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기준으로서의 TOC에 대한 활용성 평가 - 낙동강수계 호소를 대상으로 -
Availability Evaluation of TOC as the Environmental Standard - Survey of Lakes in Nakdong River Basin -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0 no.2, 2018년, pp.173 - 180  

최병우 (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  강미아 (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상수용, 농업용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낙동강수계의 30개소 호소를 대상으로 새로운 환경기준인 TOC(총유기탄소, Total organic carbon)의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적극적인 수자원의 이용은 양호한 수질을 확보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는 사람과 자연에게 질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 양호한 수질 확보를 위해 수질기준은 보다 엄격하게 강화되고 있다. 생활환경 중 호소의 유기물질 오염수준을 개선하는 데에는 적절한 유기물질 지표의 활용성이 중요하다. 대상호소에서는 새로 도입된 TOC와 기존에 사용하던 COD(화학적산소요구량, Chemical oxygen demand)간의 상호성이 양의 관계로 나타났는데 이는 TOC의 COD 대체가능성을 의미한다. 그러나 TOC를 활용한 환경기준의 등급이 COD를 활용한 환경기준의 등급보다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TOC를 유기물질인자로 이용한 수질등급 수준이 완화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지니게 된다. 이것은 호소의 유기물질 지표를 활용하여 질적 수준을 판단하거나 개선하고자 할 때에 기존의 COD에 직접적으로 대체하기에 TOC의 한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호소의 질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수질등급 면에서 TOC의 환경기준 강화가 요구된다. 또 호소의 이용특성에 따라 TOC와 COD간의 상관성에도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한 명확한 과학적 규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호소의 유기물질 지표의 축적에 기존에 사용하던 COD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tilization of TOC(Total organic carbon), a new environmental standard, was evaluated for 30 lakes in the Nakdong River Basin, which is used for drinking and agricultural usage. The active use of water resources begins with securing satisfactory water quality. Since this allows people and nat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수계에 위치한 30개 호소를 대상으로 COD와 TOC의 분포 현황, 상관관계 등을 확인하여 현행 호소 생활경기준이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합하게 수립되었는지 확인하고 향후 호소 안정적인 수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소 수질의 안정적인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저수지, 댐, 늪 등의 호소 환경은 홍수조절, 수생 및 육상생물의 서식지 제공, 유전자원과 생물다양성 유지 등 여러 가지 생태학적 이익과 함께 음용수 및 농업용수 제공, 어로 활동 및 여가활동 공간 제공, 수력 발전 등 인간생활에 필요한 경제학적 이익을 제공한다. 이에 호소 수질의 안정적인 관리는 청정한 생태보전과 쾌적한 인간생활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정수계인 호소는 유수계인 하천과 달리 폐쇄된 하나의 공간이기 때문에 소량의 유기, 무기성 오염물질의 유입에 의해서도 영양상태의 불균형이 초래될 수 있다.
호소의 수질관리를 위해 정수계 환경 특성을 고려한 과학적인 관리방안의 마련이 요구되는 이유는? 이에 호소 수질의 안정적인 관리는 청정한 생태보전과 쾌적한 인간생활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정수계인 호소는 유수계인 하천과 달리 폐쇄된 하나의 공간이기 때문에 소량의 유기, 무기성 오염물질의 유입에 의해서도 영양상태의 불균형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호소는 오염이 시작되면 주된 오염원이 차단되더라도 계속하여 오염도가 증가하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호소의 수질관리를 위해 정수계 환경 특성을 고려한 과학적인 관리방안의 마련이 요구된다(김응석 등, 2012).
저수지, 댐, 늪 등의 호소 환경이 제공하는 것은? 저수지, 댐, 늪 등의 호소 환경은 홍수조절, 수생 및 육상생물의 서식지 제공, 유전자원과 생물다양성 유지 등 여러 가지 생태학적 이익과 함께 음용수 및 농업용수 제공, 어로 활동 및 여가활동 공간 제공, 수력 발전 등 인간생활에 필요한 경제학적 이익을 제공한다. 이에 호소 수질의 안정적인 관리는 청정한 생태보전과 쾌적한 인간생활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al (2013),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OC and the organic matter index of Busan streams, The annual report of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al. 

  2. Choi, B, Kang, M and Sohn, H (2011), Lake's function on control of refractory dissolved organic matter caused by upstream rivers to Andong lake and JinYang lake, J. of wetlands society, 13(2), pp. 343-353). [UCI : http://uci.or.kr/G704-002159.2011.13.2.013] 

  3. Choi, I, Kim, J, Im, J, Park, T, Kim, S, Son, D, Huh, I, Rhew, D and Yu, S (2015), Application of TOC standards for managing refractory organic compounds in industrial wastewater, J.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1(1), pp. 29-34. [DOI : http://dx.doi.org/10.15681/KSWE.2015.31.1.29] 

  4. Choi, J and Han, D (2011), Development of water quality standard for TOC as organic matter index, Seoul Studies, 12(3), pp. 173-184. [UCI : http://uci.or.kr/G704-001108.2011.12.3.010] 

  5. Choi, K, Kim, B, Park, J, Kim, Y and Jun, M (2004), Temporal and vertical variability in the relationship among organic matter indices in a deep reservoir ecosystem, Lake and Reservoir Management, 20(2), pp. 130-140. [DOI : https://doi.org/10.1080/07438140409 354357] 

  6. Kang, M (2014),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 Usage of Organic Indexes in Water Environments -Lakes in Nakdong River Basin-, J. of wetlands society, 16(1), pp. 153-160. [UCI : http://uci.or.kr/G704-002159.2014. 16.1.003] 

  7. Kim, B, Jung, S, Jang, C and Kim, J (2007), Comparison of BOD, COD and TOC as the Indicator of Organic Matter Pollution in Streams and Reservoirs of Korea,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9(6), pp. 640-643. [DOI : http://lod.ndsl.kr/resource/NJOU000 25569_29_6] 

  8. Kim, E, Yoon, J, Lee, J and Choi, H (2012), Analysis of Long-Term Trends in Lake Water Quality Observations, J. Korean Soc. Hazard Mitig, 12(1), pp. 231-238. [UCI : http://uci.or.kr/G704-001845.2012. 12.1.011] 

  9. Kim, H, Hong, J, Sung, J, Choi, K and Park, J (2013), Comparison of Organic Matter Distribution in Major Tributaries of the Nakdong River, J.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9(5), pp. 618-624. [UCI : http://uci.or.kr/G704-000646.2013.29.5.005] 

  10. Kim, J, Shin, M, Jang, C, Jung, S and Kim, B (2007), Comparison of TOC and DOC Distribution and the Oxidation Efficiency of BOD and COD in Several Reservoirs and Rivers in the Han River System, J.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3(1), pp. 72-80. [UCI : http://uci.or.kr/G704-000646.2007.23.1.003] 

  11. Lee, U, Kim, B and Choi, K (2001), Characteristics of dissolved organic carbon in three layers of a deep reservoir, Lake Soyang, Korea. International Review of Hydrobiology, 86(1), pp. 63-76. [DOI : https://doi.org/10.1002/1522-2632(200101)86:1 3.0.CO;2-X] 

  12. Meili, M (1992) Sources, concentr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 in softwater lakes and streams of the swedish forest region, Hydrobiologia, 229, pp. 23-41. [DOI : https://doi.org/10.1007/978-94-011-2474-4_2] 

  13. Ministry of Environment(MOE). (2008).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Organic Materials in Public waters. 

  14. Ministry of Environment(MOE). (2009). Environmental Survey Guide for Lakes. 

  15. Ministry of Environment(MOE). (2012). Water Pollution Test Standards. 

  16. Ministry of Justice(MOJ). (2018). Basic environment law. 

  17.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1), The Applicability of Coliforms as a Fresh Water Quality Standard, Report of NIER, Korea. 

  18. Thurman, E (1985) Organic geochemistry of natural water, Dordrecht, Netherland. 

  19. Visco, G, Campanella, L and Nobili, V (2005) Organic carbons and TOC in waters: an overview of the international norm for its measurements, Microchemical Journal, 79, pp. 185-191. [DOI : https://doi.org/10.1016/j.microc. 2004.10.018] 

  20. Water information system(WIS)(2018). http://water.nier.go.kr/ 

  21. Yi, SB (2017). Quality evaluation of Nakdong river using different organic indexs, Master's Thesis,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Korea.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