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배터리 시스템 안전을 위한 이온화 연료의 연소 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Ionized Fuels for Battery System Safety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3 no.1, 2018년, pp.22 - 27  

고혁주 (부경대학교 안전공학과) ,  이의주 (부경대학교 안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electronic devices are powered by various rechargeable batteries such as lithium-ion recently, and occasionally the batteries undergo thermal runaway and cause fire, explosion, and other hazards. If a battery fire should occur in an electronic device of vehicle and aircraft cabin, it is impor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연구방법인 연료의 이온화를 통해 배터리시스템의 화재 및 폭발의 현상을 이해하고 연소안정성(stability)을 향상시켜 직접적인 안전을 도모하고, 질산화합물이나 매연 등과 같은 대기오염물질의 생성정도를 밝혀 환경안전기술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료는 프로판을 이용하였으며 노즐 형태의 방전식 이온화장치를 사용하여 제트화염을 만들어 다양한 연소특성을 고려하였다.
  • 매우 중요한 환경오염 물질이면서 일산화탄소와 같이 다른 하나의 불완전연소의 지표로서 사용되는 연소 생성물은 매연(soot)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ig. 6에서 조사된 CO의 특성을 검토하고 배터리 같은 전기기기의 동작에 치명적인 물질인 매연의 생성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Table 1과 2에 순수 프로판과 이온화된 프로판의 매연생성을 중량법(gravimetric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튬이온 배터리의 충전과 방전 과정은 무엇인가? 전지에서 충전과 방전은 Fig. 1과 같이 전자와 리튬이온이 양극과 음극 사이를 왕복하면서 이루어지는데, 리튬이온이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는 것이 충전이고 방전은 리튬이온이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는 것이다1). 이와 같은 배터리의 화재나 폭발 등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물질과 다른 특성이 존재하고, 가장 큰 특징은 물질이 전해질에서 이온화 되어있다는 특성이다.
리튬이온 배터리란 무엇인가? 일반화재와 달리 배터리 화재는 급격한 반응의 폭발 등으로 쉽게 천이할 수 있는 큰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원인은 배터리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 및 구조에 기인한다. 배터리 중에서도 리튬이온 배터리는 높은 전압을 형성하는 리튬염 전해액을 사용하는 이차 전지로서 일반적으로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액과 용기로 구성된다. 양극물질은 코발트, 니켈, 망간, 티타늄 등 산화물에 리튬이온이 도핑된 물질로서 금속 산화물이다.
배터리의 분류는 무엇인가? 다양한 전기⋅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물질의 산화 환원 반응으로 화학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바뀌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1차 전지와 2차 전지로 분류된다. 1차 전지는 한번만 사용하는 전지로 수은전지, 망간전지, 알칼라인전지, 리튬전지가 있고 2차 전지는 재충전해 여러 번 사용하는 전지로 니켈 카드뮴, 니켈수소, 납축전지, 리튬이온, 리튬 폴리머 등이 있다.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는 고용량을 요구하는 휴대폰, 태블릿, 디지털 카메라 등 소형 스카트기기의 발달과 함께 사용량이 크게 증가했고 향후 그 수요는 적용분야의 다양성 때문에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D. Lisbona and T. Snee, "A Review of Hazards Associated with Primary Lithium and Lithium-ion Batteries", Process Safe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Vol. 89, Issue 6, pp. 434-442, 2011. 

  2. Q. Wang, P. Ping, X. Zhao, G. Chu, J. Sun and C. Chen, "Thermal Runaway Caused Fire and Explosion of Lithium Ion Battery", Journal of Power Sources, Vol.208, pp. 210-224, 2012. 

  3. N. S. Spinner, C. R. Field, M. H. Hammond, B. A. Williams, K. M. Myers, A. L. Lubrano and S. G. Tuttle, "Physical and Chemical Analysis of Lithium-ion Battery Cell-to-cell Failure Events Inside Custom Fire Chamber",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279, pp. 713-721, 2015. 

  4. M. M. Thackeray, C. Wolverton and E. D. Isaacs, "Electrical Energy Storage for Transportation-Approaching the Limits of and Going Beyond, Lithium-ion Batteries",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Vol. 5, Issue 7, pp. 7854-7863, 2012. 

  5. M. E. Karp, "Flammability Limits of Lithium-ion Battery Thermal Runaway Vent Gas in Air and the Inerting Effects of Halon 1301", Doctoral Dissertation, Rutgers University-Graduate School-New Brunswick, 2016. 

  6. P. Huang, Q. Wang, K. Li, P. Ping and J. Sun, "The Combustion Behavior of Large Scale Lithium Titanate Battery", Scientific Reports, Vol. 5, 7788, 2015. 

  7. S. M. Starikovskaia, "Plasma Assisted Ignition and Combustion", J. Phy. D : Appl. Phys., Vol. 39, pp. 265-299, 2006. 

  8. Y. H. Jeon and E. J. Lee, "Characteristics of the Microwave Induced Flames on the Stability and Pollutant Emissions", J. Korean Soc. Saf., Vol. 29, No. 4, pp.23-27, 2014. 

  9. L. G. Blevins, R. A. Fletcher, B. A. Benner, E. B. Steel and G. W. Mulholland, "The Existence of Young Soot in the Exhaust of Inverse Diffusion Flames," Proc. Comb. Inst., Vol. 29, pp. 2325-2333, 2002. 

  10. J. H. Ji and E. J. Lee, "The Effect of Carbon Dioxide as Additives on Soot Formation in Jet Diffusion Flames", J. Korean Institute of Fire Sci. & Eng., Vol. 24, No. 6, pp.170-175, 2010. 

  11. J. H. Ji and E. J. Lee, "The Characteristics of Soot at the Post-Flame Region in Jet Diffusion Flames Added Carbon Dioxide", J. Korean Soc. Saf., Vol. 25, No. 6, pp. 9-13,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