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월령리 선인장군락지(천연기념물 제429호)의 관속식물상, 분포실태,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scular Plants, Distribution Status and Management Plans of the Cactus Habitat (No. 429 Natural Monument) in Wolryung-ri, Jeju Island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6 no.1, 2018년, pp.55 - 66  

이철호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  장계현 (동의대학교 분자생물학과) ,  류태복 (국립생태원 생태보전과) ,  최병기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 선인장군락지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식물지리학적으로 특이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 유일한 자생지로 특유의 고유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생지 일대의 선인장 분포 현황에 관한 정밀조사가 이루어진 바 없으며, 서식지 내 혼생식물의 다양성 및 선인장 개체군 분포와의 상호 관계에 관한 조사가 이루어진 바 없다. 본 연구는 월령리 선인장군락지 내 관속식물의 다양성을 파악하고 선인장의 분포 실태 및 출현 경향을 기록하고자 하였다. 선인장의 분포 특성과 함께 혼생 식물종 가운데 서식처의 특성을 반영하는 종의 특성과 선인장 개체군의 유지에 위협이 되거나, 선인장 보존에 있어서 관리의 대상이 되는 생물 및 환경 요소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식물상 확인을 위한 현장조사는 2015년 6월부터 2017년 9월까지 식물계절을 고려하여 총 6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식물에 대한 배열순서와 학명의 기재는 Engler 분류체계에 따라 정리하였으며, 종의 한글명은 한국표준식물목록을 채택하였다. 연구결과 제주 월령리 선인장군락지는 선인장이 우점하는 지역 고유의 특징적인 상관을 형성하고 있었다. 관속식물상은 53과 104속 109종 15변종 1품종으로 총 125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은 분포하지 않았다. 양치식물은 꼬리고사리, 도깨비쇠고비로 2종이 확인하였으며, 나자식물은 서식하지 않았다. 피자식물이 총 123분류군이 나타났으며, 쌍자엽식물이 91분류군, 단자엽식물이 32분류군으로 밝혀졌다. 선인장 보호지역 내 전체 487개 격자 중 59.3%에 해당하는 289개 격자에서 선인장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5-95%의 다양한 피도분포를 보였다. 미출현 격자의 대부분은 현무암 암반이 노출된 해안지역으로, 반복적인 파도의 영향을 받아 토심이 발달하지 못하거나 극히 제한적인 지역과 인위적 시설물 또는 초지, 관찰로 등이 조성된 지역이었다. 반면 선인장이 70% 이상 높은 우점도를 보이는 구간은 총 71개 격자 지점으로 전체의 14.5%를 차지하고 있었다. 선인장은 보호 지역 내에서 무작위분포를 나타내며, 미소서식처 환경에 적응되어 생육가능입지를 따라 기회주의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군락지 내 선인장은 대부분 단위생식(parthenogenesis)에 의존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현재의 분포는 군락지 내 선인장의 잠재분포가능 영역을 투영하는 결과로 판단된다. 현장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보호지역 보존 및 보호를 위한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actus habitat in Jeju Island has a phytogeographically specific distribution in the East Asian region, and forms a unique landscape as the only native cactus (Opuntia ficus-indica (L.) Mill.) habitat in Korea. However, there has been no detailed investigation on the distribution of cacti in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생지 일대의 선인장 분포 현황에 관한 실태조사가 이루어진 바 없고 서식지 내 혼생 식물의 다양성 및 선인장 개체군 분포와의 상호 관계에 관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월령리 선인장군락지 내 관속식물의 다양성을 파악하고 선인장의 분포 실태 및 출현 경향을 기록하고자 한다. 선인장의 분포 특성과 함께 혼생 식물종 가운데 서식처의 특성을 반영하는 종의 특성과 선인장 개체군의 유지에 위협이 되거나, 선인장 보존에 있어서 관리의 대상이 되는 생물 및 환경 요소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선인장은 보호지역 내에서특정의 분포경향을 보이기보다는 미소서식처 환경에 적응하여 기회주의적인 분포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인장군락지 보호구역의 생물학적 가치에 대해 자생지 입장에서의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보호지역의 가치를 올바로 인식하고 보존하기 위한 관리전략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현재의 선인장군락지를 위협하는 요인들에 대한 접근과 함께 선인장의 확장 경향에 대비된 원(原)보호지역 자생지에 대한 가치 및 보호이유에 대해 검토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월령리 선인장군락지 내 관속식물의 다양성을 파악하고 선인장의 분포 실태 및 출현 경향을 기록하고자 한다. 선인장의 분포 특성과 함께 혼생 식물종 가운데 서식처의 특성을 반영하는 종의 특성과 선인장 개체군의 유지에 위협이 되거나, 선인장 보존에 있어서 관리의 대상이 되는 생물 및 환경 요소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선인장군락지 보호구역의 생물학적 가치에 대해 자생지 입장에서의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보호지역의 가치를 올바로 인식하고 보존하기 위한 관리전략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현재의 선인장군락지를 위협하는 요인들에 대한 접근과 함께 선인장의 확장 경향에 대비된 원(原)보호지역 자생지에 대한 가치 및 보호이유에 대해 검토하였다. 추후 군락의 보존 및 유지와 인위적 필요에 따른 확장에 대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검선인장의 원산지는? 멕시코가 원산지인 보검선인장은 쿠로시오 난류를 타고 열대지방으로부터 밀려와 야생하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자생 여부에 관해서는 많은 논의를 필요로 하지만 제주 월령리의 선인장군락지는 동아시아 온대지역에서 선인장 자생군락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식물지리학적으로 특이한 현상이며, 국내뿐 아니라 동북아시아 유일의 야생군락지로서 높은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6].
제주 월령리의 선인장군락지가 식물지리학적으로 특이한 이유는? 멕시코가 원산지인 보검선인장은 쿠로시오 난류를 타고 열대지방으로부터 밀려와 야생하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자생 여부에 관해서는 많은 논의를 필요로 하지만 제주 월령리의 선인장군락지는 동아시아 온대지역에서 선인장 자생군락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식물지리학적으로 특이한 현상이며, 국내뿐 아니라 동북아시아 유일의 야생군락지로서 높은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6]. 제주에서는 이러한 선인장에 대해 과거부터 인식하여 왔으며, 민간약으로 활용하거나 위해성짐승의 침입을 막기 위한 울타리로 사용하는 등 지역 주민의유용식물 자원으로 활용되어, 경관 및 민속생물학적 가치(ethnobotanical value)를 인정받아[7], 2001년 9월부터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제주 월령리의 선인장군락지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해는? 자생 여부에 관해서는 많은 논의를 필요로 하지만 제주 월령리의 선인장군락지는 동아시아 온대지역에서 선인장 자생군락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식물지리학적으로 특이한 현상이며, 국내뿐 아니라 동북아시아 유일의 야생군락지로서 높은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6]. 제주에서는 이러한 선인장에 대해 과거부터 인식하여 왔으며, 민간약으로 활용하거나 위해성짐승의 침입을 막기 위한 울타리로 사용하는 등 지역 주민의유용식물 자원으로 활용되어, 경관 및 민속생물학적 가치(ethnobotanical value)를 인정받아[7], 2001년 9월부터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Seo, J. C.(2004). Wild Flowers in Jeju island. Seoul: Iljinsa. 

  2. Park, P. M., Kwon, O. K., Park, P. H. and An, H. R.(2016). Welcome to Cactus World. National Institute of Hor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3. http://www.nature.go.kr. 

  4. Lee, C. B.(2003). Illustrated Flora of Korea. Seoul: Hyangmunsa. 

  5.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18). Overview of Korean National Heritage: Natural Monuments / Scenic sites. Daeje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6. Miyawaki, A., Okuba, S. and Fujiwara, R.(1994). Handbook of Japanese Vegetation. Tokyo: Shibundo. 

  7. Yang, Y. H. and Song, C. G.(2009). The Coloured Illustrated Flora In Jeju. Jeju: Odicom. 

  8. Chang, N. K., Kim, H. B and Kim, I. J.(1984).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matter production in Opuntia lanceolata community in Hanrim-Eup, Jeju-Do. Korean J. Ecology 7: 67-73. 

  9. Shin, E. H., Park, S. J. and Choi, S. K.(2011).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J. East Asian Co. Dietary Life. 21: 691-697. 

  10. Cho, I. G., Jin, S. W. and Kim, Y. D.(2009). Analysis of Components in the Parts of Opuntia ficus-indica from Shinan Korea.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6: 742-746. 

  11. Lee, Y. C., Hwang, K. H., Han, D. H. and Kim, S. D.(1997). Compositions of Opuntia ficus-indic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47-853. 

  12. Park, C. M., Kwak, B. H., Park, S. H., Kim, H. and Rhyu, D. Y.(2013).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Opuntia ficus-indica. Korean J. Plant Res. 26: 519-525. 

  13. Kang, K. C., Jang, D. S, Han, S. B. and Lee, S. J.(1998). Extraction and retrieval of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from the cactus. J. of Basic Science, Cheju Nat'l Univ. 11:35-40. 

  14. Lee, J. W., Oh, H. G., Kim J. H., Lee, K. Y. and Lee, J. S.(2015). Studies on Simple Hydroponic Culture in Cultivation of Grafted Cactus for Export. Korean J. Plant Res. 28(4): 546-549. 

  15. Nam, S. Y., Park, S. M. and Ahn, D. H.(2010). Effect of globe growth and chromogenic on day and night temperature and the LED light treatment of expert grafted cactus (Chamecereus silvestrii f. variegata) cultivar 'Hee-Mang'.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9(3): 140-146. 

  16. Lee, J. G., Hong, S. S. and Kim, J. Y.(2010). The degree and damages of major harmful insects that occur in export cactus.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5: 177. 

  17. Lee, Y. C., So, S. I. and Nam, S. Y.(2015). A study on weed control effect in cactus and scuulents.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33: 156. 

  18. Kim, J. U. and Kim, S. M.(2014). Research for Current Status of Protected Area in Korea and World Protected Area Designation-Focused on sacred natural sites designated as scenic site & natural monumen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3): 191-200. 

  19. http://www.kma.go.kr. 

  20. Lee, W. C. and Yim, Y. J.(2002). Phytogeography. Kangwon: Kangwon University Press. 

  21. http://www.kigam.re.kr. 

  22. Melchior, H.(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Berlin: gebruder Bornteaeger. 

  23. Muller-Dombois, D. and Ellenberg, H.(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New York: John Willy & Sons. 

  24. The Plant List.(2018). A working list of all plant species. http://www.theplantlist.org. 

  25. Ministry of Environment.(2012). Endangered species of Korea - new version-. Saejong: Ministry of Environment. 

  26.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Daejeon: Korea Forst Service. 

  27. Park, S. H.(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Seoul: Ilchokak. 

  28. Kim, E. G.(2013). Halophytes of Korea. Seoul: Econature. 

  29. Kim, M. H., Han, M. S., Knag, K. K., Na, Y. E. and Bang, H. S.(2011).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C4 plant list and distribution in South Korea: A review,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3(3): 123-139. 

  30. Yim, Y. J. and Jeon, E. S.(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 Botany. 23(3-4): 69-83. 

  31. Kim, J. W. and Lee Y. K.(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Seoul: Worldscience Press 

  32. Moon, K. H.(2005). Syntaxonomy and synecology of the actual vegetation of Ulsan Metropolitan City. Ph. D.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33. Lee, K. S. and Kim, J. H.(1994). Changes in Crassulacean Acid Metabolism (CAM) of Sedum Plants with Special Reference to Soil Moisture Conditions. J. Plant Biol. 37(1): 1-15. 

  34. Ha, S. H.(2012). Succulent Plants. Seoul: Academy press. 

  35. Weber, E.(2003). Invasive Plant Species of the World. - A reference guide to environmental weeds-. Wallingford: CABI Publishing. 

  36. Kira T, Ogawa H, and Sakazaki N.(1953). Intraspecific competition among higher plants. I. Competition-yield-density interrelationship in regularly dispersed populations. Journal of the Institute of Polytechnics, Osaka City University. 4: 1-16. 

  37. Firbank, L.G. and Watkinson, A.R.(1987) On the analysis of competition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 plant. Oecologia. 71(2): 308-317. 

  38. Junsaengpaljeon(遵生八?) 

  39. Bijeonhwageong(秘傳花鏡) 

  40. Dongeuibogam(東醫寶鑑) 

  41. Kim, J. M., Y. J. Yim, and Jeon, E. S.(2000). Naturalized Plants in Korea. Seoul: Science Book. 

  42. Kang, B. H., and Shim, S. I.(2002). Overall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22(3): 207-226. 

  43. Rodman, J. E.(1986). Introduction, Establishment and Replacement of Sea-Rockets (Cakile, Cruciferae) in Australia. Journal of Biogeography. 13(2): 159-171 

  44. Na, M. H., Lee, J. H. and Lee, J. K.(2010).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s of Conservation & Management of the Natural Monuments of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8: 127-136. 

  45. Nagashima, H., Terashima, I. and Katoh, S.(1995). Effects of plant density on frequency distributions of plant height in Chenopodium album stands: analysis based on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height-growth of individual plants. Annals of Botany. 75: 173-180. 

  46. Weiner, J.(1985). Size hierarchies in experimental populations of annual plants. Ecology. 66: 743-752. 

  47. Yoda, K., Kira, T., Ogawa, H. and Hozami, K., 1963. Self thinning in overcrowded pure stands under cultivated and natural conditions. J. Biol. Osaka City Univ. 14: 107-129. 

  48. Yoo, C. M., Park, D. S., Kwon, O. B. and Lee, J. K.(2004) A study on the natural monument preservation method of landscap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3: 102-1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