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심지 토공사 PRD (Percussion Rotary Drill) 공법의 천공작업 소요시간 산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ng Time for PRD (Percussion Rotary Drill) Piling Work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9 no.3, 2018년, pp.3 - 10  

김용규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  최창훈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  한충희 (경희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준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근래에 공사의 대형화, 복잡화 등으로 인해 기계화시공은 보편화되었으며, 건설기계는 성공적인 시공을 위한 주요소이다. 그러나 건설기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고하고 건설기계의 작업능력에 대한 분석은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현재 품셈에서 모든 건설기계에 대한 기준이 정의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해 시공계획 시 작업자에 따라 공사기간을 자의적으로 적용하고 있어 실제 시공 간 공사기간이 부족하여 돌관작업이나 공기지연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RD공법에서 사용되는 항타기의 천공작업 공사기간을 기존 방법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도록 작업일보를 현장 실사를 통해 천공시간 데이터를 수집하여 항타기의 천공 작업 소요시간을 산정하는 식을 정립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천공작업의 정확한 공사기간을 산정한다면 공사기간이 부족하여 발생하던 돌관작업이나 공기지연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mechanized construction has become commonplace due to increases in the scale and complexity of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achinery is a major factor in successful construction. However, even though the proportion of construction machinery is increasing, analysis of the work ca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상기와 같이 단일표본 z검정은 한 모집단의 속성을 알기 위하여 모집단을 대표하도록 추출된 한 표본의 통계치인 평균과 연구자가 이론 또는 경험에서 얻은 특정 수치를 비교하는 방법 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제 작업시간의 평균값과 산식을 활용하여 산출된 예상 천공시간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도출된 산식이 일반적인 다른 현장들에 활용이 가능한지 분석 하였다.
  • 이에 시공사는 견적 시 입찰형태에 따라 작업효율을 자의적으로 판단하여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천공작업의 효율적인 공정관리가 가능하도록 도심지 토공사 PRD공법의 활용 되는 항타기의 천공작업 소요시간 산정 방법을 수립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RD공법 천공작업의 정확한 공사기간 산정이 가능하도록 PRD공법에서 활용되는 항타기의 천공 작업 소요시간 산정 방법을 수립하고자한다.
  • 넷째, 두 모집단을 비교할 경우에는 모집단간의 등분산 가정이 충족 되어야 한다(Kim, 2016). 본 논문에서는 A 현장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출된 산식을 활용하여 산출된 B현장의 천공작업 예상시간과 B 현장의 실제 천공작업 시간을 단일표본 z검정으로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 도출된 산식이 다른 현장에서도 활용이 가능한지 검증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실제 천공작업에 대한 항타기 작업시간 데이터 수집을 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토질별 작업 소요시간을 산정할 수 있는 산식을 도출하였다. 여기서 도출된 산식을 활용하여 다른 현장의 예상 작업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실제 데이터와 시공계 획서상의 예상 공사기간과 비교분석함으로써 산식이 일반적인 건설 현장에 적용 가능한지 확인하였다.
  • 이와 같이 정규성 검정을 하기 위해 현재까지 카이제곱 검정, Kolmogorov-Smirnov 검정, Anderson-Darling 검정, Shapiro-Wilk 검정, 표본 Entropy 검정, KullbackLeibler 검정 등 많은 검정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다(Eom, 2006). 이러한 정규성 검정 방법들은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확인하고 유의수준과 여러 결과값을 바탕으로 표본의 정규분표 여부를 확인하여 연구에 활용 가능한지 판단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장에서 항타기 천공 작업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카이제곱 검정을 활용 하여 정규분포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통계적 분석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 이러한 정규성 검정 방법들은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확인하고 유의수준과 여러 결과값을 바탕으로 표본의 정규분표 여부를 확인하여 연구에 활용 가능한지 판단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장에서 항타기 천공 작업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카이제곱 검정을 활용 하여 정규분포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통계적 분석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가설 설정

  • ”이고 대립가설(H1)은 “실제 작업시간과 산식의 평균은 같지 않다.
  • 단일표본 z검정을 진행하기 위한 귀무가설(H0)은 “실제 작업시간과 산식의 평균은 같다.
  • 03으로 임계치보다 작기 때문에 이 또한 귀무가설 채택조건으로 충족된다. 따라서 토사의 mpm값은 정규분포를 이룬다는 귀무가설을 채택할 수 있다.
  • 이러한 수행에서 자료들을 수집한 후 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수집한 자료들이 정규성을 따르는지의 여부를 검정해야 하는데, 이것이 정규성 검정이 다. 많은 통계적 분석들은 자료들이 좌우대칭인 종 모양의 분포를 갖는 정규성을 따른다는 가정 하에 분석이 시행된다. 그리고 정규성 검정은 자료들이 정규성을 따르는지의 여부와 정규성을 따르더라도 자료들 중에서 이상치가 존재하지는 않은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것이므로 매우 중요하다.
  • 모평균을 검정하는 방법이 단측가설과 양측가설이 있는데, 본 논문에서 양측 검정을 사용 하는 이유는 귀무가설이 “실제 작업시간과 산식의 평균은 같다.
  • Z검정을 위해서는 4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첫째, 변수가 양적변수여야 한다. 둘째, 모집단의 분산을 알거나 표본의 크기가 30 이상이여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준품셈이 일관성 있는 기준으로써 역할을 못하는 이유는? 그러나 현재 표준품셈을 제 계정하는 업무는 일관성이 결여되어 표준품셈의 신뢰성 및 확실성에 대한 의문 및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실사자마다 임의로 서로 다른 품셈조사 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관리의 공백을 내포하고 있어 일관성 있는 기준으로써 표준품셈이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Lee et al., 2011).
정규성 검정을 하는데 있어서 가정하는 것은? 이러한 수행에서 자료들을 수집한 후 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수집한 자료들이 정규성을 따르는지의 여부를 검정해야 하는데, 이것이 정규성 검정이 다. 많은 통계적 분석들은 자료들이 좌우대칭인 종 모양의 분포를 갖는 정규성을 따른다는 가정 하에 분석이 시행된다. 그리고 정규성 검정은 자료들이 정규성을 따르는지의 여부와 정규성을 따르더라도 자료들 중에서 이상치가 존재하지는 않은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것이므로 매우 중요하다.
Z검정이란 무엇인가? Z검정은 설정된 가설을 Z분포에 의하여 검증하는 방법으로,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통계적 방법이다. 단일표본 Z검정은 연구대상인 모집단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모집단을 대표한 표본의 통계치(평균)와 연구자가 얻은 특정한 수치를 서로 비교하는 통계적인 방법으로, 표준정규분포의 Z점수를 이용하여 모수치에 대해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는 방법을 말한다(The ace of Korea,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nn, B. R. (2015). "Improvement on the estimation of workable-quantity per unit time for boring machine."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5(1), pp. 138-139. 

  2. Ann, B. R., Tae, Y. H., and Suh, S. W. (2010). "The estimating method of construction workablequantity per unit time - Focused on Pump-Dredge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1(3), pp. 125-133. 

  3. Ann, B. R. (2012). "The Estimating Method of Construction Workable-quantity per Unit Time for Tub Grinder."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2(1), pp. 169-171. 

  4. Eom, J. H. (2006). "A Comparison on The Empirical Power of Some Normality Tests." MS thesis, Catholic University, p. 1. 

  5. Hwang, W. S. (2007). "A Study of Bearing Capacity of Cast-in-Place Pile in Rocks using Percussion Rotary Drilling"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2025-2028. 

  6. Kang, S. H. (2007). "Estimation of Ground Vibration Responses by PRD(Percussion Rotary Drill)."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3047-3050. 

  7. Kim, H. C., and Jo, J. W. (2016). Understanding Statistics (Basic Concept). pp. 135-141. 

  8. Kwuan, G. T. (2002). "Construction Machinery." 

  9. Lee, D., and Son, C. (2011). "Identifying the Issues relative to Enactment and/or Revision of Construction Standard Production Unit System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7(6), pp. 131-140. 

  10. Lee, W. H. (2014). "Downward Method of H-PILE Alternative Materials of Percusion Rotary Drill."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D27(ID), pp. 199-202. 

  11. Ministry of Land (2016). "Standard product." 

  12. Park, H. S. (2008). "Estima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Production Rates: Focus on Efficiency Rate." Jouran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D28(1D), pp. 67-72. 

  13. The ace of Korea (2004). "Education Evaluation Glossar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