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PSS를 이용한 대기질과 기상인자와의 미세먼지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fine dust correlation between air quality and meteorological factors using SPSS 원문보기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22 no.5, 2018년, pp.722 - 727  

차진욱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The University of Suwon) ,  김장영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The University of Suw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까지 미세먼지에 대한 연구는 예측, 분석, 측정 등으로 나눠지는데, 주로 대기환경 분야에서 이루어져 왔다. 미세먼지는 대기질 인자와 기상인자 그리고 배출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 발생한다. 각 요소들이 미세먼지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치는지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판단하였고, 이를 실험하였다. 이 상관 분석에는 기상청과 에어코리아를 통해 확보한 대기질 인자와 기상인자 데이터를 이용, IBM사의 SPSS라는 Tool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그 결과 각 대기질 인자와 기상인자들이 미세먼지 수치에 미치는 영향정도와 상관관계를 좀 더 명확하게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미세먼지 수치와 영향요소 및 상관관계의 정확한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및 피어슨 상관계수로 결과를 나타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til now, the study of fine dust has been divided into prediction, analysis and measurement, mainly in the field of atmospheric environment. Fine dust is caused by various causes such as atmospheric quality factor, meteorological factor and emission. It was determined that it was a priority to a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상관관계는 상호적인 관계이기 때문에, 두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려면 상관관계가 필요하다. 그러나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라고 반드시 인과관계가 있지는 않기 때문에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인과적 관계를 파악하는 분석도 함께 실시하여 실험에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그 후 상관분석을 통하여, 각 변수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 정보통신 분야에서 미세먼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현재 기상청에서 쓰는 미세먼지 예측 모델[4]에도, 정보통신 분야에서 많이 쓰이는 알고리즘들이 각각의 요소로 들어가 있는 이 시점에, 본 논문은 그동안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수치와 각각의 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밝혀보려 한다. 이를 위해, 대기, 기상 등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까지 미세먼지에 대한 연구는 주로 어떤 분야에서 이루어졌는가? 현재까지 미세먼지에 대한 연구는 예측, 분석, 측정 등으로 나눠지는데, 주로 대기환경 분야에서 이루어져 왔다. 미세먼지는 대기질 인자와 기상인자 그리고 배출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 발생한다.
미세먼지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이와 더불어 국내에서 생산되는 먼지뿐만 아니라 중국발 미세먼지 및 황사도 미세먼지 수치에 굉장히 많은 영향을 끼친다[1]. 미세먼지는 인체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데, 미세먼지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심장혈관과 호흡기의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한다는 연구가 있다[2]. 뿐만 아니라 암과 전신 질환에도 깊은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된 바가 있어[3], 미세먼지에 대한 경각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SPSS를 이용하여 대기질과 기상인자와의 미세먼지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이 상관 분석에는 기상청과 에어코리아를 통해 확보한 대기질 인자와 기상인자 데이터를 이용, IBM사의 SPSS라는 Tool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그 결과 각 대기질 인자와 기상인자들이 미세먼지 수치에 미치는 영향정도와 상관관계를 좀 더 명확하게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미세먼지 수치와 영향요소 및 상관관계의 정확한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및 피어슨 상관계수로 결과를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D. H. Shin, and Y. M. Noh, "Aerosol Optical Properties and Separation of Asian Dust using AERONET Sun/Sky Radiometer Measurement at the Asian Dust Source Region,"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2, no.3, pp.245-251, June 2016. 

  2. J. S. Oh, S. H. Park, M. K. Kwak, C. H. Pyo, K. H. Park, H. B. Kim, S. Y. Shin, and H. J. Choi, "Ambient Particulate Matter and Emergency Department Visit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28,no. 1, pp. 32-39, Jan. 2017. 

  3. H. J. Bae, "Effect of Short-term Exposure to PM10 and PM2.5 on Mortality in Seoul,"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vol.40, no.5, pp. 346-354, May 2014. 

  4. Y. S. Koo, H. Y. Yun, H. Y. Kwon, and S. H. Yu, "A Develope of PM10 Forecasting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 26, no. 6, pp. 666-682, Nov. 2010. 

  5. Y. H. Seo, "Characterization of high concentration PM2.5 by nitrate and ammonium ions of PM2.5 in Seoul,"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vol. 21, no.1, pp. 1-7, Mar. 2015. 

  6. J. H. Lee, Y. M. Kim, and Y. K. Kim "Spatial panel analysis for PM2.4 concentration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28, no. 3, pp. 473-481 Mar. 2017. 

  7. G. Kader, and C. Franklin "The Evolution of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Journal of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vol. 102, no. 4, pp. 292-299, Nov. 2008. 

  8. N. Arora, M. Martolia, and A. Ashok "A Comparative study of the Image Registration Process on the Multimodal Medical Images", Asia-pacific Journal of Convergent Research Interchange, HSST, vol.3, no.1, pp. 1-17, Mar. 2017. 

  9. J. Cha, and J. Kim, "Development of Data Mining Algorithm for Implementation of Fine Dust Numerical Predict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22, no. 4, pp. 595-601, April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