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강도서키트트레이닝에 의한 신체조성의 변화가 복부비만 중년남성의 척추만곡도와 요부통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anges In Body Composition Through High Intensity Circuit Training On Spine Curvature And Low Back Pain Among Middle-Aged Men With Abdominal Obesi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5, 2018년, pp.346 - 356  

김채원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  김정훈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좌식 생활 및 신체활동의 부족에서 발생하는 과체중 및 복부비만은 요추 신전근의 약화 및 위축으로 인하여 요부통증(Low back Pain, LBP)의 위험요인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LBP를 소유하고 있는 복부비만 중년남성(n=80)에게 체중감량에 효과가 있는 고강도서키트트레이닝(High Intensity Circuit Training, HICT)을 적용했을 때 신체조성의 변화가 척추만곡도(Spine Curvature, SC) 및 시각적통증척도(Visual Analog Scale, VAS)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한다. 운동 프로그램으로는 체간 중심의 운동을 포함한 전신의 근육을 동원할 수 있는 다관절 형태의 12가지 종목으로 구성된 HICT(1회 운동 30분, 격일제 주당 3회)를 12주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비만관련 신체조성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흉추후만도(Kypotic Angle, KA) 및 요추전만도(Lordotic Angle, LA)가 정상치에 가깝게 이동하였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요부통증의 척도인 VAS의 지표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결국, 복부비만에 의한 비정상적인 흉추후만도, 요추전만도 및 요부통증의 개선은 본 연구에서 적용된 고강도의 운동트레이닝에 의한 신체조성의 변화가 척추만곡도와 요부통증의 개선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verweight and abdominal obesity caused by sedentary lifestyle may induce deconditioned and atrophied extensor musculature of the lumbar spine and be a potential risk factor for low back pain (LBP).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high intensity circuit training (HI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기존에 적용되고 있는 LBP 운동프로그램은 장기간 저중강도로 적용되는 특징으로 인하여 운동지속성이 낮은 단점을 개선하는 운동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LBP를 소유하고 있는 복부비만 중년남성 사무직 근로자에게 기존과 다른 새로운 운동방법에 의한 체중감량 및 복부비만도의 감소가 통증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한다. 또한 통증지수가 감소되는 기전으로 체중감량에 의한 SC의 개선에 있다는 가설을 입증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만성적인 요부통증을 가지고 있는 복부비만 중년남성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서키트트레이닝에 의한 체중감량이 척추만곡도 및 통증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그러므로 서키트트레이닝에 의하여 복부비만도가 해소되면 척추만곡도 교정에 의한 통증의 개선이 가능한지에 대한 처치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가설을 입증하기 위한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LBP를 소유하고 있는 복부비만 중년남성 사무직 근로자에게 기존과 다른 새로운 운동방법에 의한 체중감량 및 복부비만도의 감소가 통증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한다. 또한 통증지수가 감소되는 기전으로 체중감량에 의한 SC의 개선에 있다는 가설을 입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체중감량을 유도하면서 동시에 기존의 운동프로그램의 단점(예: 단조로운 저중강도 운동의 장시간 적용으로 인한 운동지속성의 감소)을 보완하는 운동요법으로 비교적 단시간에 높은 운동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고강도인터벌트레이닝(High Intensity Circuit Training, HICT)을 LBP 환자 특이적으로 변형하여 피험자들에게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 사전 사후 검사에서 측정된 변인의 변화된 정도를 계산하여 변인간의 교차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즉, 운동에 의한 체중감량의 효과가 KA(흉추후만도)와 LA(요추전만도)에 미치는 영향을 먼저 관찰하였으며, 이러한 변화가 통증지수(VAS)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측정변인의 사전 및 사후 검사결과의 차이(변화)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 이 연구는 LBP를 가지고 있는 복부비만 중년남성을 대상으로 HICT를 12주간 적용했을 때 신체조성 그리고 SC와 VAS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BW, %Fat, BMI, WHR 등에 긍정적인 변화가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신체조성의 변화는 LA가 개선되어 VAS 역시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 이 연구는 만성적인 요부통증을 가지고 있는 복부비만 중년남성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서키트트레이닝에 의한 체중감량이 척추만곡도 및 통증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그러므로 서키트트레이닝에 의하여 복부비만도가 해소되면 척추만곡도 교정에 의한 통증의 개선이 가능한지에 대한 처치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사무직 복부비만 중년남성을 대상으로 12주간의 고강도서키트트레이닝에 의한 신체조성의 변화가 척추만곡도 및 통증척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고강도서키트트레이닝 프로그램은 복부비만 중년남성 사무직 근로자의 체중, 체지방, 체질량지수 및 허리둘레대비엉덩이 둘레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신체조성의 변화는 흉추후만 및 요추전만의 정도를 완화시킨 결과 요부 통증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보여 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부통증이란? 요부통증(Low Back Pain, LBP)은 일반적으로 하지 통증의 유무와 관계없이 늑골 아래에서 둔부의 윗부분에 국한하여 허리 부위에서 발생하는 불특정한 통증을 의미한다[1]. 이러한 병리학적 현상이 6주 이내 그리고 3개월 이상 지속되면, 각각 급성요부통증(Acute Low Back Pain, ALBP) 및 만성요부통증(Chronic Low Back Pain, CLBP)으로 정의한다[1].
본 연구에 적용된 HICT는 어떤 과정,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나요? 운동 시작 전과 후에는 각각 준비운동 5분과 정리운동 5분으로 이루어졌다. 서키트 1회 운동시간은 약 10분으로 구성하였으며, 총 운동시간은 2회의 서키트로 약 20분 내외로 지속되었다. 그리고 1회의 서키트가 종료된 후 약 1분간의 휴식이 적용되었다. 트레이닝 종목은 피험자의 체중을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Squat,Lunge, Push-up, Jumping Jack, Burpee Test, Crunch,Reverse Crunch, Side Raise, Wide Raise, Mountain Climbing, Superman, Plank 등과 같이 총 12종목으로 구성되었다[30](Table 1). 특별한 사유가 발생하지 않는 이상 피험자는 모든 종목을 순서대로 실시하였으며,RPE 15~17을 유지하면서 최소한의 휴식과 더불어 높은 운동강도로 연속된 동작의 유지를 위하여 트레이너의 구두 독려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았다.
LBP의 원인은? 이러한 병리학적 현상이 6주 이내 그리고 3개월 이상 지속되면, 각각 급성요부통증(Acute Low Back Pain, ALBP) 및 만성요부통증(Chronic Low Back Pain, CLBP)으로 정의한다[1]. LBP의 원인으로 자세히 알려진 기전은 없지만, 좌업식 업무로 인하여 올바르지 못한 자세를 장기간 유지함으로써 요추의 추간판에 무리한 하중이 전달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 또한 운동부족과 좌업식 생활을 장기간 지속하게 되면서 비만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체중증가와 더불어 요추 신전근의 약화(Deconditioning) 및 위축(Atrophy)이 발생하면서 허리 기능 장애에 이르게 되는 등 합병증이 유발되는 심각한 질병에 속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van Middelkoop, M., et al. "Exercise therapy for chronic nonspecific low-back pain."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Rheumatology 24(2): 193-204, 2010. DOI: https://doi.org/10.1016/j.berh.2010.01.002 

  2. Sumchai, A. P. "Chronic Low Back Pain - The Exercise Prescription." Novel Physiotherapies 5(1), 2014. 

  3. Bauer UE, Briss PA, Goodman RA, Bowman BA.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in the 21st century: Elimination of the leading preventable causes of premature death and disability in the USA. Lancet 384:45-52. 2014. DOI: https://doi.org/10.1016/S0140-6736(14)60648-6 

  4. Airaksinen O, Brox J, Cedraschi C, Hildebrandt J, Klaber-Moffett J, et al. Chapter 4. European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Eur Spine J 15 Suppl 2: S192-300, 2006. DOI: https://doi.org/10.1007/s00586-006-1072-1 

  5. Andersson GB Epidemiological features of chronic low-back pain. Lancet 354: 581-585, 1999. DOI: https://doi.org/10.1016/S0140-6736(99)01312-4 

  6. Farina D, Gazzoni M, Merletti R Assessment of low back muscle fatigue by surface EMG signal analysis: methodological aspects. J Electromyogr Kinesiol 13: 319-332, 2003. DOI: https://doi.org/10.1016/S1050-6411(03)00040-3 

  7. Marshall PW, Murphy BA Evaluation of functional and neuromuscular changes after exercise rehabilitation for low back pain using a Swiss ball: a pilot study. J Manipulative Physiol Ther 29: 550-560, 2006. DOI: https://doi.org/10.1016/j.jmpt.2006.06.025 

  8. Sumchai AP Back Strengthening for Operational Fitness. Proposal submitted with Back to Sports to San Francisco Municipal Transportation Agency (SFMTA) RFP for Back Strength Wellness Program Services, 2009. 

  9. Cox H, Tilbrook H, Aplin J, et al.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yoga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Results of a pilot study, Complement Ther Clin Pract 16:187-193, 2010. DOI: https://doi.org/10.1016/j.ctcp.2010.05.007 

  10. Marshall PW, Kennedy S, Brooks C, Lonsdale C. Pilates exercise or stationary cycling for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Does it matt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ith 6-month follow-up. Spine (Phila Pa 1976) 38:E952-E959, 2013. DOI: https://doi.org/10.1097/BRS.0b013e318297c1e5 

  11. Baena-Beato PA, Arroyo-Morales M, Delgado-Fernandez M, Gatto-Cardia MC, Artero EG. Effects of different frequencies (2-3 days/week) of aquatic therapy program in adul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 non-randomized comparison trial. Pain Med 14: 145-158, 2013. DOI: https://doi.org/10.1111/pme.12002 

  12. Vincent HK, Vincent KR, Seay AN, Conrad BP, Hurley RW, George SZ. Back strength predicts walking improvement in obese, older adul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PMR 6:418-426, 2014. DOI: https://doi.org/10.1016/j.pmrj.2013.11.002 

  13. Becker, M.H., Patient adherence to prescribed therapies. Med. Care 23, 539e555, 1985. 

  14. Burke, J.W., Mcneill, M.D.J., Charles, D.K., et al., Optimising engagement strategies for stroke rehabilitation using serious games. Vis. Comput. 25, 1085e1099, 2009. 

  15. Duncan, P.W., Horner, R.D., Reker, D.M., et al., Adherence to postacute rehabilitation guidelines is associated with functional recovery in stroke. Stroke 33, 167e177, 2002. 

  16. Meichenbaum, D., Turk, D., Facilitating Treatment Adherence: a Practitioner's Guidebook. Plenum Press, New York, 1987. DOI: https://doi.org/10.1007/978-1-4684-5359-1 

  17. Escolar-Reina, P., Medina-Mirapeix, F., Gascon-Canovas, J.J., et al., How do care-provider and home exercise program characteristics affect patient adherence in chronic neck and back pain: a qualitative study. BioMed Central Health Serv. Res. 10, 60, 2010. DOI: https://doi.org/10.1186/1472-6963-10-60 

  18. Manchikanti L, Singh V, Falco FJ, Benyamin RM, Hirsch JA. Epide-miology of low back pain in adults. Neuromodulation 17(Suppl 2):3-10, 2014. DOI: https://doi.org/10.1111/ner.12018 

  19. Heuch I, Heuch I, Hagen K, Zwart JA. A comparison of anthropo- metric measures for assessing the association between body size and risk of chronic low back pain: The HUNT Study. PLoS One 10:e0141268, 2015. DOI: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41268 

  20. Smuck M, Kao MC, Brar N, Martinez-Ith A, Choi J, Tomkins-Lane CC. Does physical activity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low back pain and obesity? Spine J 14:209-216, 2014. DOI: https://doi.org/10.1016/j.spinee.2013.11.010 

  21. Durstire L, Moore GE ACSM's Exercise Management for Persons with Chronic Diseases and Disabilities. (2nd edn), Human Kinetics, New York, United States, 2003. 

  22. Bigaard, J., Frederiksen, K., Tjonneland, A., Thomsen, B. L., Overvad, K., Heitmann, B. L., & Sorensen, ,T.I.A. Waist and hip circumferences and all-cause mortality: Usefulness of the waist-to-hip ratio?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and Related Disorders, 28(6), 741-747, 2004. DOI: https://doi.org/10.1038/sj.ijo.0802635 

  23. Hajar, N., Brar, S., Chowdhury, N., & Ali, S. Waist HIP Ratio (WHR) vs Body Mass Index (BMI) to Assess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GERD. Gastroenterology (New York, N.Y. 1943), 140(5), S-S-249, 2011. 

  24. Canadian Physical Activity, Fitness & LifeStyle Approach (CPAFLA): CSEP-Health & Fitness Program's Health-Related Appraisal and Counselling Strategy, Canadian Society for Exer- cise Physiology and Health Canada, Ottawa, Canada, 3rd edition, 2003. 

  25. Cho, M. Effects of running in place accompanied by abdominal drawing-in on the posture of healthy adul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7(5), 1613-1616, 2015. DOI: https://doi.org/10.1589/jpts.27.1613 

  26. Drerup, B., & Hierholzer, E. Back shape measurement using video rasterstereography and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of spinal shape. Clinical biomechanics (Bristol, Avon), 9(1), 28, 1994. DOI: https://doi.org/10.1016/0268-0033(94)90055-8 

  27. Williams, K., Abildso, C., Steinberg, L., & Doyle, E.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and efficacy of Iyengar yoga therapy on chronic low back pain. Spine (Philadelphia, Pa. 1976), 34(19), 2066-2076, 2009. DOI: https://doi.org/10.1097/BRS.0b013e3181b315cc 

  28. Wagner, D. R., Tatsugawa, K., Parker, D., & Young, T. A. Reliability And Utility of A Visual Analog Scale for The Assessment of Acute Mountain Sickness. High Altitude Medicine & Biology, 8(1), 27-31, 2007. DOI: https://doi.org/10.1089/ham.2006.0814 

  29. G. A. V. Borg, "Psychophysical bases of perceived exertio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 14, no. 5, pp. 377-381, 1982. DOI: https://doi.org/10.1249/00005768-198205000-00012 

  30. T. Baechle and R. Earle, Essentials of Strength Training and Conditioning, National Strength and Conditioning Association, Champaign, Ill, USA, 2000. 

  31. Miller, M. B., et al. "The Effect of a Short-Term High-Intensity Circuit Training Program on Work Capacity, Body Composition, and Blood Profiles in Sedentary Obese Men: A Pilot Study."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14: 10, 2014. DOI: https://doi.org/10.1155/2014/191797 

  32. Wasser, J. G., Vasilopoulos, T., Zdziarski, L. A., & Vincent, H. K. Exercise Benefits for Chronic Low Back Pain in Overweight and Obese Individuals. PM&R, 9(2), 181-192, 2017. DOI: https://doi.org/10.1016/j.pmrj.2016.06.019 

  33. Henchoz, Y., & Kai-Lik So, A. Exercise and nonspecific low back pain: A literature review. Joint Bone Spine, 75(5), 533-539, 2008. DOI: https://doi.org/10.1016/j.jbspin.2008.03.003 

  34. Palazzo, C., Klinger, E., Dorner, V., Kadri, A., Thierry, O., Boumenir, Y., ... Ville, I. Barriers to home-based exercise program adherence with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 expectations regarding new technologies. Annals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59(2), 107-113, 2016. DOI: https://doi.org/10.1016/j.rehab.2016.01.009 

  35. Urquhart DM, Berry P, Wluka AE, et al. Young Investigator Award winner: Increased fat mass is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low back pain intensity and disability. Spine (Phila Pa 1976) 2011; 36:1320-1325, 2011. DOI: https://doi.org/10.1097/BRS.0b013e3181f9fb66 

  36. Roach KE, Budiman-Mak E, Songsiridej N, Lertratanakul Y. Development of a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Arthritis Care Res 4:143-149, 1991. DOI: https://doi.org/10.1002/art.1790040403 

  37. Steele J, Bruce-Low S, Smith D. A reappraisal of the deconditioning hypothesis in low back pain: Review of evidence from a triumvi- rate of research methods on specific lumbar extensor deconditioning. Curr Med Res Opin 30:865-911, 2014. DOI: https://doi.org/10.1185/03007995.2013.875465 

  38. Simmonds MJ, Lee CE, Etnyre BR, Morris GS. The influence of pain distribution on walking velocity and horizontal ground reaction forces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Pain Res Treat 2012: 214980, 2012. DOI: https://doi.org/10.1155/2012/214980 

  39. Brox JI, Storheim K, Holm I, Friis A, Reikeras O. Disability, pain, psychological factors and physical performance in healthy controls, patients with sub-acute and chronic low back pain: A case control study. J Rehabil Med 37:95-99, 2005. DOI: https://doi.org/10.1080/16501970410017738 

  40. Hurley DA, Tully MA, Lonsdale C, et al. Supervised Walking in Comparison with Fitness Training for Chronic Back Pain in Physiotherapy: Results of the SWIFT sing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SRCTN17592092). Pain 156:131-147, 2015. DOI: https://doi.org/10.1016/j.pain.0000000000000013 

  41. Shnayderman I, Katz-Leurer M. An aerobic walking programme versus muscle strengthening programme for chronic low back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7: 207-214, 2013. DOI: https://doi.org/10.1177/0269215512453353 

  42. Kell RT, Asmundson GJ. A comparison of two forms of periodized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s in the management of chronic nonspecific low-back pain. J Strength Cond Res 23:513-523. DOI: https://doi.org/10.1519/JSC.0b013e3181918a6e 

  43. Vincent HK, George SZ, Seay AN, Vincent KR, Hurley RW. Resistance exercise, disability, and pain catastrophizing in obese adults with back pain. Med Sci Sports Exerc 46:1693-1701, 2014. DOI: https://doi.org/10.1249/MSS.0000000000000294 

  44. Herman E, May S Ellie Herman's Pilates Reformer. (2nd edn), Ellie Herman Books, San Francisco, United States, 2007. 

  45. Williams K, Abildso C, Steinberg L,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and efficacy of Iyengar yoga therapy on chronic low back pain. Spine (Phila Pa 1976) 34:2066-2076, 2009. DOI: https://doi.org/10.1097/BRS.0b013e3181b315cc 

  46. Bocalini, D. S., Lima, L. S., de Andrade, S., Madureira, A., Rica, R. L., dos Santos, R. N., Pontes, F. L. Effects of circuit-based exercise programs on the body composition of elderly obese women.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7, 551-556, 2012. DOI: https://doi.org/10.2147/CIA.S33893 

  47. Jackson, J. K., Shepherd, T. R., & Kell, R. T. The Influence of Periodized Resistance Training on Recreationally Active Males with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25(1), 242-251, 2011. DOI: https://doi.org/10.1519/JSC.0b013e3181b2c83d 

  48. Lehnert, M., Stastny, P., Sigmund, M., Xaverova, Z., Hubnerova, B., & Kostrzewa, M.. The effect of combined machine and body weight circuit training for women on muscle strength and body compositio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15(3), 561-568, 2015. 

  49. Jackson, J. K., Shepherd, T. R., & Kell, R. T. The Influence of Periodized Resistance Training on Recreationally Active Males with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25(1), 242-251, 2011. DOI: https://doi.org/10.1519/JSC.0b013e3181b2c83d 

  50. Garcia JMS, Sanchez EDLC, Garcia ADS, Gonzalez YE, Piles ST. Influence of a circuit-training programme on health-related fitness and quality of life in sedentary women above 70 years old. Fit Perf. 2007;6(1):14-19. DOI: https://doi.org/10.3900/fpj.6.1.14.e 

  51. van Tulder, M., Malmivaara, A., Esmail, R., & Koes, B. Exercise Therapy for Low Back Pain. Spine (Philadelphia, Pa. 1976), 25(21), 2784-2796, 2000. DOI: https://doi.org/10.1097/00007632-200011010-00011 

  52. Weiner, S. S., & Nordin, M.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back pain.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Rheumatology, 24(2), 267-27, 2010. DOI: https://doi.org/10.1016/j.berh.2009.12.00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