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리커 방지를 위한 바이트반전 가시광통신 시스템에서 조명 제어 방법
Dimming Control Method in a Flicker-Free Byte-Inversi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원문보기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센서학회지, v.27 no.3, 2018년, pp.175 - 181  

이성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전자IT미디어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ew dimming control method in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system wherein byteinversion is adopted for flicker-free transmission. In the VLC transmitter, the original and the inverted data were sent sequentially and the remnant time in one period was used for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기저대역을 사용하는 가시광통신 시스템 에서 바이트 반전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LED의 평균 광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플리커를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쉽게 조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조명제어 바이트반전 전송방식을 새로이 개발하여 소개한다. 이 방식에서는 동기펄스의 한 주기 내에서 원신호와 반전신호를 차례로 전송한 후, 나머지 비어있는 시간을 활용하여 평균 광출력을 조정함으로써 플리커 방지와 조명제어를 동시에 수행하는 구조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시광통신의 이점과 한계는? 이러한 가시광통신에서는 동일한 광원을 사용하여 조명과 통신을 겸하는 장점이 있지만, 조명과 통신 기능이 서로 영향을 주지 않고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잘 설계하여야 한다. 기저대역(base-band)의 신호를 사용하여 LED를 직접 변조하는 경우에는 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한 이점이 있는 반면, 데이터의 전송과 정에서 불규칙한 데이터의 변동으로 인하여 LED의 평균 광출력이 변화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조명이 깜박거리는 플리커 현상이 발생하여 조명상태가 지속적으로 불안정해 질 수 있다.
가시광통신이란? 가시광통신은 LED조명이 도달하는 가시거리 구간에서 자유 공간을 통하여 광검출기로 직접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의 한 분야이다. 가시광은 기존의 RF(radio frequency)주파수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빛이 도달하는 범위에서만 신호가 존재 하므로 병원과 같이 전자파장해를 방지해야 하는 장소나 실내를 벗어난 외부에서 도청을 방지하는 무선통신이 필요한 경우에 안정된 무선전송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 매우 유리하다[2,3].
LED의 장점은? LED는 기존의 백열등이나 형광등에 비하여 전력변환 효율이 높고, 기계적 충격에 강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발광단면의 크기가 작아 다양한 구조의 LED 배열을 쉽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LED는 발광을 일으키는 반도체의 PN 접합에 주입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조명의 세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그 변조속도가 기존의 형광등이나 백열등에 비하여 현저히 빨라 LED의 출력광을 조명과 통신에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분야인 가시광통신 (visible light communication;VLC) 이 발전하고 있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T. Komine and M. Nakagawa, "Fundamental analysis for visible-light communication system using LED lights", IEEE Trans. Consum. Electron., Vol. 50(1), pp. 100-107, 2004. 

  2. Y. K. Cheong, X. W. Ng, and W. Y. Chung, "Hazardless biomedical sensing data transmission using VLC", IEEE Sens. J., Vol. 13(9), pp. 3347-3348, 2013. 

  3. Z. Ong and W. Y. Chung, "Long range VLC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using CMOS of mobile device camera", IEEE Sens. J., Vol. 16(6), pp. 1508-1509, 2016. 

  4. S. H. Lee, "A passive transponder for visible light identification using a solar cell", IEEE Sens. J., Vol. 15(10), pp. 5398-5403, 2015. 

  5. S. Rajagopal, R. D. Roberts, and S. K. Lim, "IEEE 802.15.7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ation schemes and dimming support", IEEE Comm. Mag., Vol. 50(3), pp. 72-82, 2012. 

  6. X. Ma, K. J. Lee, and K. S. Lee, "Appropriate modulation scheme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considering illumination", Electron. Lett., Vol. 48(18), pp. 1137-1139, 2012. 

  7. C. Yao, Z. Guo, G. Long, and H. Zhang, "Performance Comparison among ASK, FSK and DPSK i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Opt. Photon. J., Vol. 6(8B), pp.150-154, 2016. 

  8. S. H. Lee, "Flicker-fre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using byte-inverted transmission", J. Sensor Sci. Technol., Vol. 26(6), pp. 408-413,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