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용성이 개선된 접착 증진제의 합성 및 이를 함유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특성분석
Synthesis of Adhesion Promoters with Improved Compatibility and Properties of UV-Curable Adhesives Containing Adhesion Promoters 원문보기

접착 및 계면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19 no.4, 2018년, pp.145 - 153  

박정현 (비엔티엠) ,  원종우 (비엔티엠) ,  김주열 (비엔티엠) ,  윤유정 (비엔티엠) ,  권오형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황진상 (비엔티엠)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상용성이 개선된 접착 증진제를 개발하기 위해 malenized polybutadiene과 2-hydroxyethyl acrylate(HEA)의 반응을 통해 다양한 함량의 아크릴레이트 반응기와 carboxylic acid가 도입된 접착 증진제(PBC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접착 증진제는 maleic anhydride의 개환 반응을 통해 도입된 아크릴레이트 반응기와 carboxylic acid의 함량, 그리고 접착 증진제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접착 필름을 제조하고 제조된 접착 필름의 표면 특성, 접착력 등의 기계적 특성과 흡습 특성 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접착 증진제의 분자 내에 도입된 carboxylic acid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접착 필름의 접착력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기존의 상용화된 접착 증진제와 비교하여 기계적 물성 또한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분자 내에 소수성의 폴리부타디엔 주쇄와 친수성의 maleic anhydride 및 carboxylic acid가 동시에 존재함으로 인해 다양한 친수성 및 소수성 재료와의 상용성이 대폭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dhesion promoters with acrylate and carboxylic acid moiety were synthesized from malenized polybutadiene and 2-hydroxyethyl acrylate for producing adhesive film with low water absorption and high adhesion. The surface properties, adhesion strength, mechanical properties and water abs...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alenized polybutadiene에 존재하는 maleic anhydride와 HEA를 반응시켜 carboxylic acid와 acrylate 반응기를 동시에 도입하여 기계적 물성의 저하 없이 피착제 표면과의 젖음성을 확보하였으며, 또한 소수성의 polybutadiene 주쇄와 친수성의 carboxylic acid가 동시에 존재하여 다양한 친수성 및 소수성 재료와의 상용성이 개선된 접착 증진제 (PBCA)를 합성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수성의 올리고머 및 모노머 등의 성분과의 상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친수성 및 소수성 성분이 동시에 주쇄에 존재하고,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반응기를 가진 올리고머형 접착 증진제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접착 증진제는 소수성 특성이 강한 접착 필름에 도입하여 표면특성, 기계적 물성 및 흡습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PBCA를 어떻게 합성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상용성이 개선된 접착 증진제를 개발하기 위해 malenized polybutadiene과 2-hydroxyethyl acrylate(HEA)의 반응을 통해 다양한 함량의 아크릴레이트 반응기와 carboxylic acid가 도입된 접착 증진제(PBC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접착 증진제는 maleic anhydride의 개환 반응을 통해 도입된 아크릴레이트 반응기와 carboxylic acid의 함량, 그리고 접착 증진제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접착 필름을 제조하고 제조된 접착 필름의 표면 특성, 접착력 등의 기계적 특성과 흡습 특성 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OLED 디스플레이의 봉지공정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OLED의 경우, 수분과 산소에 노출되면 픽셀 수축 (Pixel Shrinkage)과 암점(Dark Spot), 전극 산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OLED 디스플레이의 봉지공정(Encapsulation)이 중요한 핵심 기술로 이해되고 있다[1-7]. 봉지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흡습 특성으로 LCD에 비해 10,000배 이상의 낮은 흡습 특성이 요구된다[1].
봉지공정에서 흡습 특성 외에 기술적 난이도를 요구하는 부분은 무엇인가? 봉지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흡습 특성으로 LCD에 비해 10,000배 이상의 낮은 흡습 특성이 요구된다[1]. 더불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유연성 또한 보장이 되어야 하는 등 기술적으로 난이도가 높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I. T. Son and J. H. Lee,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16(3), 122, (2015) 

  2. B. K. Joo, E. H. Song, B. H. Kang and T. Y. Kim, Electronic Technology, 9, 10, (2014) 

  3. Eun-Suk Park, Ji-Won Park, Hyun-Joong Kim,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23(1), (2012) 

  4. 김한성, OLED용 최신 봉지기술에 관한 국내 특허동향, 화학소재정보은행, (2014) 

  5. Y. S. Nam, M. H, Song, Physics and High Technology, July/August, (2017) 

  6. D.E. Mentley, Proceedings of the IEEE, 90(4), 453, (2002) 

  7. J. Chen et al., IEEE Acess 1, 150, (2013) 

  8. J. W. Park and D. C. Shin, Electrical Electronic Material, 25(6), (2012) 

  9. J. W. Won et al.,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18(3), 127, (2017) 

  10. Tuba Cakir Canak and Ersin Serhatli, Progress in Organic Coatings, 76, 388, (2013) 

  11. Park JM, Jeon JH, Lee YH, Lee DJ, Park H, Chun HH and Do Kim H, Polymer Bulletin, 72(8), 1921, (2015) 

  12. Y.H. Lin, K.H. Liao, N.K. Chou, S.S. Wang, S.H. Chu and K.H. Hsieh, European Polymer Journal, 44(9), 2927, (2008) 

  13. Olga Smirnova, Alexey Glazlov, Alexander Yarosh and Alexey Sakharov, Molecules, 21, 904, (2016) 

  14. Nahae Kim, Juyoung Kim, Ho-Sun Lim, and Se-Hyun Kim,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18(1), 33, (2017) 

  15. Nahae Kim, Juyoung Kim, Ho-Sun Lim, and Se-Hyun Kim,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18(2), 82, (2017) 

  16. Y. J. Kwon and U. R. Cho, Polymer (Korea), 35(4), 320, (2011) 

  17. R. You, S. H. Lee, and W. H. Park,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52(6), 431, (2015) 

  18. R. You, S. H. Lee, and W. H. Park,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53(5), 347, (2016) 

  19. S. S. Baek, S. J. Jang, and S. H. Hwang, Elastomers and Composites, 51(3), 181, (2016) 

  20. J. H. Sim, E. S. Seo, W. Y. Lee, and G. N. Kim,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18(4), 159, (2017) 

  21. N. BICAK, B. KARAGOZ, and U. TUNCA, Journal of Polymer Science: Part A, 41, 2549, (2003) 

  22. M. BRUCH et al., Journal of Polymer Science: Part A, 38, 1222, (2000) 

  23. W. F. Lee and C. Y. Chen, Journal of Elastomers and Plastics, 47(2), 103, (2015) 

  24. Ravish Singh Rajput et al., Indian Journal of Chemistry, 48B, 1597,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