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업사이클 데님 패션의 특성 및 디자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Design Development of Upcycled Denim Fashion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22 no.2, 2018년, pp.51 - 60  

이연지 (강릉원주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엄소희 (강릉원주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upcycled denim fashion designs, whichis a more specific category within general upcycled fashion design. Characteristics of upcycled fashion design, which has been identified previously by researchers, include the following traits: environmentality, uniqu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론적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데님의 원료인 목화의 재배, 운반, 제조와 폐기의 과정에서 심각한 자원 낭비로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초래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업사이클 데님 패션디자인의 개발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분석된 업사이클 패션디자인의 특징은 환경성, 독창성, 심미성, 가용성, 전환성, 해체성, 희소성으로 나타났으며 업사이클 패션디자인의 표현원리로는 재활용, 대체, 재조합, 재생산, 경감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환경에 대한 책임이 대두되고 있는 21세기에 의류 폐기물들 중 특히 제조와 폐기 과정에서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데님의 재활용 필요성을 인식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업사이클 패션디자인의 특징과 원리를 도출하여 업사이클 데님 패션디자인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특성을 도출하였다. 분석된 표현방식에 의한 수공예적 디자인 요소와 원리를 반영하여 고부가가치의 업사이클 데님 패션디자인 작품을 개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환경에 대한 책임이 대두되고 있는 21세기에 의류 폐기물들 중 특히 제조와 폐기 과정에서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데님의 재활용 필요성을 인식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업사이클 패션디자인의 특징과 원리를 도출하여 업사이클 데님 패션디자인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특성을 도출하였다. 분석된 표현방식에 의한 수공예적 디자인 요소와 원리를 반영하여 고부가가치의 업사이클 데님 패션디자인 작품을 개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앞서 도출된 업사이클 데님 패션디자인의 특성과 가치를 반영하여 폐기되는 데님을 이용한 작품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업사이클 패션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작품 제작은 재료의 분류 과정, 아이디어 구상, 절개 및 해체의 디자인 과정과 조각의 재구성, 수공예 기법의 적용을 통한 디자인 전개 과정을 거쳐 제작하였다.
  • 업사이클 데님 패션디자인의 특성을 외적 특성과 내적 가치로 나누어 파악하고자 한다. 외적 특성은 국내외 사례 이미지를 통해 분류한 표현방식과 구체적으로 사용된 표현 방법을 분석하고 그를 통해 내적 가치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 연구 목적은 업사이클 데님 패션디자인의 현황과 사례 고찰을 기반으로 디자인 원리를 분석하여 표현 방법에 따른 외적 특성 및 내적 가치를 도출하여 이를 반영한 업사이클 데님 패션디자인 작품을 개발하고자 한다(Figure 1). 이러한 연구는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고 의류 폐기물을 최소화하는 바람직한 패션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업사이클 패션디자인 발상의 범주를 확대 전개시킬 뿐만 아니라, 나아가 업사이클 패션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의의가 있다.
  • 업사이클 데님 패션디자인의 특성을 외적 특성과 내적 가치로 나누어 파악하고자 한다. 외적 특성은 국내외 사례 이미지를 통해 분류한 표현방식과 구체적으로 사용된 표현 방법을 분석하고 그를 통해 내적 가치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업사이클 데님 패션디자인은 다양한 표현 방법을 이용하여 해체와 재구성, 전위와 전환, 소재 및 기법의 믹스 매치, 제로 웨이스트, 레이어링의 표현형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 연구 목적은 업사이클 데님 패션디자인의 현황과 사례 고찰을 기반으로 디자인 원리를 분석하여 표현 방법에 따른 외적 특성 및 내적 가치를 도출하여 이를 반영한 업사이클 데님 패션디자인 작품을 개발하고자 한다(Figure 1). 이러한 연구는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고 의류 폐기물을 최소화하는 바람직한 패션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업사이클 패션디자인 발상의 범주를 확대 전개시킬 뿐만 아니라, 나아가 업사이클 패션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업사이클이란? 업사이클(Upcycle)이란 용어는 ‘Up’과 ‘Cycle’의 합성어로 ‘Up’은 ‘수준이 더 높거나 위에 있음’을, ‘Cycle’은 ‘순환’을 의미한다(Oh, Yoon, & Lee, 2016). 리사이클이 자원을 사용할수록 그 가치를 상실해가는 가치 하향 형태의 재활용을 의미한다면, 업사이클은 자원의 재활용을 통해 제품의 가치 상승은 물론 이전보다 쓸모 있는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가치 상향 형태의 재활용, 또는 디자인의 개념인 것이다(S. Kim.
경제적 가치를 고려한 업사이클 데님 패션디자인 방법은? 재활용을 통한 경제성은 버려진 소재를 재료로 사용하거나, 폐기 시에 분해되어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는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윤리성 구현을 위해 해체와 재구성에 있어서 폐기물을 최소화하며 단추, 지퍼 등 디테일의 탈부착과 변형으로서 실루엣 또는 옷의 길이나 폭이 조절되는 스타일을 연출하는 트랜스포머블 디자인으로경제성을 더욱 극대화하고 있다. 효용가치가 떨어져서 버려지더라도 다시 사용될 수 있는 폐쇄·반복·순환의 시스템으로설계하는 등 제품의 기획 과정에서 자원을 보존하고 아껴쓸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하고 있는 것이다.
업사이클 패션디자인 제품의 장점은? 평면적인 콜라주에 비해 아상블라주는 3차원적이며, c는 데님 소재에 다양한 표현기법을 사용하여 단추 여밈, 포켓 등을 입체적으로 표현하면서 화려하고 장식적인 콜라주와 아상블라주를 잘 이용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이어붙이기는 조각과 조각을 이어붙이는 기법으로, 업사이클 패션디자인 제품은 작은 자투리 조각이나 기존의 형태를 분해하여 재조립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작은 조각들을 이어붙이기 하여 면적을 넓힘으로써 피복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는 서로 다른 색상 및 소재의 오버롤을 비대칭적으로 이어붙여 독창적인 미를 보여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lena Akhmadullina 2016 S/S. (2016). Retrieved Februar y 15, 2016, from http://www.alenaakhmadullina.com/collections/resort-2016 

  2. The Blonds 2012 F/W. (2012). Retrieved June 20, 2015, from http://www.livingly.com/runway/New+York+Fas hion+Week+Fall+2012/The+Blonds/Details/ESaRVTKQVOP 

  3. Cassidy, T. D., & Han, S. L. (2013). Upcycling fashion for mass production. In Gardetti, M. A., & Torres, A. L. (Eds), Sustainability in Fashion and Textiles. UK: Greenleaf Publishing. 148-163. 

  4. Greg Lauren 2016 S/S(1). (2016). Retrieved February 15, 2016, from https://https://www.greglauren.com/pages/mens-spring-summer-2016 

  5. Greg Lauren 2016 S/S(2). (2016). Retrieved February 15, 2016, from https://www.greglauren.com/pages/mens-spring-summer-2016 

  6. Jean Paul Gaultier. 2010 S/S. (2010). Retrieved June 20, 2015, from http://runway.vogue.co.kr/2009/10/16/read y-to-wear-2010-ss-jean-paul-gaultier/#0:3 

  7. Joy, A., Sherry, J. F. Jr., Venkatesh, A., Wang, J., & Chan, R. (2012). Fast fashion, sustainability, and the ethical appeal of luxury brands. Fashion Theory, 16(3), 273-296. doi:10.2752/175174112X334079707123 

  8. Kim, K. (2012). A study on the textile product using recycled denim.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3(1), 27-33. 

  9. Kim, S. (2012). Up cycling in Martin Margiela's artisanal collection,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3(1), 85-94. 

  10. Kiok 2015 S/S. (2015). http://runway.vogue.co.kr/2014/10/23/seoul-collection-2015-ss-kiok/#0:0 

  11. Kwan, J. (2012).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ustainability, the characteristics of upcycle fashion desig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4(1), 13-23. doi: 10.5805/KSCI.2012.14.1.013 

  12. Lee, J. (2015).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Upcycled Fashion Lab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3. Lee, L., & Yim, E. (2015). Characteristics of upcycle designs in product and fashion desig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9(4), 1-20. doi:10.12940/fb.2015.19.4.1 

  14. Oh, Y., Yoon, J., & Lee, Y. (2016). Expression method and technique of upcycling design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6(7), 109-123. doi:10.7233/ksc.2016.66.7.109 

  15. Park, J. (2014). Upcycling redesign development in appar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16. Re;code. (2013). Retrieved June 20, 2015, from https:// www.kolonmall.com/RECODE/Intro 

  17. Reiley, K., & DeLong, M. (2011). A consumer vision for sustainable fashion practice, Fashion Practice, 3(1), 63-84. doi:10.2752/175693811X12925927157054 

  18. Syn, H. (2011). A study on redesign for upcycling in fashion industry,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2(3), 259-2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