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학 사상의 유사성은 계량 분석 될 수 있는가 - 『동의보감』과 『의학입문』, 『경악전서』를 중심으로 -
Can Similarities in Medical thought be Quantified? - Focusing on Donguibogam, Uihagibmun and Gyeongagjeonseo -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31 no.2, 2018년, pp.71 - 82  

오준호 (한국한의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imilarities among Donguibogam(DO), Uihagibmun(UI), and Gyeongagjeonseo(GY)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medical thoughts embedded in the texts can be compared in a quantitative way. Methods : Under an empirical assumption that medical th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계량적 분석 방법이 의학 사상을 살펴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지 검토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분석 대상 서적을 도출하였다. 첫째, 계량 분석 결과를 신뢰하기 위해 분량이 가능한 많은 의서일 것2).
  • 본고는 이러한 가정이 한의학 고문헌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를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의서의 의학 사상은 용어 사용을 통해 드러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한 뒤, 그 결과와 기존 연구 결과를 비교하여 이 가정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의서의 의학 사상이 용어 사용 양상을 통해 드러난다는 가정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러한 가정 아래 의학 사상은 핵심어 빈도의 유사도(similarity)로 유비된다.
  • 빈도의 기준이 되는 용어집(types)은 연구 목적에 따라 정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의학 사상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한의학에서 의학 사상을 가장 잘 드러낸다고 여겨지는 용어를 선택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선행연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수립하였다.
  • 또 기존의 전문가 고찰 방법으로 도출해 내지 못했던 결과를 얻거나 새로운 탐구 소재를 발견하는 경우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접근 방법의 하나로 디지털 텍스트를 계량 분석하는 정량적 방법을 검토하고자 한다1).
  • 경험적으로 어느 정도 수긍할 수 있기도 하지만, 다종다양한 텍스트들에 이러한 가정이 모두 그대로 적용된다고 증명하기 어려운 면도 있다. 본고는 이러한 가정이 한의학 고문헌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를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의서의 의학 사상은 용어 사용을 통해 드러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한 뒤, 그 결과와 기존 연구 결과를 비교하여 이 가정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 본고에서는 디지털 텍스트에 대한 계량 분석 방법의 하나인 카이제곱 값을 계량 지표로 하여 『동의보감』이 『의학입문』 및 『경악전서』와 가지는 관계를 정량화하고 그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한의학 분야에서 의학 사상을 탐구하는 경우에도 이 방법이 유용한지 검토해 보고자 한다.
  • 의서 간 비교에 앞서 한 서적 내에서 핵심어들이 얼마나 균등하게 분포하였는지 검토해 보았다. 동질성(homogeneity)은 서적 내에 핵심어가 얼마나 균질하게 사용되었는가를 나타낸다.

가설 설정

  • 값 이외의 방법을 검토하지 못했다는 점 등 분명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상의 결과는 의학 사상이 텍스트 내에서 주요 핵심어의 빈도로 환원될 수 있다는 가정을 지지해 준다. 단, 일반화된 결론에 이르기 위해서는 계속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첫째, 한의학 고문헌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용어일 것. 둘째, 생리ㆍ병리 현상 등 의학 사상과 관련이 깊은 용어일 것6). 셋째, 출현 빈도가 높은 용어일 것.
  • 첫째, 계량 분석 결과를 신뢰하기 위해 분량이 가능한 많은 의서일 것2). 둘째, 의학 사상의 비교를 위해 다루고 있는 질병의 범위가 유사한 의서일 것. 셋째, 기존 연구 성과와의 비교를 위해 학계에 익숙한 서적으로 정성적 분석 연구에서 다루어진 의서일 것.
  • 둘째, 의학 사상의 비교를 위해 다루고 있는 질병의 범위가 유사한 의서일 것. 셋째, 기존 연구 성과와의 비교를 위해 학계에 익숙한 서적으로 정성적 분석 연구에서 다루어진 의서일 것.
  • 둘째, 생리ㆍ병리 현상 등 의학 사상과 관련이 깊은 용어일 것6). 셋째, 출현 빈도가 높은 용어일 것. 이상의 기준에 부합하는 용어로 오장(五臟:肝ㆍ心ㆍ脾ㆍ肺ㆍ腎), 육기(六氣:風ㆍ寒ㆍ暑ㆍ濕ㆍ燥ㆍ火), 정기신혈담울(精ㆍ氣ㆍ神ㆍ血ㆍ痰ㆍ鬱), 팔강(八綱:陰ㆍ陽ㆍ表ㆍ裏ㆍ寒ㆍ熱ㆍ虛ㆍ實)7)의 용어들 24가지(肝ㆍ心ㆍ脾ㆍ肺ㆍ腎ㆍ風ㆍ寒ㆍ暑ㆍ濕ㆍ燥ㆍ火ㆍ精ㆍ氣ㆍ神ㆍ血ㆍ痰ㆍ鬱ㆍ陰ㆍ陽ㆍ表ㆍ裏ㆍ熱ㆍ虛ㆍ實)를 선정하였다(이하 ‘핵심어’로 지칭)8).
  • 계량적 분석 방법이 의학 사상을 살펴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지 검토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분석 대상 서적을 도출하였다. 첫째, 계량 분석 결과를 신뢰하기 위해 분량이 가능한 많은 의서일 것2). 둘째, 의학 사상의 비교를 위해 다루고 있는 질병의 범위가 유사한 의서일 것.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기준을 통해 χ2값(chi-squared statistic)을 선택하였다. 첫째, 빈도를 변수로 하여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일 것, 둘째, 공식이 의미하는 바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용이할 것, 셋째, 텍스트를 이루는 언어나 텍스트의 내용에 의존적이지 않을 것. χ2[1]은 해당 공식은 관찰된 값(O)과 기댓값(E) 사이의 차이를 의미하며, 범주형 자료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 이에 대한 선행연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수립하였다. 첫째, 한의학 고문헌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용어일 것. 둘째, 생리ㆍ병리 현상 등 의학 사상과 관련이 깊은 용어일 것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의학 서적에 대한 탐구가 가진 가능성은 무엇인가? 오늘날 과거에 만들어진 전통의학 서적을 탐구하는 것은 책을 지은 의가(醫家)의 ‘의학 경험’을 알고 싶기 때문이다. 어떤 병증을 가진 환자를 보았고, 그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어떤 사유를 하였으며, 그 사유 끝에 어떤 치료 방법이 탄생하였는지를 알 수 있다면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의학적 문제에 대해서도 많은 단초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한 의가가 경험한 ‘현실 세계’는 이미 오래 전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기 때문에 그의 ‘의학 사상’을 통해 그것을 재구성해야 한다.
디지털 텍스트를 통한 계량 분석은 어떤 데이터를 기반으로 값을 매기는가? 디지털 텍스트를 통한 계량 분석 방법은 일찍이 정보 검색(Information retrieval), 전산언어학(computational linguistics) 등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조작하거나 그 속에서 의미를 발견하기 위한 방법으로 발전되어 왔다. 디지털 텍스트를 통한 방법은 단어의 빈도(frequency)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데, 텍스트가 가지는 의미 손실이 크다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간단히 만들 수 있고 작업을 자동화 할 수 있어서 수작업에 비해 시간과 노력이 절약되는 장점 때문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디지털 텍스트를 이용한 계략 분석 방법의 장점은? 디지털 텍스트를 통한 계량 분석 방법은 일찍이 정보 검색(Information retrieval), 전산언어학(computational linguistics) 등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조작하거나 그 속에서 의미를 발견하기 위한 방법으로 발전되어 왔다. 디지털 텍스트를 통한 방법은 단어의 빈도(frequency)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데, 텍스트가 가지는 의미 손실이 크다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간단히 만들 수 있고 작업을 자동화 할 수 있어서 수작업에 비해 시간과 노력이 절약되는 장점 때문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im DJ. Korean Medical History. Seoul. Tamgudang. 1981. 김두종. 한국의학사(전). 서울. 탐구당. 1981. 

  2. Kim YH original work. Lee JH ed.. Cheonggang-uigam. 1984. 김영훈 저, 이종형 편. 晴崗醫鑑. 성보사. 1984. 

  3. Chen DS original work. Meng WJ et al. trans.. Various Schools (China). Seoul. Daeseong-uihagsa. 2001. 陳大舜 외 저, 맹웅재 외 역. 各家學說(中國篇). 서울. 대성의학사. 2001. 

  4. Kim KW, Kim TY, Lee BW. Analysis of Prescriptions from Taepyeonghyeminhwajegukbang, Somunsunmyungronbang and Nansilbijang based on Herb weight ratio grade.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14. 27(4). 김기욱, 김태열, 이병욱. 본초 비율의 순위를 이용한 문헌의 특징 분석 방법 - 태평혜민화제국방, 난실비장, 소문선명론방을 중심으로.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4. 27(4). 

  5. Kim JG. A literary research of Dong-uibogam. The Journal Of Bibliographic Research. 1995. 11. 김중권. 東醫寶鑑의 文獻的 硏究 - 인용문헌을 중심으로. 서지학연구. 1995. 11. 

  6. Oh WH et al. Feature Comparison by Prescription Configuration Analysis among Liuhejian's and Lidongyuan's Books and Hejijufang.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15. 28(1). 오월한 外 3인. 방제구성을 이용한 유하간(劉河間) 및 이동원(李東垣)의 저작과 화제국방(和劑局方)의 특성 비교.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5. 28(1). 

  7. Lee JH. Problems with Chinese Ideographs Search in Unicode and Solutions to Them. Informatization policy. 2012. 19(3). 이정현. 유니코드 한자 검색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정보화정책저널. 2012. 19(3). 

  8. Jo HJ. Reference Research on Low Back Pain in Uihagimmun - Compared with Donguibogam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14. 27(2). 조학준. 의학입문 요통의 문헌 근거 - 동의보감 요통과 비교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14. 27(2). 

  9. Cha WS. A Study of Yi Chenon's Medical ideology and Research System. Seoul. Kyunghee Univ. 2001. 차웅석. 李? 醫學思想의 學術系統 및 特徵에 대한 硏究(박사학위논문). 서울. 경희대학교. 2001. 

  10. Cha WS. Comparative studies on Eui Hak Ip Mun and Dong Eui Bo Gam. Korean Society of Medical History. 2000. 13(1). 차웅석. 중국의 醫學入門이 한국의 東醫寶鑑에 미친 영향. 한국의사학회지. 2000. 13(1). 

  11. Ha KT. A Study on the Influence of Jingyuequanshu to Korean Medicine in the late Chosun dynasty. Journal of Korean Medicine. 1999. 20(2). 하기태. 경악전서가 조선후기 한국의학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1999. 20(2). 

  12. Hong SY et al.. Examining Distinctive Points of Introduction to Medicine(Yixuerumen) through the Clinical Window.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16. 29(1). 홍세영 外 3인. 임상학습서로서의 醫學入門의 가치.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6. 29(1). 

  13. Adam Kilgarriff, Raphael Salkie. Corpus similarity and homogeneity via word frequency. Proceedings, EURALEX(Gothenberg, Sweden). 1996. 

  14. Adam Kilgarriff. Using Word Frequency Lists to Measure Corpus Homogeneity and Similarity between Corpora. In Language Engineering for Document Analysis and Recognition. Proceedings, AISB Workshop(Falmer). 1997. 

  15. Pavel Pecina. Lexical association measures and collocation extraction. Lang Resources & Evaluation. 2010. 44. 

  16. KIOM. Mediclassics. Daejeon. KIOM. 2013 [cited on June 08, 2017]: Avaiable form: https://mediclassics.kr/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학고전DB. 대전. 한국한의학연구원. 2013 [cited on June 08, 2017]: Avaiable form: https://mediclassics.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