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방사선작업종사자, 생활주변방사선, 환경방사선 등에 대한 융합적 관점의 안전 현황 고찰
Statistical analysis of national examination for radiological technologists in convergence perspectiv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5, 2018년, pp.85 - 90  

최경호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조정근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방사선 안전과 관련된 추가적인 정책을 수립 운영하기 위해서는 안전현황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가 필요한데, 계량적인 관점에서 현황을 고찰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안전과 관련된 영역 중, 방사선작업종사자, 생활 주변방사선 그리고 환경방사선 현황을 중심으로 다양한 통계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계량적인 측면에서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2014년도 말 기준으로 9개 업종에 종사하는 방사선작업종사자 중 피폭선량이 가장 높은 업종은 NDT로서 다른 업종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9개 업종의 방사선작업종사자에 대한 2010년 대비 2014년 피폭선량의 평균차이가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은 것(p=0.221)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라북도 지역에 비하여 경기도 지역의 환경방사선량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방사선작업종사자, 생활주변방사선, 환경방사선 관련 안전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의 활용 및 방사선방호정책의 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undamental data on the safety status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the additional policies related to the radiation safety,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tus quantitatively. In this study, out of the areas related to radiation safety, the status of the radi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방사선작업종사자와 관련된 피폭선량관리 현황, 생활주변방사선과 관련된 안전관리 현황 그리고 환경방사능과 관련된 현황 등에 대하여 통계적인 관점에서 분석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방사선 안전관리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2011년 제정된 원자력안전법을 기본으로 2012년 7월에는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이 제정되고, 2013년 8월에는 의료법 개정을 통하여 제37조에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와 관련된 조문 등이 마련되었다. 이와 더불어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다양한 연구도 수행되어 오고 있지만, 관계기관의 조사보고서 등에서 제공하는 객관적인 자료에 기초하여 통계적 유의성 검정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계량적인 관점에서 현황을 고찰한 연구는 많지 않은 바 본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2014년도말 기준으로 9개 업종에 종사하는 방사선작업종사자 중피폭선량이 가장 높은 업종은 NDT로서 다른 업종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사능이란 무엇인가? 원자의 구성요소인 양성자, 중성자, 전자가 균형을 이루지 못할 때에 방사선을 방출하는 능력 즉 방사능을 갖게 되고, 이러한 물질들을 방사성물질이라고 한다. 나아가 방사성물질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방사선이라 한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방사성물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나아가 방사성물질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방사선이라 한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방사성물질로는 우라늄, 라돈, 라듐 등이 있는데, 이러한 물질들이 방출하는 방사선으로 인하여 우리 인체는 영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자연방사 선과 함께 사람들은 의학적 치료과정 등에서 방출되는 인공방사선에도 노출되어 영향을 받게 된다[1].
방사선 안전관리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른 사건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방사선의 위험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증대된 계기는 2011년 3월 일본에서 발생한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로, 이 원전사고로 방사선의 위험에 대하여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2011년 월계동 아파트 주변 도로의 방사능 검출 사건은 생활주변 방사선 노출에 대해서도 경계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렇듯 방사선 안전에 대한 인식의 증가와 경계인식은 증가하지만, 동시에 산업현장, 의료현장 등 방사선사용 시설과 작업종 사자들의 방사선 피폭 현상도 계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H. R. Jeong, K. J. Kim, E. H. Mo. (2015), A Study on the Radiation Exposure Dose of Brain Perfusion CT Examination a Phantom,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5), 287-294. 

  2. C. S. Lim & H. A. Moon. (2013), Problems of the legal system related to the regulation of radiation safety for diagnosis, Medical Laws, 14(2), 119-142. 

  3. S. Y. Seo, M. S. Han, C. K. Kim, M. C. Jeon, Y. K. Kim, G. J. Kim. (2017),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a fusion model designed cloak shield to reduce the radiation exposure of the assistant during CT of severely injured pati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9), 211-216. 

  4. K. C. Kim. (2016), Study on radiation safety policy, Master Degree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5. S. K. Lee, J. W. Lee, Y. J. Lee. (2013), Development of the process mapping for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The Korean Association for Radiation Protection, 38(3), 149-156. 

  6. E. O. Han. (2013), Development of a measure tool for radiation safety regulation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2), 6203-6207. 

  7. E. O. Han & D. H. Cho. (2012), Difference between each requirement for radiation safety regulation levels,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37(4), 219-225. 

  8. C. K. Kim. (2012),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of Radi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3(1), 27-34. 

  9. C. K. Park, C. H. Hwang, D. H. Kim. (2017), An analysis of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radiation worker's radiation/radioactivity protection in medical institution: Focused on Busan region medical institutions,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40(1), 101-108. 

  10. S. Choi, J. Lee, H. Kim. (2016), A research on improvement measures for safety management of aviation,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31(2), 215-236. 

  11. Y. Lim. (2015), Radiation exposure on radiation workers of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 2009-2013,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40(3), 162-167. 

  12. C. Jeong, H. Oh, J. Lee, S. Jo, S. Park. (2013), Analysis of dose by items according to act on safety control of radiation around living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ation, 7(6), 377-381. 

  13. E. H. Seo. (2013),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21, Seoul: Freedom Academy, 

  14.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2017), 2016 Nuclear safety yearbook, Seoul,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15.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2016), Environmental radioactivity survey in Korea, Seoul,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