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적장애인 지원욕구 측정을 위한 구성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 Measurement of Support Need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5, 2018년, pp.477 - 485  

윤재영 (삼육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박찬오 (삼육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박상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인의 지원욕구 측정에 필요한 구성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별지원서비스의 경험을 가진 19명의 장애인복지현장 실천가들이 196명의 지적장애인을 인터뷰하여 수집한 지원욕구 조사 결과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6개 영역 20개 문항으로 구성된 지원욕구 측정에 필요한 구성체를 확인하였다. 이들 구성 요인(자기관리, 건강관리, 의사소통, 대인관계, 주간활동, 가정 지역사회 활동)은 ICF 및 SIS-A와 비교할 때, 건강관리영역이 강조된 반면 공동체 생활, 사회생활 그리고 시민생활의 영역은 축소된 특성을 보여주었다. 국내에 지적장애인을 위한 개별지원서비스가 도입되는 초기 단계에서 단순하게 구성된 척도의 활용 가능성을 논의하였으며, 향후 더욱 규모 있는 조사연구를 통해 표준 점수가 산출될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find construction factors of assessing the support need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19 social welfare activists of the disabled having experiences in individual support services interviewed 196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based on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개별지원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성인 지적장애인의 지원욕구 측정을 위한 구성 요인을 국내 상황에서 확인해보고자 시도되었다. 이는 2017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개별지원사업을 통해 지원욕구를 조사하여 평가해 본 경험을 가진 17명의 현장 실천가들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 SIS-A의 평정 방식 그대로 문항별 지원빈도, 일일 지원시간, 지원유형을 측정하였다. 이때에는 현재 주어진 조건에서, 즉 다양한 공적 및 사적 지원이 제공되고 있다면 그 조건에서 더 필요 되는 지원을 조사하였으며, 제시된 예시 중 가장 많은 지원이 필요한 경우로 평정하되 미래의 바람이 아닌 현 시점에서 필요 되는 지원욕구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성인 지적장애인 지원욕구 측정을 위해 필요한 지원욕구의 구성체를 국내상황에서 실증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원욕구를 분류 기준으로 활용한다'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지원욕구를 분류 기준으로 활용한다는 의미는 지적장애의 개념, 지적장애인에 대한 욕구조사, 그리고 이들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가 이르러왔음을 의미한다. 이는 시설 돌봄을 위해 비슷한 기능의 사람들을 집단으로 편성하는 데 필요했던 분류 기준을 뛰어넘어 분류에 의한 낙인화를 최소화 하고 개별 지원 서비스와 이의 효과적인 연결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다차원적인 분류체계(multidimensional classification System)를 작동시킨다는 의미이다[5].
지원욕구를 중심으로 하는 다차원적인 분류체계의 도입이 가지는 의의는 무엇인가? 나아가, 지원욕구를 중심으로 하는 다차원적인 분류체계의 도입은 지적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재편의 시작점이다. 개인별 예산의 할당(personal budget)과 개별 지원계획의 준거로 지원 욕구가 활용되며 사람 중심 서비스와 삶의 질 접근을 위해 필요한 새로운 지적장애의 개념과그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사실 여기서부터 출발된다[6].
장애인복지법 시행령에 따른 지적장애는 무엇인가? 지적장애를 어떻게 분류(classification)할 것인가? 우리나라 「장애인복지법 시행령」은 ‘정신 발육이 항구적으로 지체되어 지적 능력의 발달이 불충분하거나 불완전하고 자신의 일을 처리하는 것과 사회생활에 적응하는 것이 상당히 곤란함’을 분류의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지능지수(Intelligence Quotient; IQ)와 적응행동(adaptivebehavior)으로 지적장애를 분류한다는 의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D. W. Han & M. C. Kang. (2013). Study on smart contents development directions for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to enhance adaptive behavior.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10), 123-131 

  2. Drew, C. J. & Hardman, M. L. (2007). Intellectual disabilities across the lifespan. Recording for the Blind & Dyslexic. 

  3. Kettner, P. M., Moroney, R. M. & Martin, L. L. (2012). Designing and managing programs: An effectiveness-based approach. Sage Publications. 

  4. O'Brien, J., Pearpoint J. & Kahn L. (2010). The PATH & MAPS Handbook: Person-centered Ways to Build Community. Inclusion Press. Toronto: Canada. 

  5. Schalock, R. L., Borthwick-Duffy, S. A., Bradley, V. J., Buntinx, W. H., Coulter, D. L., Craig, E. M. & Shogren, K. A. (2010). Intellectual disability: Definition, classification, and systems of supports. Americ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444 North Capitol Street NW Suite 846, Washington, DC 20001. 

  6. Rimmerman, A. (2017).?Disability and Community Living Polic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H. M. Han, J. S. Sin, G. B. Yoon. (2011). Supports Intensity Scale-User's Manual. Seoul: Sigmapress Publishing Co. ISBN: 9788958329749(8958329742) 

  8. Richies, V. C., Parmenter, T. R., Llewellyn, G., Hindmarsh, G. & Chan, J. (2009). I-CAN: A new instrument to Classify Support Needs for People with Disability: Part I. Journal of Applied Research in intellectual disability, 22, 326-339. 

  9. Wile, D. E. (2014). Why doers do-part 1: Internal elements of human performance. Performance Improvement, 53(2), 14-20. 

  10. Wile, D. E. (2014b). Why doers do-Part 2: External-tangible elements of human performance. Performance Improvement, 53(3), 5-13. 

  11. Wile, D. E. (2014c). Why Doers Do-Part 3: External­ Intangible Elements of Human Performance. Performance Improvement, 53(4), 6-15. 

  12. support. (n.d). Dictionalry.com: http://www.dictionary.com/browse/support 

  13. M. Lombardi & L. Croce. (2016). Aligning supports planning within a Quality-of-Life Outcomes Framework. in Cross-cultural quality of life: Enhancing the live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edited by R. L. Schalock and K. D. Keith, 81-92. 

  14. Thompson, J. R., Bradley, V. J., Buntinx, W. H., Schalock, R. L., Shogren, K. A., Snell, M. E. & Gomez, S. C. (2009). Conceptualizing supports and the support need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47(2), 135-146. 

  15. Power, A., Lord, J. E., & DeFranco, A. S. (2013). Active citizenship and disability: Implementing the personalisation of suppo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Arnold, S. R., Riches, V. C. & Stancliffe, R. J. (2011). Intelligence is as intelligence does: Can additional support needs replace disability?. Journal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36(4), 258-262. 

  17. Thompson, J. R. Wehmeyer M. L., Hughes C., Shogren K. A., Seo H., Little T. D., Schalock R. L., et al. (2016). Support Intensity Scale-Children's Version User's Manual. Washington, DC: AAIDD. 

  18.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2001).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ICF). Geneva, Switzerland. 

  19. Seoul Independent Living Center. (2017). Objective conditions for successful human-centered support: Key success indicators that capture quality of service. Seoul, Korea. 

  20. Smull M. W., and SandersonH. 2005. Essential Lifestyle Planning for Everyone. The Learning Community. Annapolis: MD. 

  21. https://www.i-can.org.au/ 

  22. J. Y. Yoon & G. C. Jeon. (2016). Conceptualizing the Support Need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16(33), 123-148. 

  23. H. S. Lee. (2007).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6.0. Seoul : BOBMUNSA. 

  24. W. P. Kim. (2008).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Amos. Seoul: Society and Statistics. 

  25. Arnold, S. R., Riches, V. C. & Stancliffe, R. J. (2014). I­CAN: The Classification and Prediction of Support Needs. Journal of Applied Research in Intellectual Disabilities, 27(2), 97-111. 

  26. Arnold, S. R., Riches, V. C., & Stancliffe, R. J. (2015). Does a Measure of Support Needs Predict Funding Need Better Than a Measure of Adaptive and Maladaptive Behavior?. American journal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120(5), 375-394.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