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난시간을 중심으로 본 재실자특성에 대한 재난정보의 작용 과정 분석
Analysis on Disaster Information Effect Process to Occupant Behaviour : Focusing on Relationship to Egress Time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9 no.3, 2018년, pp.11 - 22  

지동훈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이슬비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이현수 () ,  박문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축물 화재상황에서 피난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존의 노력들은 피난시간의 구성요소 중 피난행동시간을 감소시키는 데 집중되었다. 그러나 피난행동시간의 비율이 전체 피난시간의 1/3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외한 인지시간과 초기대응행동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고려는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피난행동시간만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난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인지시간과 초기대응행동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재난정보라는 개념이 주목 받게 되었다. 본 연구는 재난정보가 재실자특성에 작용하는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피난시간의 감소 측면에서 10가지 주요 재난정보와 3가지 재실자특성 요소의 관계를 설명하는 재난정보-재실자특성 연관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노인, 지적장애인, 청각장애인과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가상의 피난실험을 수행, 재난정보가 재실자특성에 작용하는 과정을 부족한 재실자특성을 보완하여 최저수준의 화재안전성을 확보하는 과정과 일정 수준 보유한 재실자특성을 극대화하여 화재안전성을 확보하는 과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직관적인 수준에서 설명되는 기존의 재난정보-재실자특성 간의 관계에 피난시간의 감소라는 관점에서의 설명력을 더하였고, 향후 다양한 재실자 유형이 존재하는 상황에서의 재난정보 관계에 대하여 후속연구가 진행된다면 재난정보와 재실자특성을 고려하는 후속 연구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isting efforts to reduce total egress time actually focused on reducing travel time. However, consideration to reduce perception time or response time was insufficient although the ratio of travel time is one-third of total egress time and situations which the safety cannot be ensured by only red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난시간의 구성 요소는? , 2001). 피난시간은 화재가 발생하고 화재징후 및 비상경보를 통해 이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인지시간, 피난경로의 선정 등 피난을 준비하는 초기대응행동시간, 실제로 피난을 수행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기까지 소요되는 피난행동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Ng et al., 2006; Park, 2012).
피난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존의 노력들은 무엇인가? , 2006; Park, 2012). 피난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존의 노력들은 피난전용 완강기와 같은 피난기구를 이용하여 재실자의 피난 행동시간을 줄이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피난성공률을 향상시키기 어려운 상황에서 대안은? , 2007). 따라서 인지시간 및 초기대응행동시간을 감소시켜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Perez-Lugo, 2004; Sagun et al., 2014) 재난정보(Disaster Information)가 주목을 받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oi, M., Park, M., Lee, H., and Hwang, S. (2013). "Analysis of Building Emergency Evacuation Process with Interactions in Human Behavior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4(6), pp. 49-60. 

  2. Chung, S., Park, H., Choi, Y., and Lee, J. (2008). "A Study on the Coping Behavior of Older People in the Warning Phase of Disas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SHAM, 8(5), pp. 71-76. 

  3. Eldar, R. (1992). "The Needs of Elderly Persons in Natural Disasters : Observations and Recommendations." Disasters, 16(4), pp. 355-358. 

  4. Guha-Sapir, D., and Lechat, M. F. (1986). "Information Systems and Needs Assessment in Natural Disasters: An Approach for Better Disaster Relief Management." Disasters, 10(3), pp. 232-237. 

  5. Gwynne, S., Galea, E. R., Lawrence, P. J., and Filippidis, L. (2001). "Modeling Occupant Interaction with Reconditions using the buildingEXODUS Evacuation Model." Fire Safety Journal, 36(4), pp. 327-357. 

  6. Kim, J., Hwang, E., and Youn, H. (2011). "The Impact Analysis of Including a Weak Person of Disaster Factor for Safety Assessment of Evacuation Simul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and Design, AIK, 27(12), pp. 37-44. 

  7. Kuligowski, E. D. (2003). "The Evacuation of a Performance-based Design Process for a Hotel Building: The Comparison of Two Egress Models." M.S. Thesis, Dept.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Univ. of Maryland, College Park, MD. 

  8. Lamb, S., Walton, D., Mora, K., and Thomas, J. (2012). "Effect of Authoritative Information and Message Characteristics on Evacuation and Shadow Evacuation in a Simulated Flood Event." Natural Hazard Review, 13(4), pp. 272-282. 

  9. Mayhorn, C. B. (2005). "Cognitive Aging and the Processing of Hazard Information and Disaster Warnings." Natural Hazards Review, 6(4), pp. 165- 170. 

  10. Moon, S., and Seong, H. (2011). "u-Disaster Prevention System based Real-Time Fire Monitoring in a Building Facility."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2(1), pp. 107-114. 

  11. Ng, CM. Y., and Chow, W. K. (2006). "A Brief Review on the Time Line Concept in Evacuation." International Journal on Architectural Science, 7(1), pp. 1-13. 

  12. Olsson, P, A., and Regan, M. A. (2001). "A Comparison between Actual and Predicted Evacuation Times." Safety Science, 38(2), pp. 139-145. 

  13. Park, J. (2012). "A Study on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Factors of the Process of Beginning Egress during the Fire at the Buildings: Focus on Overseas Fire Cases including the Japanes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6(2), pp. 59-68. 

  14. Parr, A. R. (1987). "Disasters and Disabled Persons: An Examination of the Safety Needs of a Neglected Minority." Disasters, 11(2), pp. 148-159. 

  15. Perez-Lugo, M. (2004). "Media Uses in Disaster Situations: A New Focus on the Impact Phase." Sociological Inquiry, 74(2), pp. 210-225. 

  16. Pipes, T. S. (2006). "Information Disasters and Disaster Information: Where Information Science Meets Emergency Management." Disciplines, Disasters and Emergency Management, Charles C. Thomas Publisher, Springfield, IL, USA, pp. 293-321. 

  17. Proulx, G. (2002). "Evacuation Planning for Occupants with Disability." Internal Report No.843, Fire Risk Management Program, Institute for Research in Construction, National Research Council Canada. 

  18. Sagun, A., Anumba, C. J., and Bouchlaghem, D. (2014). "Safety Issues in Building Design to Cope with Extreme Events: Case Study of an Evacuation Process." Journal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20(3): 05014004. 

  19. Shen, T. S. (2003). "Building Planning Evacuations for Emergency Evacuation." Ph.D. Dissertation. Worcester Polytechnic Institute, Worcester, MA. 

  20. Sagun, A., Bouchlaghem, D., and Anumba, C. J. (2009). "A Scenario-based Study on Information Flow and Collaboration patterns in Disaster Management." Disasters, 33(2), pp. 214-238. 

  21. Spence, P. R., Lachlan, K., Burke, J. M., and Seeger, M. W. (2007). "Media Use and Information Needs of the Disabled during a Natural Disaster." Journal of Health Care for the Poor and Underserved, 18, pp.394-404. 

  22. Tierney, K. J., Petak, W. J., and Hahn, H. (1988). "Physical Disability and Earthquake Hazard Mitigation." National Science Foundation, Report No. CEE, 8303654. 

  23. Yates, D., and Paquette, S. (2011). "Emergency Knowledge Management and Social Media Technologies: A Case Study of the 2010 Haitian Earthquake."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1(1), pp. 6-13. 

  24. You, H., Kim, E., Lee, J., Kim, S., and Lee, P. (2003). "A Study on Walking Velocity of Old Men in Korean."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15, pp. 407-414. 

  25. Zhang, X., Li, X., and Hadjisophocleous, G. (2014). "A Probabilistic Occupant Response Model for Fire Emergencies." Fire Safety Journal, 68, pp. 41-5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