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조문화재에서 계절에 따른 부유 진균의 분포 및 다양성에 관한 연구: 순천 선암사를 중심으로
Seasonal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Airborne Fungi in a Wooden Cultural Heritage Site: A Case Study of The Seonamsa Temple, Suncheon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6 no.2, 2018년, pp.122 - 133  

홍진영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김영희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이정민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김수지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조창욱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박지희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순천 선암사는 산림과 계곡으로 둘러싸여 가파른 지형에 위치하고 있으며 평지보다 온 습도는 높고 바람의 세기가 약하여 생물 피해가 우려되는 곳이다. 이에 계절마다 진균상 조사를 통해 실내 외 공기질에 분포하는 진균의 농도와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외부 공기질에 분포하는 진균의 농도는 봄($276CFU/m^3$)에 가장 높았고, 가을($196CFU/m^3$), 여름($128CFU/m^3$), 겨울($24CFU/m^3$) 순으로 감소하였다. 가장 하단에 위치한 지장전은 여름철에 $337.4CFU/m^3$, 가장 상단에 위치한 원통전은 가을철에는 $333.4CFU/m^3$의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실내 외 공기질에서 부유균 농도의 차이가 컸던 계절은 여름철이었으며 $128CFU/m^3$인 외부보다 실내 공기질에 최소 0.5배에서 최대 3배 정도의 많은 진균이 부유하고 있었다. 부유 진균이 가장 많이 수집된 계절은 봄철이었지만 다양성은 여름과 가을철 공기질에서 더 높았는데 여름에는 28속 45종, 가을에는 25속 47종의 진균이 확인되었다. 특히, 가을철에는 모든 조사 지점에서 부유 진균의 분포도가 가장 높았는데 그 중에서 자낭균이 86%를 차지하였고 Cladosporium속이 우점하였다. Penicillim속은16종이 검출되어 종다양성이 가장 높았고 야외보다는 여름과 가을, 겨울철의 실내 공기질에 주로 분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onamsa temple is located on steep terrain surrounded by forests and valleys, and is a place that the temple is scared of biological damage because it has high humidity and low wind levels. Therefore, we investigated a concentration and diversity of airborne fungi in indoor and outdoor by col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물 뒤편이 축대로 막혀있는 구조로 통풍이 원활하지 않고 해가 들지 않는 조건으로 생물 피해가 우려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암사에서 전각들의 내부와 외부 공기질에 대한 부유 진균의 농도와 분포를 조사하고 가람 배치에 따른 차이와 계절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기 중 진균의 밀도가 여름철에는 실내의 모든 곳에서 외부보다 높았고 봄철에는 지장전을 제외하면 외부와 유사하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공기 중 진균의 밀도는 여름철에는 실내의 모든 곳에서 외부보다 높았고 봄철에는 지장전을 제외하면 외부와 유사하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전날 비가 내렸던봄철 조사와 여름철에는 가을과 겨울보다 대기가 다습하며 특히, 여름철의 풍속은 가을과 겨울철보다 낮아[16] 환기 상태가 불량해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내부 공기질은 외부로부터 영향을 적게 받게 되고 실내 공기질의 오염은 누적될 가능성이 높다
곰팡이의 포자와 균사체는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일반적으로, 곰팡이의 포자와 균사체는 공기 중에 떠다니면서 기류에 의해 확산되며 공기 중의 포자는 일변화(diurnal change) 뿐 아니라 계절별, 지역적, 글로벌한 패턴을 보여줄 수 있다[1]. 외부 공기질의 곰팡이 농도와 종류는 지역과 계절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고[2, 3] 바 람, 온 · 습도, 강우, 고도 및 주변 식생 등과 연관되어 있다[4].
Penicillium속이 특히 유해한 균주인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실내 공기질의 곰팡이 오염은 유기 물질이 있거나 실내의 온 · 습도와 환기 상태 그리고 외기 환경의 곰팡이 농도에도 영향을 받으므로[2, 3] 실내와 외부 공기질에서 진균의 농도 및 다양성은 매우 밀접하게 관련 되어 있다[5]. 공기질에 분포하는 진균들 중에서 Alternaria속, Aspergilllus속, Fusarium속, Penicillium속, Trichoderma속, Ulocladium속, Chaetomium속이 목재와 같은 유기질에 손 상을 일으키는 대표 종이며, 이들 중, Aspergilllus속과 Penicillium속은 수분함량이 7~8%인 기질에서도 자랄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해한 균주로 분류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outhworth D. Introduction to the biology of airborne fungal spores. Ann Allergy 1973;32:1-22. 

  2. Medrela-Kuder E. Seasonal variations in the occurrence of culturable airborne fungi in outdoor and indoor air in Cracow. Int Biodeterior Biodegradation 2003;52:203-5. 

  3. Oliveira M, Ribeiro H, Abreu I. Annual variation of fungal spores in atmosphere of Porto: 2003. Ann Agric Environ Med 2005;12:309-15. 

  4. Topbas M, Tosun I, Can G, Kaklikkaya N, Aydin F. Identification and seasonal distribution of airborne fungi in urban outdoor air in an eastern Black Sea Turkish town. Turk J Med Sci 2006;36:31-6. 

  5. Shin HK. Airborne fungi in wooden cultural heritages in Korea: diversity and their discoloration characteristics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of Korea; 2015. 

  6. Kowalik R. Microbiodeterioration of library materials. Part 1. Restaurator 1980;4:99-114. 

  7. Kim MJ, Shin HK, Choi YS, Kim GC, Kim GH. An aeromycological study of various wooden cultural heritages in Korea. J Cult Herit 2016;17:123-30. 

  8. Lee MY, Kim DW, Chung YJ. Conservation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microbial distribution of the Songsan-ri ancient tombs, Gongju, Korea. J Conserv Sci 2014;30:169-79. 

  9. Seo MS, Lee SM, Hong JY. The characteristic study of the microbial habitat in the Muwisa museum, Gangjin. J Conserv Sci 2013;29:333-43. 

  10. Hong JY, Seo MS, Kim SJ, Kim YH, Jo CW, Lee JM. A survey for distribution of airborne microorganisms in storage of movable cultural properties. Conserv stud 2015;36:64-73. 

  11. Lee SM, Lee SP. Classification and epidemiology of allergic rhinitis. Korean J Med 2013;85:445-51. 

  12. Yeom JG. Assessment on air quality of university hospital lobbies-focused on airborne bacteria, gram-negative bacteria and fungi levels [dissertation]. Seongnam: University of Kyungwon; 2012. 

  13. de Ana SG, Torres-Rodriguez JM, Ramirez EA, Garcia SM, Belmonte-Soler. Seasonal distributions of Alternaria, Aspergillus, Cladosporium and Penicillim species isolated in homes of fungal allergic patients. J Investig Allergol Clin Immunol 2006;16:357-63. 

  14. Sautour M, Sixt N, Dalle F, L'Ollivier C, Fourquenet V, Calinon C, Paul K, Valvin S, Maurel A, Aho S, et al. Profiles and seasonal distribution of airborne fungi in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at a French hospital. Sci Total Environ 2009;407:3766-71. 

  15. Pavan R, Manjunath K. Qualitative analysis of indoor and outdoor airborne fungi in cowshed. J Mycol 2014;2014:Article ID 985921. 

  16. Akanda MR, Akhter MS, Mahboob MG, Maya MA, Hossain MM. Seasonal variation of fungal population dynamics and their interactions in brinjal field soil. Bangladesh J Plant Pathol 2009;25:31-5. 

  17. Kim MN, Lim BA, Lee MS, Jeong SY.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local meteorological and particulate matter (TSP) on the Beopjusa temple and Seonamsa temple. J Conserv Sci 2017;33:283-95. 

  18. Pady SM, Kramer CL. Kansas aeromycology X. Basidiomycetes. Trans Kans Acad Sci 1960;63:125-34. 

  19. Morris PI. Understanding biodeterioration of wood in structures. Delta: British Columbia Building Envelope Council; 1998. 

  20. Kim SJ, Jo CW, Lee JM, Jeong SY, Kim YH, Hong JY. Changes in microorganisms' distribution pattern of wooden cultural heritage in Jeolla-do. Conserv stud 2017;38:5-16. 

  21. Kim T, Ra JB. Change of decay hazard index (Scheffer index) for exterior above-ground wood in Korea. J Korean Wood Sci Technol 2014;42:732-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