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노인의 일일 수분섭취 상태에 따른 주요 만성질환 유병률 및 탈수 예측 생리적 지표 탐색 연구: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Exploratory Study of the Prevalence of Major Chronic Disease According to Daily Water Intake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related to Dehydration in Korean Elderly: Based o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5)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20 no.2, 2018년, pp.67 - 75  

홍현정 (영진전문대학 간호학과) ,  김나현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evalence of major chronic diseases related to daily oral water intake and to identify the physiological parameters related to dehydration in Korean elderly.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ixth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대상자 중 65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수분섭취량에 따른 주요 만성질환의 유병률 및 탈수 관련 생리적 지표의 확인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분석 결과 연령 증가에 따른 수분섭취량의 급격한 감소가 확인되었으며 여성 노인과 체질량지수가 적은 노인의 경우 경구 수분섭취 상태가 매우 열악한 경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경구 수분섭취 적절성에 따른 여러 가지 만성질환과의 연관성은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다양한 생리적 지표 중에서도 경구 수분섭취량에 따라 노인 대상자의 BUN, 요비중과 같은 신기능 지표의 변화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경구 수분섭취량이 부족한 노인 대상자들 중 구체적인 취약집단의 특성을 확인하고, 경구 수분섭취를 통한 수화상태를 조기에 확인할 수 있는 탈수 예측의 생리적 지표를 선별하여 경구 수분섭취를 격려하는 간호중재의 필요성과 유용성의 근거자료로 삼을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신기능 지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탈수 위험군 노인의 경구 수분섭취량을 증가시키는 간호중재 연구를 제언한다.
  • 본 연구는 일일 경구 수분섭취량 수준에 따른 우리나라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 관련 특성, 주요 만성질환 유병률과 탈수 예측 생리적 지표를 탐색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노인들의 수분섭취량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일일 수분섭취량이 적절한 노인과 부적절한 노인 집단의 분류 비교를 통해 노인의 일일 수분섭취 상태에 따른 일반적 특성과 건강 관련 특성의 차이와 주요 만성질환 유병률과의 관련성을 확인하며 수분섭취 상태에 따른 지표의 변화량을 통해 탈수를 예측하는 생리적 지표를 확인하기 위한 단면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노인의 일일 수분섭취 상태에 따른 주요만성질환의 유병률을 분석하고 수분섭취 적절 집단과 부적절 집단에서의 탈수 관련 생리적 지표의 결과를 비교하여 부적절한 수분섭취 상태를 예측하는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노인의 탈수 예방을 위한 수분섭취 중재 간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검진조사 항목들 중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 대상자의 탈수 상태 평가를 위해 사용되었던 지표들만을 선별하여 대상변수로 사용하였다. 이들 생리적 지표의 분석 결과를 통해 노인의 경구 수분섭취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만성질환을 확인하고 수분섭취 관련 간호중재 전략에 있어 주요하게 평가되어야 할 생리적 지표를 선별 제시하여 노인 대상의 수분섭취 중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노인들의 수분섭취 실태를 파악하고 수분섭취의 적절성에 따른 주요 만성질환과의 관련성을 분석하며 수분섭취 상태에 따라 민감한 변화를 보이는 생리적 지표들을 확인하여 탈수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들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일일 수분섭취 상태와 만성질환 유병률, 각종 생리적 지표의 자료를 제시하고 있으며 여러 가중치를 적용하여 표본의 대표성을 높이고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검진조사 항목들 중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 대상자의 탈수 상태 평가를 위해 사용되었던 지표들만을 선별하여 대상변수로 사용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노인들의 수분섭취 실태를 파악하고 수분섭취의 적절성에 따른 주요 만성질환과의 관련성을 분석하며 수분섭취 상태에 따라 민감한 변화를 보이는 생리적 지표들을 확인하여 탈수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들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일일 수분섭취 상태와 만성질환 유병률, 각종 생리적 지표의 자료를 제시하고 있으며 여러 가중치를 적용하여 표본의 대표성을 높이고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노인들의 수분섭취량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이유는 무엇인가? 연구 결과, 대상자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노인들의 수분섭취량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일반 성인에 비해 노인이 생리적으로 신장의 소변 농축 능력과 항이뇨호르몬 분비능력이 감소되어 있으며 체내 수분 감소에 대한 갈증 중추의 활성화 정도와 수분섭취 반응 수준이 떨어져 있기 때문이며 그 결과 탈수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23]. 또한 노인들은 배설능력 감소로 인해 이뇨제와 하제(laxatives) 같은 체내 수분을 감소시키는 약물을 복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인지능력 및 신체 활동의 감소에 따른 직접적인 수분섭취가 감소하는 경향이 존재하는 것도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24]. 실제 식사를 통한 수분섭취량을 제외한 일일 경구 수분섭취량을 분석한 본 연구 결과에서도 부적절 수분섭취군의 일일 경구 수분섭취량은 적절수분섭취군의 섭취량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수분은 무엇인가? 수분은 세포 내외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체온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등, 인간 생명 유지를 위한 필수 불가결한 물질이며 노인에 있어 체중의 약 55%를 차지하는 신체의 주요 구성 성분이다[1]. 이러한 수분이 체내에서 부족해지는 총 체액량의 결핍 현상이 탈수이며 일반적으로 노인에게 흔하게 나타난다[2].
탈수가 노인에게 미치는 영향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러한 수분이 체내에서 부족해지는 총 체액량의 결핍 현상이 탈수이며 일반적으로 노인에게 흔하게 나타난다[2]. 탈수는 노인에게 있어 요로 결석과 변비, 기립성 저혈압, 인지기능 감소, 낙상과 같은 다양한 증상을 야기하며 호흡기와 관상동맥 질환, 뇌졸중과 같은 질환과의 관련성이 보고되고 있고 나아가 사망률 증가 및 낮은 삶의 질과의 관계도 알려지고 있다[2,3]. 또한 노인의 중환자실 이용률과 장단기 요양시설 사용률, 재입원 비율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노년기에 지출되는 의료비용을 상승시키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opkin BM, D'Anci KE, Rosenberg IH. Water, hydration, and health. Nutrition Reviews. 2010;68(8):439-458. https://doi.org/10.1111/j.1753-4887.2010.00304.x 

  2. Thomas DR, Cote TR, Lawhorne L, Levenson SA, Rubenstein LZ, Smith DA, et al. Understanding clinical dehydration and its treatment.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08;9(5):292-301. https://doi.org/10.1016/j.jamda.2008.03.006 

  3. Masento NA, Golightly M, Field DT, Butler LT, van Reekum CM. Effects of hydration status on cognitive performance and mood.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2014;111(10):1841-1852. https://doi.org/10.1017/S0007114513004455 

  4. Frangeskou M, Lopez-Valcarcel B, Serra-Majem L. Dehydration in the elderly: A review focused on economic burden.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2015;19(6): 619-627. https://doi.org/10.1007/s12603-015-0491-2 

  5. Jang S, Cheon C, Jang BH, Park S, Oh SM, Shin YC, et al. Relationship between water intake and metabolic/heart diseases: Based on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song Public Health and Research Perspectives. 2016;7(5): 289-295. https://doi.org/10.1016/j.phrp.2016.08.007 

  6. Wu LW, Chen WL, Liaw FY, Sun YS, Yang HF, Wang CC, et al. Association between fluid intake and kidney function, and survival outcomes analysis: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BMJ Open. 2016;6(5):e010708. https://dx.doi.org/10.1136/bmjopen-2015-010708 

  7. Oh H, Lee EH, Hur MH, Kim EK. The effect of fluid intake enhancing program for institutionalized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7;27(2):357-370. 

  8. Kim M, Jung D.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s for dehydration prevention of the elderly living in a care facilit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4;34(4):917-934. 

  9. Lim JS, Jo HS. Effects of fluid therapy education program for aged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5;17(3):277-285. https://dx.doi.org/10.7586/jkbns.2015.17.3.277 

  10. Leurs LJ, Schouten LJ, Goldbohm RA, van den Brandt PA. Total fluid and specific beverage intake and mortality due to IHD and stroke in the Netherlands Cohort Study.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2010;104(8):1212-1221. https://dx.doi.org/10.1017/S0007114510001923 

  11. Vecchis R, Baldi C, Cioppa C, Giasi A, Fusco A. Effects of limiting fluid intake on clinical and laboratory outcomes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Herz. 2016;41(1):63-75. https://dx.doi.org/10.1007/s00059-015-4345-9 

  12. Sontrop JM, Dixon SN, Garg AX, Buendia-Jimenez I, Dohein O, Huang, SH, et al. Association between water intake, chronic kidney disease,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NHANES data. American Journal of Nephrology. 2013;37(5):434-442. https://doi.org/10.1159/000350377 

  13. Thomas DR, Tariq SH, Makhdomm S, Haddad R, Moinuddin A. Physician misdiagnosis of dehydration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04;5(2):251-254. https://doi.org/10.1016/S1525-8610(04)70088-2 

  14. Stookey JD, Pieper CF, Cohen HJ. Is the prevalence of dehydration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really low? Informing current debate over the fluid recommendation for adults aged 70+ years. Public Health Nutrition. 2005;8(8):1275-1285. https://dx.doi.org/10.1079/PHN2005829 

  15. Kim S, Kim CG, Hwang J, Jung D, Shin DS. Dehydration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older adults admitted in a long-term care hospital.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17;43(1):1-11. 

  16. Kim SH, Lee M, Kang JH, Jeong SH. The effects of a fluid intake intervention for elder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2;14(2):139-146. https://doi.org/10.7586/jkbns.2012.14.2.139 

  17. Bossingham MJ, Carnell NS, Campbell WW. Water balance, hydration status, and fat-free mass hydration in younger and older adults.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5;81(6):1342-1350. https://doi.org/10.1093/ajcn/81.6.1342 

  18. Marra MV, Simmons SF, Shotwell MS, Hudson A, Hollingsworth EK, Long E, et al. Elevated serum osmolality and total water deficit indicate impaired hydration status in resident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regardless of low or high body mass index. Journal of the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2016;116(5):828-836. https://doi.org/10.1016/j.jand.2015.12.011 

  19. El-Sharkawy AM, Watson P, Neal KR, Ljungqvist O, Maughan RJ, Sahota O, et al. Hydration and outcome in older patients admitted to hospital (The HOOP prospective cohort study). Age and Ageing. 2015;44(6):943-947. https://doi.org/10.1093/ageing/afv119 

  20. Vivanti A, Harvey K, Ash S, Battistutta D. Clinical assessment of dehydration in older people admitted to hospital: What are the strongest indicator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08;47(3):340-355. https://doi.org/10.1016/j.archger.2007.08.016 

  21. Jung HJ et al. Dietary references intakes for Koreans 2015. Final repor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6 Nov. Report No.:11-1352000-001537-14. 

  22. Fortes MB, Owen JA, Raymond-Barker P, Bishop C, Elghenzai S, Oliver SJ, et al. Is this elderly patient dehydrated? Diagnostic accuracy of hydration assessment using physical signs, urine, and saliva marker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15;16(3):221-228. https://doi.org/10.1016/j.jamda.2014.09.012 

  23. Hooper L, Bunn D, Jimoh F O, Fairweather-Tait SJ. Water-loss dehydration and aging. Mechanisms of Ageing and Development. 2014;136-137:50-58. https://doi.org/10.1016/j.mad.2013.11.009 

  24. Jequier E, Constant F. Water as an essential nutrient: The physiological basis of hydration.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10;64(2):115-123. https://doi.org/10.1038/ejcn.2009.111 

  25. Jurgens CY, Goodlin S, Dolansky M, Ahmed A, Fonarow GC, Boxer R, et al. Heart failure management in skilled nursing facilities: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and the Heart Failure Society of America. Journal of Cardiac Failure. 2015;21(4):263-299. https://doi.org/10.1016/j.cardfail.2015.02.007 

  26. Ashraf MM, Rea R. Effect of dehydration on blood tests. Practical Diabetes. 2017;34(5):169-171. 

  27. Holsworth RE Jr, Cho YI, Weidman J. Effect of hydration on whole blood viscosity in firefighters. Alternative Therapies in Health and Medicine. 2013;19(4):44-49. 

  28. Lin CJ, Yang JT, Huang YC, Tsai YH, Lee MH, Lee M, et al. Favorable outcome of blood urea nitrogen/creatinine-based hydration therapy 3 months after acute ischemic stroke. The 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2016;34(12):2414-2418. https://doi.org/10.1016/j.ajem.2016.09.033 

  29. Lin LC, Lee JD, Hung YC, Chang CH, Yang JT. Bun/creatinine ratio-based hydration for preventing stroke-in-evolution after acute ischemic stroke. The 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2014;32(7):709-712. https://doi.org/10.1016/j.ajem.2014.03.045 

  30. Lin WC, Shih HM, Lin LC. Preliminary Prospective study to assess the effect of early blood urea nitrogen/creatinine ratio-based hydration therapy on poststroke infection rate and length of stay in acute ischemic stroke.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2015;24(12):2720-2727. https://doi.org/10.1016/j.jstrokecerebrovasdis.2015.08.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