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령이 다른 잣나무림에서의 토양 호흡 분석
Analysis of Soil CO2 efflux across three age classes of plantation Pinus koraiensis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0 no.2, 2018년, pp.116 - 123  

남기정 (경상대학교 생물교육과.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림생태계에서 대기로의 토양의 이동은 토양 호흡이라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임령이 다른 잣나무림을 대상으로 생육기 동안의 토양 호흡값과 토양 내 뿌리의 양, 미생물 개체군 생물량을 측정하여, 토양호흡량이 임령에 따라 어떻게 다르며, 뿌리와 미생물 개체군이 얼마나 기여할 것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토양 온도와 토양 호흡은 임령과는 상관없이 유사한 패턴을 보여 7월까지는 증가하고 이후 감소하였다. 산림의 임령이 높을수록 토양 호흡량이 대체적으로 높았다. 토양 내 뿌리와 미생물을 조사한 결과, 임령이 높을수록 토양 내 존재하는 지름 2 mm 이하인 세근의 양이 많았으며 토양 미생물 개체군의 생물량이 많았다. 토양에서 뿌리를 제거하였을 때 70년 숲은 변화가 없었으나, 40년 숲에서는 토양 호흡값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산림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토양 호흡량이 커지며, 식물 뿌리와 특히 토양 미생물이 토양 호흡값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stand age on soil $CO_2$ efflux in plantation Pinus koraiensis, and to elucidate what extent plant (fine) root and soil microbial biomass contribute to the whole soil $CO_2$ efflux. In three age classes (20-yr-old. 40-yr-ol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직경 2 mm이하의 뿌리를 세근으로 정의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직경 5 mm이하의 뿌리를 넓은 의미의 세근으로 정의하고 다시 직경 0~2 mm 인 것을 Small Fine Root (SFR), 직경 2~5 mm인 것을 Large Fine Root (LFR), SFR과 LFR을 합한 직경 0~5 mm인 것을 Total Fine Root (TFR)으로 세분하여 정의하는 Vanninen and Makela (1999)의 구분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럼으로써 토양 호흡에 대한 토양 내 전체 뿌리의 역할을 세근의 양만으로 추론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오류를 줄여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임령 20년, 40년, 70년된 잣나무림을 대상으로 토양 호흡값을 측정하고, 각 연령별로 뿌리(세근)의 생물량과 미생물의 생물량을 구하여, 잣나무림의 연령에 따른 토양 호흡값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임령별로 뿌리와 미생물이 토양 호흡에 관여하는 정도를 연관지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임령 20년, 40년, 70년된 잣나무림을 대상으로 토양 호흡값을 측정하고, 각 연령별로 뿌리(세근)의 생물량과 미생물의 생물량을 구하여, 잣나무림의 연령에 따른 토양 호흡값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임령별로 뿌리와 미생물이 토양 호흡에 관여하는 정도를 연관지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호흡이란? 토양으로부터 대기로의 탄소의 이동은 이산화탄소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을 토양호흡이라 한다 (Eugene 2003). 육상생태계에서 대기와 육상생태계 간의 이산화탄소 교환(net ecosystem exchange, NEE)은 광합성에 의한 탄소의 고정량과 호흡에 의한 탄소의 배출량 간의 미묘한 균형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 미묘한 균형의 결과, 매년 발생되는 대기중의 탄소(7~8Gton) 중 일정량(1-3Gton)을 육상생태계가 흡수하고 있고, 이는 육상생태계가 전 지구적 으로 늘고 있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저장고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Valentini 2000).
토양호흡이 세근의 양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다고 보기 어려운 이유는? 임령이 높을수록 토양 표층 10 cm이내에 존재하는 직경 2 mm이하의 세근의 생물량이 많았다. 그러나 생육기간 내에서는 4월을 제외하고는 임령이 다른 세 숲의 세근 생물량에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토양호흡이 세근의 양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토양 호흡이 시간적 공간적 변이가 나타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이유는? 대기에서 광합성을 통해 고정된 탄소는 낙엽이나 뿌리 추출액(exudate), 뿌리 고사체의 형태로 토양 내로 들어오고, 토양 내에서의 생명활동의 결과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의 형태로 토양 밖으로 나가게 되는데, 주로 식물 뿌리에 의한 호흡(autotrophic respiration)과 토양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한 호흡(heterotrophic respiration)에서 이루어진다(Wiseman 2004). 토양 호흡은 이 뿌리와 미생물로부터 나온 흐름(flux)의 혼합된 결과물이기 때문에 이들이 각각 여러 다른 요인들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영향을 받으므로 시간적 공간적 변이가 나타나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다 (Buchmann 2000; Wei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oone, RD, Nadelhoffer, KJ, Canary, JD and Kaye, JP (1998). Roots exert a strong influence in the temperature sensitivity of soil respiration. Nature, 396(6711), pp. 570-572 [DOI: 10.1038/25119] 

  2. Buchmann, N (2000). Biotic and abiotic factors controlling soil respiration rates in Picea abies stands.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32(11), pp. 1625-1635. [DOI: 10.1016/ s0038-0717(00)00077-8] 

  3. Davis, JP, Haines, B, Colman, D and Hendrick, R (2004). Fine root dynamics along an elevational gradient in the southern Appalachian Mountains, US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87(1). Pp. 19-33. [DOI: 10.1016/s0378- 1127(03)00226-3] 

  4. Eugene, SE, Chen, J, Gustafson, JE and Ma, S (2003). Soil respiration at dominant patch types within a managed Northern Wisconsin landscape. Ecosystems, 6(6), pp. 595-607. [DOI:10.1007/pl00021505] 

  5. Gough, CM and Seiler, JR (2004).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soil carbon, root, and stand characteristics on soil CO2 efflux in loblolly pine(Pinus taeda L.) plantations located on the South Carolina Coastal Plain.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91(1), pp. 353-363. [DOI: 10.1016/j.foreco.2004.01.011] 

  6. Hanson, PJ, Edwards, NT, Garten, CT and Andrews, JA (2000). Separating root and soil microbial contribution to soil respiration: A review of methods and observations. Biogeochemistry, 48(1), pp. 115-146. [DOI:10.1023/A: 1006244819642] 

  7. Iversen, CM (2010). Digging deeper: fine-root responses to rising atmospheric CO2 concentration in forested ecosystems. New Phyologist, 186(2), pp. 346-357. [DOI: 10.1111/j.1469-8137.2009.03122.x] 

  8. Jeon, KW and Oh, KH (1994).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Kangwon Province(III)- Studies on the tree-root form and distribution on the campus fores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J. of Forest Science, 10, 8-24. 

  9. Kim, JS, Kong, SJ and Yang, KC (2014). A study on the soil CO2 efflux in Quercus acutissima stand at Mt. Bulam urban nature park. Korean J. of Environmental Ecology, 28(6), pp. 762-768. 

  10. Kolali, P, Purnpanen, J, Rannik, U, Ilvesniemi, H, Hari, P, Vogt, F, Vogt, DJ, Palmiotto, PA, Boon, P, O'Hara, J and Asbjotnsen, H (1996). Review of root dynamics in forest ecosystems grouped by climate. Plant and Soil, 187(2), pp. 159-219. [DOI: 10.1007/bf00017088] 

  11. Kolari, P, Pumpanen, J, Rannik, U, Ilvesniemi, H, Hari, P, Berninger, F (2004). Carbon balance of different aged Scots pine forests in Southern Finland. Global change biology, 10(7), pp. 1106-1119. [DOI: 10.1111/j.1529-8817.2003. 00797.x]. 

  12. Kwak, YS and Kim, JH (1994). Spatial distribution of fine roots in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acutissima stands. The Korean J. of Ecology, 17(2), pp. 113-119. 

  13. Lee, EH, Lim, JH, Lee, JS (2010). A review on soil respiration measurement and its application in Korea. Korean J.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4), pp. 264-276. [DOI: 10.5532/KJA FM .2010.12.4.264] 

  14. Lee, KJ, Won, HY and Moon, HT (2012). Contribution of Root Respiration to Soil Respiration for Quercus acutissima Forest. Korean J. of Environmental Ecology, 26(5), pp. 780-786. 

  15. Lee,YY and Moon, HT (2001). A study on soil respiration for Quercus acutissima Forest. Korean Journal of Ecology, 24(3), pp. 141-147. 

  16. Pyo, JH, Kim, SU, Mun, HT (2003). A study on the carbon budget in Pinus koraiensis plantation.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6, 129-134. 

  17. Santruckova, H and Straskraba, M (1991).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respiration activity and microbial biomass in soils.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23(6), pp. 525-532. [DOI: 10.1016/0038-0717(91)90109-w] 

  18. Son, YH, Lee, G, Hong, JY (1994). Soil carbon dioxide evolution in three deciduous tree plantations. Korean J.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7(4), pp. 290-295. 

  19. Son, YH and Kim, HW (1996). Soil respiration in Pinus rigida and Larnix leptolepis plantation. J. of Korean Forest Society, 85, 496-505. 

  20. Valentini R, Matteucci, G, Dolman, AJ, Schulze, ED, Rebmann, C, Moors, EJ, Granier, A, Gross, P, Jensen, NO, Pilegaard, K, Lindroth, A, Grelle, A, Bernhofer, C, Grunwald, T, Aubinet, M, Ceulemans, R, Kowalski, AS, Vesala, T, Rannik, U, Berbibier, P, Loustau, D, Gudmundsson, J, Thorgeirsson, H, Ibrom, A, Morgenstern, K, Clement, R, Moncrieff, J, Montagnani, L, Minerbi, S and Jarvis, PG (2000). Respiration as the main determinant of carbon balance in European Forest. Nature, 404, pp. 861-865. [DOI: 10.1038/35009084] 

  21. Vanninen, P and Makela, A (1999). Fine root biomass of Scots pine stands differing in age and soil fertility in southern Finland. Tree Physiology, 19(12), PP. 823-830. [DOI: 10.1093/treephys/19.12.823] 

  22. Wang, B, Jiang, Y, Wei, X, Zhao, G, Guo, H and Bai, X (2011). Effects of forest type, stand age, altitude on soil respiration in subtropical forests of China. Scandinavian J. of Forest Research, 2011(26), pp. 40-47. [DOI: 10.1080/02827581. 2010.538082] 

  23. Wei, W, Weile, C, Shaopeng, W (2010). Forest soil respiration and its heterotrophic and autotrophic components: Global patterns and responses to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42(8), pp. 1236-1244. [DOI: 10.1016/j.soilbio.2010.04.013] 

  24. Wiseman, PE and Seilor, JR (2004). Soil CO2 efflux across four age classes of plantation loblolly pine (Pinus taeda L.) on the Virginia Piedmon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92(2), pp. 297-311. [DOI: 10.1016/j.foreco.2004.01.017] 

  25. Yuste, JC, Janssens, IA, Carrara, A, Meiresonne, L and Ceulemans, R (2004). The interactive effects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n soil respiration in a temperate maritime pine forest. Tree Physiology, 23(18), pp. 1263-1270. [DOI: 10.1093/treephys/23.18.12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