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범용성 DNA 바코드 분석 기반 한국산 천남성속(Arisaema) 식물의 분자계통학적 연구
Study on Molecular Phylogenetics of Korean Arisaema Species Based on Universal DNA Barcode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1 no.1, 2018년, pp.37 - 51  

노푸름 (한국한의학연구원 K-herb 연구단) ,  한경숙 (한국한의학연구원 K-herb 연구단) ,  김욱진 (한국한의학연구원 K-herb 연구단) ,  양선규 (한국한의학연구원 K-herb 연구단) ,  최고야 (한국한의학연구원 K-herb 연구단) ,  고성철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생명시스템과학과) ,  문병철 (한국한의학연구원 K-herb 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 분포하는 천남성속의 계통학적 유연관계와 한약재 천남성(Arisaematis Rhizoma)으로 사용되는 천남성 3종(둥근잎천남성, 두루미천남성, 일파산남성)에 대한 분류학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천남성속 식물에 대한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3개의 범용성 DNA 바코드(ITS, matK, rbcL)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국내 분포 천남성속 8분류군과 중국에 분포하는 약전수재 종 1분류군을 포함하는 9종 50개 시료와 같은 과의 Dracunculus vulgaris를 군외군으로 하여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3개의 개별 DNA 바코드 염기서열과 이들을 유합한 염기서열로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천남성속의 9 분류군은 6개의 독립적인 분계조를 형성하며 구별되었으며(Clade I, 둥근잎천남성 및 천남성; Clade II, 점박이천남성 및 섬남성; Clade III, 큰천남성; Clade IV, 일파산남성; Clade V, 두루미천남성; Clade VI, 무늬천남성 및 거문천남성), 이들 6개의 분계조는 각각 Pedatisecta절, Sinarisaema절, 및 Tortuosa절로 분류되었다. 또한 이들 DNA 바코드 구간의 비교 결과는 천남성속 식물의 종 및 종 이하 분류 단위의 분류학적 재검토의 필요성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대한민국약전에 수재되어 한약재로 사용가능한 3종의 천남성 기원종의 종내 분류학적 연관성이나 분자계통학적 특징은 확인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axonomic relationships of genus Arisaema L. distributed in Korea and the molecular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three authentic Arisaema species for the herbal medicine Arisaematis Rhizoma (the rhizomes of A. amurense, A. heterophyl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 분포하는 천남성속의 계통학적 유연관계와 한약재 천남성(Arisaematis Rhizoma)으로 사용되는 천남성 3종(둥근잎천남성, 두루미천남성, 일파산남성)에 대한 분류학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천남성속 식물에 대한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3개의 범용성 DNA 바코드(ITS, matK, rbcL)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국내 분포 천남성속 8분류군과 중국에 분포하는 약전수재 종 1분류군을 포함하는 9종 50개 시료와 같은 과의 Dracunculus vulgaris를 군외군으로 하여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nsortium for the Barcode of Life(CBOL)에서 식물의 DNA 바코드로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 엽록체 유전자인 matK와 rbcL 부위와 함께(CBOL Plant Working Group, 2009), 약용 식물들과 그 근연종들의 판별에 적합하다고 보고된 rDNA-ITS 부위의 염기서열 정보를 바탕으로(Chen et al., 2010), 약용으로 사용되는 중국 분포 천남성 1종과 국내에 분포하는 천남성속 식물 6종 1아종 1품종을 포함하는 9개 분류군에 대한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하여, 첫째로 한국산 천남성속 식물에 대한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기반으로 이들의 절과 종간의 분류학적 유연관계와 형태학적 분류 체계와의 상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둘째로 국내 천남성과 다른 절(Sinarisaema절)에 속하고 중국에 주로 분포하며 정품 한약재로 사용 가능한 일파산남성을 포함하여 한약재 천남성으로 약용할 수 있는 천남성 3종과 사용할 수 없는 천남성 종 간의 분류학적 근연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핵에 존재하는 rDNA-ITS 부위의 특징은 무엇인가? , 2014; Techen et al., 2014), 핵에 존재하는 rDNA-ITS 부위는 종간 염기서열 변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특징으로 인하여 다양한 분류군의 계통분석 및 DNA 바코드 연구에 이용되고 있다(Álvarez and Wendel, 2003; China Plant BOL Group et al., 2011, Chen et al.
천남성속 식물의 알려진 효능은 무엇이 있는가? heterophyllum Blume), 및 일파산남성(=중국천남성, A. erubescens Schott)의 괴경을 예로부터 가래를 삭이고 경련을 멈추며 어혈​​​​​​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고 하여 중풍, 얼굴신경마비, 반신불수, 파상풍, 관절통, 급성 및 만성기관지염 등의 치료하는 천남성(天南星, Arisaematis Rhizoma)이라는 약재로 사용해 왔다(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2017).
천남성속 식물의 분류체계는 최근 어떻게 변하였는가? , 1990). 하지만 최근 화수 부속체가 S자 모양인지 채찍처럼 길게 늘어지는 것인지를 기준으로 Tortuosa절의 일부 또는 다수가 Flagellarisaema절로 옮겨지거나, 화수 부속체와 약의 형태 등을 기준으로 Pistillata절과 Arisaema절을 구분하지 않고 Pistillata절로 통합하는 방식으로 절의 분류체계가 변화하였다(Gusman and Gusman, 2002; Li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Alvarez, I. and J.F. Wendel. 2003. Ribosomal ITS sequences and plant phylogenetic inference. Mol. Phylogenet. Evol. 29(3):417-434. 

  2.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version 13. 2017. Araceae. Retrived Jul. 1, 2017, from http://www.mobot.org/mobot/research/apweb. 

  3. Bell, C.D. 2003. Preliminary phylogeny of Valerianaceae (Dipsacales) inferred from nuclear and chloroplast DNA sequence data. Mol. Phylogenet. Evol. 31(1):340-350. 

  4. Boo, D. and S.J. Park. 2016.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Tilia L.. Korean J. Plant Res. 29(5):547-554 (in Korean). 

  5. Bremer, B., K. Bremer, N. Heidari, P. Erixon, R.G. Olmestead, A.A. Anderberg, M. Kallersjo and E. Barkhordarian. 2002. Phylogenetics of asterids based on 3 coding and 3 non-coding chloroplast DNA markers and the utility of non-coding DNA at higher taxonomic levels. Mol. Phylogenet. Evol. 24(2): 274-301. 

  6. CBOL Plant Working Group. 2009. A DNA barcode for land plants. PNASU. 106(31):12794-12797. 

  7. Chang, C.S., H. Kim and K.S. Chang. 2014. Provisional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for the Korea peninsula flora (KPF). Designpost, Paju. Korea. pp. 60-62. 

  8. Chen, S., H. Yao, J. Han, C. Liu, J. Song, L. Shi, Y. Zhu, X. Ma, T. Gao, X. Pang, K. Luo, Y. Li, X. Jia, Y. Lin and C. Leon. 2010. Validation of the ITS2 region as a novel DNA barcode for identifying medicinal plant species. PLoS ONE 5(1): e8613. 

  9. China Plant BOL Group, D.Z. Li, L.M. Gao, H.T. Li, H. Wang, X.J. Ge, J.Q. Liu, Z.D. Chen, S.L. Zhou, S.L. Chen, J.B. Yang, C.X. Fu, C.X. Zeng, H.F. Yan, Y.J. Zhu, Y.S. Sun, S.Y. Chen, L. Zhao, K. Wang, T. Yang and G.W. Duan. 2011. Comparative analysis of a large dataset indicates that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hould be incorporated info the core barcode for seed plants. PNASU. 108(49):19641-19646. 

  10. Farris, J.S., M. Kallersjo, A.G. Kluge and C. Bult. 1995. Testing significance of incongruence. Cladistics 10:315-319. 

  11. Farris, J.S., V.A. Albert, M. Kallersjo, D. Lipscomb and A.G. Kluge. 1996. Parsimony jackknifing outperforms neighbor- joining. Cladistics 12:99-124. 

  12.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4):783-791. 

  13. Gusman, G. and L. Gusman. 2002. The Genus Arisaema: A Monograph for Botanists and Nature Lovers. A.R.G. Gantner Verlag K.G., Ruggell, Liechenstein. pp. 1-438. 

  14. Han, J.W., S.G. Yang, H.J. Kim, C.G. Jang, J.M. Park and S.H. Kang. 2011.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Chrysosplenium based on nrDNA ITS sequences. Korean J. Plant Res. 24(4): 358-369 (in Korean). 

  15. Hayashi, H., N. Hosono, M. Kondo, N. Hiraoka, Y. Ikeshiro, M. Shibano, G. Kusano, H. Yamamoto, T. Tanaka and K. Inoue. 2000.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six Glycyrrhiza species based on rbcL Sequences and chemical constituents. Biol. Pharm. Bull. 23(5):602-606. 

  16. Hong, J.K., J.C. Ynag, S.H. Oh, and Y.M. Lee. 2014.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section Sabina (Genus Juniperus) in Korea based on chloroplast DNA matK and psbA-trnH sequences data. Korean J. Pl. Taxon. 44(1):51-58 (in Korean). 

  17. Jung, Y.H., E.Y. Song, S.J. Chun, K.C. Jang, M. Kim, S.H. Kang and S.C. Kim. 2004. Phylogenetic analysis of plastid trnL-trnF sequencese from Arisaema species (Araceae) in Korea. Euphytica 138:81-88. 

  18. Kato, H., K. Oginuma, Z. Gu, B. Hammel and H. Tobe. 1998.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Betulaceae based on matK sequence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positions of Ostryopsis. Acta Phytotax. Geobot. 49:89-97. 

  19. Kim, H.S., K.T. Park and S.J. Park. 2016.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Hydrangea L.. Korean J. Plant Res. 29(4): 407-418 (in Korean). 

  20. Kimura, M. 1980.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evolutionary rates of base substitution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 J. Mol. Evol. 6:111-120. 

  21. Ko, S.C. 2000. Monographs on Korean Vascular Plants I.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259-284 (in Korean). 

  22. Ko, S.C. 2007. Araceae. In The Genera of VascularPlants of Korea. Flora of Editorial Committee (eds.),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091-1093. 

  23. Ko, S.C. and Y.S. Kim. 1985. A taxonomic study on genusArisaema in Korea. Korean J. Pl. Taxon. 15:67-109. 

  24. Ko, S.C., S.L. O'Kane, Jr. and B.A. Schaal. 1993. Intraspecifictaxonomy and comparisons of NrDNA ITS-2 sequences ofArisaema ringens (Araceae). Rhodora 95(883/884):254-260. 

  25. Ko, S.C., B.U. Oh, H.S. Lee and Y.S. Kim. 1990. A phylogeneticstudy of Arisaema by anatomical and palynological characres(I). -Anatomical characters. Korean J. Pl. Taxon. 20:9-35 (inKorean). 

  26. Ko, S.C., D.B. Lee, Y.H. Shin and K.H. Tae. 2006. Arisaema thunbergii subsp. geomundoense S.C. Ko (Araceae), a new subspecies from Korea. Korean J. Pl. Taxon. 36:209-216. 

  27. Ko, S.C., K.H. Tae, T.O. Kwon and Y.S. Kim. 1987. A cyto-taxonomic study on some species of Arisaema. Korean J. Pl. Taxon. 17:189-205 (in Korean). 

  28.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2017. Defining Dictionary for Medicinal Herbs. Retrived. Jul. 1, 2017, from http://boncho.kiom.re.kr/codex/ (in Korean). 

  29. Kumar S., Stecher G. and Tamura K. 2016. MEGA7: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7.0 for bigger datasets. Mol. Biol. Evol. 33:1870-1874. 

  30. Lee, J.S. and B.M. Kim. 2005. Analysis of genetic relationship among Arisaema Species using RAPD. Korean J. Hortic. Sci. Technol. 23:459-464 (in Korean). 

  31. Lee, T.B. 2003. Coluo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pp. 640-643 (in Korean). 

  32.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 446 (in Korean). 

  33.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Gyohaksa, Seoul, Korea. pp. 597-600 (in Korean). 

  34. Li, H., G. Zhu and J. Murata. 2010. Arisaema Martius. In Wu, Z.Y., P.H. Raven and D.Y. Hong (eds.), Flora of China, Vol. 23. Science Press, Beijing. China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USA. pp. 43-69. 

  35. Librado, P. and J. Rozas. 2009. DnaSP v5: a software for comprehensive analysis of DNA polymorphism data. Bio-informatics 25(1):1451-1452. 

  36. Mansion, G., G. Rosenbaum, N. Schoenenberger, G. Bacchetta, J.A. Rossell and E. Conti. 2008. Phylogenetic analysis informed by geological history supports multiple, sequential invasions of the Mediterranean basin by the angiosperm family Araceae. Syst. Biol. 57:269-285. 

  37. Murata, J. 1984. An attempt at in infrageneric classification of the genus Arisaema (Araceae). J. Fac. Sci. Univ. Tokyo. 12:281-336. 

  38. Murata, J. 1990. Introduction to the plants of Arisaema recently recognized from Japan. Aroideana 13(1-4):34-43. 

  39. Murata, J. 1991. The systematic position of Arisaema nepenthoides and A. wattii (Araceae). Kew Bulletin 46:119-128. 

  40. Murata, J., S. Wu, K. Sasamura and T. Ohitoma. 2014. Comments on the taxonomic treatment of Arisaema (Araceae) in Flora of China. Acta Phytotax. Geobot. 65(3):161-176. 

  41. Nakai, T. 1950. Classes, Ordines, Familiae, Subfamiliae, Tribus, Genera nova quae attinent ad plantas Koreanas (Supplimentum). J. Jap. Bot. 25:5-7. 

  42. Nilssson, R.H. L. Tedersoo, K. Abarenkov, M. Ryberg, E. Kristiansson, M. Hartmann, C.L. Schoch, J.A.A. Nylander, J. Bergsten and T.M. Porter. 2012. Five simple guidelines for establishing basic authenticity and reliability of newly generated fungal ITS sequences. MycoKeys. 4:37-63. 

  43. Oh, B.U., S.C. Ko, W.P. Hong and Y.S. Kim. 1990. A phylogenetic consideration of Arisaema by anatomical and palynological characters II. - Palynological characters. Korean J. Pl. Taxon. 20:37-52 (In Korean). 

  44. Park, S., H.J. Kim and S.J. Park. 2012. Molecular evolution of cpDNA trnL-F region in Korean Thalictrum L. (Ranunculaceae) and its phylogenetic relationships: Impacts of indel events. Korean J. Pl. Taxon. 42(1):13-23 (in Korean). 

  45. Purushothaman, N., S.G. Newmaster, S. Ragupathy, N. Stalin, D. Suresh, D.R. Arunraj, G. Gnanasekaran, S.L. Vassou, D. Narasimhan and M. Parani. 2014. A tiered barcode authenti- cation tool to differentiate medicinal Cassia species in India. Genet. Mol. Res. 13(2):2959-2968. 

  46. Renner, S.S., L.B. Zhang and J. Murata. 2004. A chloroplast phylogeny of Arisaema (Araceae) illutsrates Tertiary floristic links between Asia, North America, and East Africa. Am. J. Bot. 91(6):881-888. 

  47. Saitou, N. and M. Nei.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406-425. 

  48. Satake, Y. 1982. Wild Flowers of Japan I. Herbaceous Plants (including Dwarf Subshrubs). Heibonsha, Tokyo. Japan. pp. 303. 

  49. Stover, B.C. and K.F. Muller. 2010. TreeGraph 2: combining and visualizing evidence from different phylogenetic analyses. BMC bioinformatics 11(1):7. 

  50. Swofford, D.L. 2002. PAUP*: Phylogenetic Analysis Using Parsimony (*and Other Methods), Version 4.0.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Massachusetts (USA). 

  51. Techen, N., I. Parveen, Z. Pan and I.A. Khan. 2014. DNA barcoding of medicinal plant material for identification. Curr. Opin. Biotechnol. 25:103-110. 

  52. White, T.J., T. Bruns, S. Lee and J.W. Taylor.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Innis, M.A., D.H. Gelfand, J. J. Sninsky and T. J. White. (eds.). Academic Press, Inc., New York, USA. pp. 315-322. 

  53. Yoo, K.P. and S.J. Park. 2012. A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Carpesium L. based on nrDNA ITS sequences. Korean J. Plant Res. 25(1):96-104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