세포사멸 평가
Evaluation of Anti-oxidative, Anti-thrombin, Anti-invasive and Pro-apoptotic Activities of Paeonia japonic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1 no.1, 2018년, pp.16 - 23  

김준호 (상지대학교 정밀화학신소재학과) ,  김은정 (상지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작약 물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들의 항산화 활성, 트롬빈 억제 및 구강암세포주에서의 암전이 억제 및 암세포 사멸능을 확인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85.13%의 높은 항산화 활성과 87.54%의 높은 트롬빈저해 효과를 나타냈으며, 또한 구강암세포주에서도 트롬빈 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MMP-2/pro-MMP-2이 높은 암전이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구강암세포주에 대한 세포사멸 효과는 물 추출물이 5배 이상의 높은 능력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백작약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새로운 항산화제, 트롬빈억제제 및 암전이억제제의 개발을 위한 우수한 천연물 소재 후보 물질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eonia japonica is a perennial flowering plant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herap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ater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obtained from P. japonica on anti-oxidative, anti-thrombin, anti-invasive and pro-apoptotic activities in YD-10B cell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2; Yip and Reed, 2008).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YD-10B세포에서 백작약 추출물 및 분획물들에 의한 Bax와 Bcl-2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사하고 Bax/Bcl-2 ratio를 통해 구강암세포 사멸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120㎍/㎖ 농도로 48시간 처리했을 때 물 추출물이 대조군에 비해 5배 이상 가장 높은 세포사멸 효과를 보였다(Fig.
  • 백작약의 다양한 생리활성이 알려져 있지만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극성이 큰 물을 추출용매로 백작약의 다양한 유효성분들을 추출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백작약의 물 추출물 및 유기용매 분획물에서 항산화, 트롬빈억제 효과와 종양형성과 종양전이 능력이 우수하다고 이미 밝혀진 인간구강암세포주를 사용하여 암세포 사멸 및 암전이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 , 2005). 본 연구에서는 백작약 물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들의 thrombin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혈관계 질환의 예방 물질로 사용 가능한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87.
  • 본 연구에서는 백작약 추출물 및 분획물들의 YD-10B 인간구강암세포에서 암 침윤 및 MMPs 활성 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40 ㎍/㎖ 농도의 백작약 추출물 및 분획물과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작약의 성분 중, 강한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은? 백작약의 주요한 유효성분으로서 paeoniflorin에 대한 생리활성 연구가 많이 보고 되어오고 있으나 Jeong et al. (2003)은 백작약 에틸아세테이트와 물분획물에서 gallic acid와 catechin 성분이 강한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보고하였으며, 백작약의 조다당분획물 처리로 대식세포의 nitric oxide (NO) 및 암세포생장 억제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들의 높은 생성과 함께 마우스 림프종 세포주의 생존이 억제됨이 보고되었다(Park et al., 2003).
백작약이란? 백작약(P. japonica)은 작약과(Paeoniacease)의 작약속(Paeonia)에 속하는 다년생식물이며, 오랫동안 동양에서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다(Kim and Shin, 2003). 백작약의 주요한 유효성분으로서 paeoniflorin에 대한 생리활성 연구가 많이 보고 되어오고 있으나 Jeong et al.
백작약 물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 별 높은 트롬빈 저해 활성도를 나타내는 것은? 본 연구에서는 백작약 물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들의 thrombin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혈관계 질환의 예방 물질로 사용 가능한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87.54%의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부탄올 분획물은 80.58%의 트롬빈 저해활성을 나타냈다(Fig.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1199-1200. 

  2. Chen, Y.H., J.Y. Wang, B.S. Pan, Y.F. Mu, M.S. Lai, E.C. So, T.S. Wong and B.M. Huang. 2013. Cordycepin enhances cisplatin apoptotic effect through caspase/MAPK pathways in human head and neck tumor cells. Oncotargets Ther. 6:983-998. 

  3. Doljak, B., M. Stegnar, U. Urleb, S. Kreft, A. Umek, M. Ciglaric, B. Strukelj and T. Popovic. 2001. Screening for selective thrombin inhibitors in mushrooms. Blood Coagul. Fibrinolysis 12:123-128. 

  4. Hong, K.H., B.Y. Kim and H.K. Kim. 2004.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in Pleurotus ferul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6(4):563-567 (in Korean). 

  5. Jang, M., L. Cai, G.O. Udeani, K.V. Slowing, C.F. Thomas, C.W. Beecher, H.H Fong, N.R. Farnsworth, A.D. Kinghorn. R.G. Mehta, R.C. Moon and J.M. Pezzuto. 1997.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y of resveratrol, a natural product derived from grapes. Science 275:218-220. 

  6. Jeong, I.Y., J.S. Lee, H. Oh, U. Jung, H.R. Park and A.K. Jo. 2003. Inhibitory effect of hot-water extract of Paeonia japonica on oxidative stress and identification of its active compon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739-744. 

  7. Kim, K.H., H.J. Lee, Y.S. Jang, D.K. Kim, B.S. Shim, K.H. Cho, S.G. Ko, K.S. Ahn and S.H. Kim. 2008. Blockade of glycoprotein IIb/IIIa mediates the antithrombotic activity of butanol fraction of Actinostemma lobatum Maxim. J. Ethnopharmacol. 116:431-438. 

  8. Kim, M.Y., B.Y. Yoon and K.S. Ko. 2015. Study on cosmeceutical activities of Paeonia japonica extracts. J. Kor. Soc. Beauty Cultural Arts 4:23-30. 

  9. Kim, S.M., J.H. Park, H.O. Boo, S.G. Song and H.Y. Park. 2017. In vitro composi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as. Korean J. Plant Res. 30:133-143. 

  10. Kim, T.J. and J.Y. Shin. 2003. Korean oriental medicine keeping with our herbal. 1 st ed. Seoul:Liyou. pp. 154-157. 

  11. Kim, Y.J., C.K. Kim and Y.J. Kwon. 1997. Isolation of anti- oxidative components of Perillae seme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38-43. 

  12. Ko, H.L., E.H. Jung, D.H. Jung, J.K. Kim, S.K. Ku, Y.W. Kim, S.C. Kim, R. Zhao, C.W. Lee and I.J. Cho. 2016. Paeonia japonica root extract protects hepatocytes against oxidative stress through inhibition of AMPK-mediated $GSK3{\beta}$ . J. Funct. Foods. 20:303-316. 

  13. Koo, B.H., M.Y. Park, O.H. Jeon and D.S. Kim. 2009. Regulatory mechanism of matrix metalloproteinase-2 enzymatic activity by factor Xa and thrombin. J. Biol. Chem. 284:23375-23385. 

  14. Lee, H.N., H.Y. Jang, H.J. Kim, S.A. Shin, G.S. Choo, B.K. Park, B.S. Kim and J.Y. Jung. 2015. Induction of apoptosis by piceatannol in YD-15 human oral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975-982. 

  15. Lee, J.M., S.H. Kim and H.M. Kim. 2000. Use of oriental herbs as medicinal food.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50-56. 

  16. Mohan, S., S.I. Abdelwahab, B. Kamalidehghan, S. Syam, K.S. May, N.S.M. Harmal, N. Shafifiyaz, A.H.A. Hadi, N.M. Hashim and M. Rahmani. 2012. Involvement of NF-kB and Bcl-2/Bax signaling pathways in apoptosis of MCF-7 cells induced by a xanthine compound pyranocycloartobiloxanthine A. Phytomedicine 19:1007-1025. 

  17. Oh, H., H.R. Park, I.Y. Jeong, S.H. Kim and S.K. Jo. 2002. Protective effects of Paeonia japonica against radiation- induced damage. J. Korea Asso. Radiat. Prot. 27:181-188. 

  18. Park, B., G.H. Park, D.R. Gu, W. Ko, Y.C. Kim and S.H. Lee. 2015. Inhibitory effect of Paeoniae Radix Alba ethanol extract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formation.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9:51-57. 

  19. Park, H.R., U. Jung, I.Y. Jeong, S.T. Yee and S.K. Jo. 2003. Inhibition of tumor growth through macrophage activation by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Paeonia japonica (PJ-P).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149-154. 

  20. Seong, I. 2006. Antifungal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Paeonia japonica against candida albicans. Korean J. Med. Mycol. 11:19-26. 

  21. Yip, K.W. and J.C. Reed. 2008. Bcl-2 family proteins and cancer. Oncogene 27:6398-6406. 

  22. Yun, Y.P., J.H. Do, S.R. Ko, S.Y. Ryu, J.H. Kim, H.C. Song, Y.D. Park, K.S. Ahn and S.H. Kim. 2001.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and its mixed prescription on the high molecular weight dextran-induced blood stasis in rats and human platelet aggregation. J. Ethnopharmacol. 77:259-264. 

  23. Vitseva, O., S. Varghese, S. Chakrabartis, J.D. Folts and J.E. Freedman. 2005. Grape seed and skin extracts inhibit platelet function and release of reactive oxygen intermediates. J. Cardiovasc. Pharmacol. 46:445-451. 

  24. Zang, L., J. Tu, B.H. Park, K.W. Kinzler and B. Vogelstein. 2000. Roles of BAX in the apoptotic response to anticancer agents. Science 290:989-9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